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식단의 간편성으로 빵 및 케이크류의 소비량이 증가하고 보조식에서 주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더불어 건강증진을 위한 기능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따라서 비만체질 개선 및 성인병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73319
2012
Korean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369-375(7쪽)
2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식단의 간편성으로 빵 및 케이크류의 소비량이 증가하고 보조식에서 주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더불어 건강증진을 위한 기능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따라서 비만체질 개선 및 성인병예...
최근 식단의 간편성으로 빵 및 케이크류의 소비량이 증가하고 보조식에서 주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더불어 건강증진을 위한 기능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따라서 비만체질 개선 및 성인병예방 등의 기능을 갖는 도토리 묵가루 및 주정추출물을 0, 0.5, 1% 첨가하여 제조하고 첨가한 머핀을 제조하여 수분함량, 무게감소율 및 높이, 조직감, 관능검사를 통해 머핀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머핀의 수분함량은 도토리 묵가루 및 주정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이는 도토리가 갖는 보수성 때문에 상압건조법으로는 측정되지 않는 결합수가 도토리묵가루 및 추출물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굽기 손실률과 부품성은 도토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도토리의 식이섬유소가 수분결합력이 커서 수분의 증발을 감소시켜 도토리묵가루 및 추출물을 첨가군이 첨가하지 않은 군보다 굽기 손실률이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색도는 도토리묵가루 및 추출물의 고유의 색의 영향으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 a값은 증가, b값은 감소하였다. 조직감 측정 결과 경도(hardness)는 도토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부착성(adhesiveness), 씹힘성(chewiness)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색(color), 향(flavor), 맛(taste), 조직감(texture),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에서 0.1% 도토리 주정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에서는 50% 도토리묵가루와 0.1% 주정추출물의 첨가가 머핀 제조에 있어 가장 적합할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이는 도토리 주정추출물의 특유의 향기와 쓴맛이 기호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도토리 주정추출물의 향기와 쓴맛을 감소시켜 첨가량을 늘릴 수 있는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muffins were made with the addition of 50% acorn jelly powder and 0, 0.1, and 0.5% acorn ethanol extract powder. The moisture content of muffins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acorn ethanol extract powder concentration. Baking loss r...
In this study, muffins were made with the addition of 50% acorn jelly powder and 0, 0.1, and 0.5% acorn ethanol extract powder. The moisture content of muffins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acorn ethanol extract powder concentration. Baking loss rate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powder concentration. The lightness and yellowness of muffins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powder increased. Redness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powder increased. The hardness of muffins increased, and cohesiveness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powder concentration. Gumminess, and chewiness decreased by the addition of powder. The results of a sensory test showed that the texture quality of the muffin increased as the amount of added acorn increased. The taste of muffins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powder concentration, but 1.0% acorn ethanol extract powder decreased. In terms of the overall acceptability, 0.1% acorn ethanol extract powder had the highest preference level.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은옥, "청국장 가루를 첨가한 머핀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 (19): 635-640, 2009
2 안창순, "뽕잎머핀에 대한 관능평가 및 이화학적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4 (14): 576-581, 2004
3 이혜연, "뽕잎 항산화능 및 뽕잎가루 머핀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7 (27): 27-34, 2011
4 윤미향, "버찌(Fruit of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340-1345, 2010
5 김경희, "버찌(Fruit of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분말 첨가 머핀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750-756, 2009
6 Lee MY, "도토리가루를 첨가한 도토리다식의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2 (22): 849-854, 2006
7 심태흠, "도토리 가루의 성분분석과 항산화능 평가" 한국식품과학회 36 (36): 800-803, 2004
8 서은옥, "국내산 미나리 가루 첨가량에 따른 머핀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1 (21): 338-344, 2011
9 김용선, "감초추출물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기능성 머핀의 관능적, 기계적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 (20): 95-99, 2004
10 Lee YM, "We really need to know our one hundred kinds of trees" Hyeonamsa 394-398, 1995
1 서은옥, "청국장 가루를 첨가한 머핀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 (19): 635-640, 2009
2 안창순, "뽕잎머핀에 대한 관능평가 및 이화학적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4 (14): 576-581, 2004
3 이혜연, "뽕잎 항산화능 및 뽕잎가루 머핀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7 (27): 27-34, 2011
4 윤미향, "버찌(Fruit of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340-1345, 2010
5 김경희, "버찌(Fruit of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분말 첨가 머핀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750-756, 2009
6 Lee MY, "도토리가루를 첨가한 도토리다식의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2 (22): 849-854, 2006
7 심태흠, "도토리 가루의 성분분석과 항산화능 평가" 한국식품과학회 36 (36): 800-803, 2004
8 서은옥, "국내산 미나리 가루 첨가량에 따른 머핀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1 (21): 338-344, 2011
9 김용선, "감초추출물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기능성 머핀의 관능적, 기계적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 (20): 95-99, 2004
10 Lee YM, "We really need to know our one hundred kinds of trees" Hyeonamsa 394-398, 1995
11 Yugarani T, "The effects of tannin acid on serum lipid parameters and tissue lipid peroxides in the spontaneously hypertensive and Wister Kyoto rats" 59 : 28-31, 1993
12 Lopes GK, "Polyphenol tannic acid inhibits hydroxy radical formation form fenton reaction by complexing ferrous ions" 1472 : 142-152, 1999
13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5
14 Wursch P, "Influence of tannin-rich carob pod fiber on the cholesterol metabolism in the rat" 109 : 685-692, 1979
15 Sung IS, "Effect of Quercus acutissima Carruthers extracts on the lipid metabolism" 26 : 327-333, 1997
16 Chang MC, "Dietary tannins from cowpeas and tea transiently alter apparent calcium absorption but not absorption and utilization of protein in rats" 124 : 283-288, 1994
17 Kim EH, "Dietary fiber contents in some cereals and pulses" 26 : 98-106, 1993
18 Jung HO, "A study on the sensory and texture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roasted soybean powder" 13 : 266-271, 1997
19 Kim YY, "A study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Dotoridduck added with acorn jelly powder" 16 : 260-266, 2000
20 Kim YY, "A study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Dotoridduck added with acorn jelly powder" 16 : 260-266, 2000
21 Kim BN, "A study on the literature review of acorn in Korea" 11 : 158-163, 1995
22 Kim GH, "A study on the chemical of acorn in tannin composition" 1 : 16-, 1982
인체장모델시스템에 의한 열무김치로부터 프로바이오틱스 균주 선발
C57BL/KsJ-db/db 제2형 당뇨병 마우스에서 발아일품벼 추출물의 항당뇨효과
숙성 흑마늘 추출액 첨가가 빵용 밀가루 반죽의 레올로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4-06-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4-04-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1.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2 | 1.99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