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국 중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공감수업’의 구성 요소에 대한 필요수준과 실행수준을 조사하여 공감수업에 대한 요구도를 분석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582442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43-172(3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 중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공감수업’의 구성 요소에 대한 필요수준과 실행수준을 조사하여 공감수업에 대한 요구도를 분석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
본 연구는 중국 중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공감수업’의 구성 요소에 대한 필요수준과 실행수준을 조사하여 공감수업에 대한 요구도를 분석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중국 중등학교 교사 245명과 학생 246명을 대상으로 총 491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요구분석을 위해 첫째,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통계적으로 필요수준과 실행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둘째, Borich의 요구도 공식을 이용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요구도가 높은 문항들을 좌표평면에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세 가지의 결과를 종합하여 최우선순위 문항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중학교 교사와 학생의 요구도의 가장 공통적인 부분은 공감수업에서 구성원 간의 관계에 관한 것이다. 둘째, 중학교 교사와 학생은 목표에서도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차이점으로 교사는 수업을 통해 교사와 학생이 모두 성장하는 것에 대해 요구도 우선 순위가 높게 나타났고, 학생은 수업에서 긍정적인 정서 경험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중국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은 공감수업 관계와 목표에 대한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중국 고등학교 집단의 차이점은 고등학교 교사는 수업 방법에 대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고등학교 학생은 관계에서 더 다양한 요구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교수자와 학습자의 요구를 파악하여 공감수업을 구축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eeds for establishing empathic instruction by investigating the desirable status and current status of components in 'empathic instruction' for Chinese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This study c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eeds for establishing empathic instruction by investigating the desirable status and current status of components in 'empathic instruction' for Chinese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sed data through surveys that 245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246 students, 419 in total responded to.
For need analysis, following three research methodologies were employed. Firstly, a paired t-test was used to statistically detect the gap between the desirable status and current status. Secondly, priorities among the needs were calculated through the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Thirdly, components with high demand were presented on the coordinate plane using the Locus for Focus model. Finally, the highest priority components were derived from thes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biggest common point of teachers and students in Chinese middle schools is the relationship of the empathic instruction. Secondly, the most obvious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Chinese middle schools is the objectives of the empathic instruction. Thirdly, teachers and students in Chinese high schools showed a high demand for the relationship and objective of the empathic instruction. Fourthly, Chinese high schools teachers is the method of the empathic instruction, while high schools students highly demanded for the relationship of the empathic instruction.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building empathic instruction and suggestions for follow studies are discussed.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숙영, "회복적 생활교육을 만나다" 좋은교사 2014
2 김양분,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변인 탐색" 한국교육학회 53 (53): 31-60, 2015
3 Nelsen, J., "학급긍정훈육법" 에듀니티 2014
4 이효진, "학교현장실습 전ㆍ후 좋은 수업에 대한 중등예비교사의 인식 및 교육요구 분석" 고려대학교 2018
5 Riess, H., "최고의 나를 만드는 공감 능력" 코리아닷컴 2019
6 김현지,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역량 함양을 위한 국어과 통합 수업모형 개발" 한국교육방법학회 30 (30): 423-447, 2018
7 최진오, "초등학생의 모바일게임중독이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공감능력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4 (14): 187-197, 2016
8 김현지, "초등교사용 공감수업 자가진단 척도 개발" 부산대학교 2020
9 최지연, "초·중등 현직교사의 학생 이해에 대한 인식 및 연수 요구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291-316, 2013
10 황수영, "청소년의 공감, 친사회적 행동, 학교행복의 구조적 관계" 안암교육학회 24 (24): 173-197, 2018
1 박숙영, "회복적 생활교육을 만나다" 좋은교사 2014
2 김양분,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변인 탐색" 한국교육학회 53 (53): 31-60, 2015
3 Nelsen, J., "학급긍정훈육법" 에듀니티 2014
4 이효진, "학교현장실습 전ㆍ후 좋은 수업에 대한 중등예비교사의 인식 및 교육요구 분석" 고려대학교 2018
5 Riess, H., "최고의 나를 만드는 공감 능력" 코리아닷컴 2019
6 김현지,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역량 함양을 위한 국어과 통합 수업모형 개발" 한국교육방법학회 30 (30): 423-447, 2018
7 최진오, "초등학생의 모바일게임중독이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공감능력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4 (14): 187-197, 2016
8 김현지, "초등교사용 공감수업 자가진단 척도 개발" 부산대학교 2020
9 최지연, "초·중등 현직교사의 학생 이해에 대한 인식 및 연수 요구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291-316, 2013
10 황수영, "청소년의 공감, 친사회적 행동, 학교행복의 구조적 관계" 안암교육학회 24 (24): 173-197, 2018
11 박영순, "중학생의 사회정서적 유능성과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도의 관계" 한국열린교육학회 23 (23): 129-149, 2015
12 한우진, "중등학교 학생의 사회정서역량과 성취정서 간 관계" 한국열린교육학회 27 (27): 95-118, 2019
13 이상수, "좋은 수업에 대한 한·중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인식 비교 연구" 한국비교교육학회 18 (18): 27-47, 2008
14 이상수, "수업컨설팅 사례로 본 수업이야기" 학지사 2019
15 이상수, "수업개선 방향으로서 공감수업의 의미와 전략" 2019
16 길현주, "수업 경험을 토대로 한 교사의 성장의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67-93, 2017
17 김영숙, "성취정서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9 (29): 85-111, 2015
18 조대연,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소 (35) : 165-187, 2009
19 반진주, "미술 감상수업에서 협동학습이 고등학교 2학년 여학생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Davis의 공감모형 적용을 중심으로 -" 한국미술교육학회 23 (23): 289-320, 2012
20 이상수, "대학생들의 성취정서와 사회정서역량 간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929-952, 2018
21 정한호,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탐색" 한국교육방법학회 31 (31): 555-579, 2019
22 남미자, "교사들의 반성적 글쓰기를 통해 본 배움중심수업의 특징과 의미"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6 (46): 59-86, 2014
23 강대일, "과정중심평가란 무엇인가 : 학생의 배움과 성장의 과정에 대한 평가" 에듀니티 2018
24 박성희, "공감학 : 어제와 오늘" 학지사 2004
25 김은정, "공감적 학교공동체 역량 척도 개발" 부산대학교 2018
26 김현지, "공감수업에 대한 초·중등교사의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6 (36): 125-149, 2019
27 김현지, "공감수업에 대한 중등교사와 예비교사의 요구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31 (31): 697-718, 2019
28 허순향, "공감능력 척도 및 프로그램 개발" 대전대학교 2017
29 이준, "공감기반 학습모형 개발연구" 교육연구원 30 (30): 157-177, 2014
30 김윤희, "공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경북대학교 2017
31 김은정, "공감 공동체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31 (31): 97-119, 2019
32 JINCHUNHUA, "건강한 학교생태계 구성요인에 대한 한·중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인식 비교 연구" 글로벌교육연구학회 7 (7): 77-101, 2015
33 최혜연, "개혁개방 이후 중국 교육의 현황과 과제: 교육개혁정책을 중심으로" 안암교육학회 23 (23): 5-27, 2017
34 卢家楣, "课堂教学的情感目标分类" 上海师范大学教育科学学院 2006
35 吴晓燕, "读与写" 教育教学 6 : 2013
36 王笃勤, "英语教学策略" 外语教学与研究出版社 2012
37 李静静, "社会补习教育中的师生关系研究" 江南大学 2018
38 胡祖吉, "生态学视野中得和谐校园建设初探" 01 : 2008
39 陈媛, "湖南高等教育结构合理性分析" 6 : 59-64, 2006
40 谭牡凤, "构建以人为本的和谐校园文化研究" 燕山大学 2012
41 王文堂, "新课程理念和教学策略" 中国言实出版社 2003
42 李燕芳, "影响儿童青少年创造力发展的学校环境因素研究述评" (02) : 2009
43 黄凌云, "大学生课堂现状的调查与思考" 23 (23): 85-88, 2010
44 刘思汉, "和谐高校校园构建研究" 湖南大学 2006
45 엄미리, "‘좋은 수업’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 지양해야 할 수업 형태와 관련하여 -" 안암교육학회 15 (15): 107-132, 2009
46 권나윤,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중등교사와 현직중등교사의 인식 분석: 좋은 수업의 특성 및 방해요인과 지원방안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23-150, 2017
47 곽병현, "‘공감’과 ‘실천’으로 사회과수업 다시 읽기 : 세 가지 사회과수업에 대한 반성적 성찰"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5 (25): 17-47, 2018
48 Feshbach, N. D., "The social neuroscience of empathy" MIT Press 85-98, 2009
49 Eisenberg, N., "The relation of empathy to prosocial and related behaviors" 101 (101): 91-119, 1987
50 Baron-Cohen, S., "The empathy quotient : An investigation of adults with Asperger syndrome or high functioning autism, and normal sex differences" 34 (34): 163-175, 2004
51 Simpson, D. J., "The Sympathetic-Empathetic Teacher : A Deweyan Analysis" 64 (64): 1-, 2014
52 Feshbach, N. D., "Studies of empathic behavior in children" 8 : 1-47, 1978
53 Hoffman, M. L., "Sex differences in empathy and related behaviors" 84 (84): 712-722, 1977
54 Elias, M. J., "Promoting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Guidelines for educators"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97
55 Gagné, R. M., "Principles of instructional design" Prentice-Hall 1992
56 Hoffman, M. L.,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Vol. 25)"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76
57 Mead, G. H., "Mind self and socie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34
58 Gerdes, K. E., "Measuring empathy in the 21st century: Development of an empathy index rooted in social cognitive neuroscience and social justice" 35 (35): 83-93, 2011
59 Cooper, B., "Empathy, interaction and caring : Teachers' roles in a constrained environment" 22 (22): 12-21, 2004
60 Feshbach, N. D., "Empathy training and the regulation of aggression : Potentialities and limitations" 4 (4): 399-413, 1982
61 Cooper, B., "Empathy in education: Engagement, values and achievement" Bloomsbury Publishing 2011
62 Howe, D., "Empathy : What it is and why it Matters" Palgrave Macmillan 2012
63 Barnett, M. A., "Effect of inducing sadness about self or other on helping behavior in high-and low-empathic children" 53 (53): 920-923, 1982
64 Mink, O. G.,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 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Somerset Consulting Group, Inc. 1991
65 Zins, J. E., "Building academic success on socail and emotional learning: What does the research say?" Teachers College Press 2004
66 Borich, G.,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 up studies" 31 (31): 39-42, 1980
67 Davis, M. H.,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10 : 1-85, 1980
코로나19와 전면적인 온라인 학습이 대학생의 협력학습 및 교수와의 상호작용에 미친 영향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의 교육학적 수용: 연구의 현황과 전망
사전실습에 대한 중등예비교사의 인식 탐색: 메타포 분석을 바탕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3 | 1.43 | 1.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 | 1.69 | 2.047 | 0.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