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홍콩 노인 아카데미 사례를 통한 활동적 고령화(Active Ageing)의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 A Study on Promoting Lifelong Education in ‘Active Ageing’ through the Review of Elder Academy Case in Hong K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938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홍콩의 평생교육 시스템인 Elder Academy의 현황과 특징을 살펴봄으로 우리나라의 노인교육과의 차이점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고령화 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

      목적: 홍콩의 평생교육 시스템인 Elder Academy의 현황과 특징을 살펴봄으로 우리나라의 노인교육과의 차이점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고령화 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국내 노인교육, 평생교육과 홍콩 Elder Academy에 관한 문헌 조사를 통하여 홍콩의 고령자 교육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국내 노인교육은 노인복지관과 평생교육 기관에서 개설하는 흥미, 취미 위주의 교육과정이 주를 이루고 고령자들은 정부의 노인 정책 결정에 직접 참여를 하지 않고 있으나 홍콩은 각 지역에 구축된 노인 위원회가 모든 노인 정책에 직접 참여한다. 홍콩의 노인 아카데미 네트워크는 홍콩의 특성에 따라 학교, 기관, 조직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전통적, 혁신적, 공식적, 비공식적 과정을 다양하게 개발하며 정부와 이해관계자 간의 공동 투자 및 참여를 요구하고 있다. 사회적 네트워크가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고등교육과의 협력을 통하여 젊은 층과도 소통, 상호 작용을 하고 있다. 결론: 미래의 노인교육은 시민사회에서 노인들이 사회 구성원으로 정책 개발에 참여해야 하며 활동적 고령화 교육 환경을 구축하여 노인들이 긍정적인 마인드로 활기찬 생활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교육과정은 정부나 비영리 기관에서만 담당할 것이 아니라 실버산업분야에서도 우수한 활동적 고령화 교육과정을 제공하여 평생교육의 활성화를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Hong Kong life-long education system through the Elder Academy to consider the differences and build on the findings to further enhance the Korean life...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Hong Kong life-long education system through the Elder Academy to consider the differences and build on the findings to further enhance the Korean life-long education system through Active Ageing. Methods: Examination of the Korean national elderly education system as well as literary research from Hong Kong Elder Academy. Results: Hong Kong has senior committees in each district and are directly involved in all senior policies. It can be examined that the Hong Kong senior committee and citizens have formed a strong network with school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based on needs and characteristics. Notable findings show that a variety of traditional, innovative, formal as well as informal courses are developed, requiring joint investment and particip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stake holders.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is shown through the intricate social network developed in conjunction with the cooperation from the youth in the community and higher education institutes. Conclusion: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ctive Elderly Education environment and develop a professional and meticulous program to prepare policies for senior citizens to live a vibrant life with a positive mind set. The proposal is to not only involve the government or non-profit organizations but the ‘Silver Industry’ to promote and provide the Elderly Education system for Active Age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한국의 노인교육 Ⅲ. 홍콩의 노인교육 Ⅳ. 활동적 고령화(Active Ageing) 노인교육 Ⅴ. 결 론
      • Ⅰ. 서 론 Ⅱ. 한국의 노인교육 Ⅲ. 홍콩의 노인교육 Ⅳ. 활동적 고령화(Active Ageing) 노인교육 Ⅴ. 결 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성희, "활동적 고령화를 위한 노인교육의 방법" 한국노년교육학회 4 (4): 71-85, 2018

      2 신미식, "한국 노인의 임파워먼트를 위한 노인교육 활성화 방안: 비판적 노인교육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19 (19): 269-290, 2014

      3 박성희, "프랑크푸르트 노인대학 사례를 통한 대학 확장교육으로서의 노인교육 활성화 방안" 한독교육학회 12 (12): 141-156, 2007

      4 박영란, "초고령사회 대비 EU의 ‘활동적 노화’(active ageing) 정책 패러다임" 한국유럽학회 31 (31): 135-158, 2013

      5 장미옥, "우리나라 노인교육의 성과와 전망" 한국성인교육학회 11 (11): 57-83, 2008

      6 신복기, "성공적 노화를 위한 노인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4) : 313-336, 2006

      7 이상철, "노인이 인식한 고령친화 환경의 구성개념과 활동적 노화와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울연구원 17 (17): 119-137, 2016

      8 김창석,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동기와 활동만족도 간의 영향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2 (12): 315-326, 2012

      9 이인수, "노인생활시설 종사자의 직장애착과 소진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0) : 99-121, 2005

      10 장미옥, "노인들의 인터넷 이용후의 만족이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성인교육학회 7 (7): 133-154, 2004

      1 박성희, "활동적 고령화를 위한 노인교육의 방법" 한국노년교육학회 4 (4): 71-85, 2018

      2 신미식, "한국 노인의 임파워먼트를 위한 노인교육 활성화 방안: 비판적 노인교육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19 (19): 269-290, 2014

      3 박성희, "프랑크푸르트 노인대학 사례를 통한 대학 확장교육으로서의 노인교육 활성화 방안" 한독교육학회 12 (12): 141-156, 2007

      4 박영란, "초고령사회 대비 EU의 ‘활동적 노화’(active ageing) 정책 패러다임" 한국유럽학회 31 (31): 135-158, 2013

      5 장미옥, "우리나라 노인교육의 성과와 전망" 한국성인교육학회 11 (11): 57-83, 2008

      6 신복기, "성공적 노화를 위한 노인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4) : 313-336, 2006

      7 이상철, "노인이 인식한 고령친화 환경의 구성개념과 활동적 노화와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울연구원 17 (17): 119-137, 2016

      8 김창석,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동기와 활동만족도 간의 영향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2 (12): 315-326, 2012

      9 이인수, "노인생활시설 종사자의 직장애착과 소진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0) : 99-121, 2005

      10 장미옥, "노인들의 인터넷 이용후의 만족이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성인교육학회 7 (7): 133-154, 2004

      11 이희정, "노인대학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조사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8 (8): 583-602, 2017

      12 전수경, "노인대상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특징 및 시사점"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7 (7): 637-654, 2016

      13 박응희, "노인교육 시장분석을 위한 노인학습자 연구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한국평생교육학회 15 (15): 137-158, 2009

      14 김교성, "‘활동적 노화’에 관한 다차원적 측정과 국가간 비교"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1 (41): 1-32, 2014

      15 Jung, G. W, "study on the implementation and limitations of the Madrid International Plan of Action (MIPAA) on aging and its development plans"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2017

      16 "The Elder Academy Website"

      17 Han, J. R, "Suggestions for a direction of seniors' culture and art education based on demand of policy consumers" 1 (1): 69-89, 2015

      18 Woo, C. Y, "Study on a Change i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Elderly's Learning Participation-Focusing on Participants in Elderly Education in the Young-Ju City Area" Keimyung University 2004

      19 Statistic Korea, "Statistics Korea Elderly Statistics"

      20 Han, J. R, "Senior Volunteering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Gerontolog" 4 (4): 45-67, 2001

      21 Rim, C. S, "Plans of the churches for Activating Social Works for the Aged" 8 : 132-163, 2004

      22 Chapman, J. D,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and equity" Springer 317-336, 2006

      23 Leung, A, "Later life learning experience among Chinese elderly in Hong Kong" 26 (26): 1-15, 2005

      24 Census and Statistics Department., "Hong Kong population projections 2017-2066" The Government Logistics Department 2017

      25 Ju ng, K. H, "Evaluation, Policy Issues and Strategies Regarding Welfare Polices for Older Person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6

      26 Tam, M, "Evaluation of third age learning in Hong Kong: Why and how?" 44 (44): 724-731, 2018

      27 Elder Academy, "Elder Academy: Curriculum Design and Operation Model. Lingnan University: Elder Academy Publication for Senior Citizens" 8 (8): 583-602, 2013

      28 Heo, J. M,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Korean Elderly Education" 25 (25): 95-117, 2006

      29 Zhang, W. Y, "An investigation into the learning attitude, motivation and preferences of the older adults in Hong Kong" India Gandhi Open University 2001

      30 WHO, "Active Ageing: A Policy Framework" World Health Organization 12-, 2002

      31 Tam, M, "Active Ageing, Active Learning" Springer 163-174, 2012

      32 Lee, H. S, "A study on Lifelong Educatin for Senior Citizens to prepare Aging Society" Jung Ang University 2010

      33 Jung, O. S, "A Study on the Participation in Elder’s College Education Program and the Life Satisfaction" Won Gwang University 2005

      34 Ko, J. J, "A Study of old man and silver industry" 30 : 407-432, 2005

      35 Kang, Y. M, "A Comparative Study on Empowerment Differences by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 Centering on Budnae Senior Welfare Service Center" (3) : 62-85,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09-0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영문명 :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 Korean Aging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