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로컬 지식의 재건 운동과 지역세계화의 의미 = The reconstruction of local knowledge and the meaning of GLocal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354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Localization" means that the local is globalized. It is distinct from the concepts of globalization or simple glocalization, the biggest difference being a desired shift in perception from the political and economic centers of power to locality-specific systems that operate under the rule of these powers.
      In this regard, GLocalization is both struggle for local awareness and a rights recovery movement; its goals lie in reconstructing and normalizing local knowledge. This normalization of local knowledge through GLocalization implies the relative repositioning of western European values that have hitherto dominated global knowledge systems by promoting their apparent universality and enlightenment. By relativizing these values, non-western European perspectives regain an inherent value in terms of their relative cultural diversity.
      As a result, the core argument of this study is that all knowledge is locality-based, especially in relation to subjective human knowledge as distinct from mathematical or scientific fields. This research explores issues by connecting GLocalization with decolonizing and provincializing western Europe. As we face a new era of imperialistic globalization, we argue that time should be taken to reflect on how and why it is important to think and act locally.
      번역하기

      "GLocalization" means that the local is globalized. It is distinct from the concepts of globalization or simple glocalization, the biggest difference being a desired shift in perception from the political and economic centers of power to locality-spec...

      "GLocalization" means that the local is globalized. It is distinct from the concepts of globalization or simple glocalization, the biggest difference being a desired shift in perception from the political and economic centers of power to locality-specific systems that operate under the rule of these powers.
      In this regard, GLocalization is both struggle for local awareness and a rights recovery movement; its goals lie in reconstructing and normalizing local knowledge. This normalization of local knowledge through GLocalization implies the relative repositioning of western European values that have hitherto dominated global knowledge systems by promoting their apparent universality and enlightenment. By relativizing these values, non-western European perspectives regain an inherent value in terms of their relative cultural diversity.
      As a result, the core argument of this study is that all knowledge is locality-based, especially in relation to subjective human knowledge as distinct from mathematical or scientific fields. This research explores issues by connecting GLocalization with decolonizing and provincializing western Europe. As we face a new era of imperialistic globalization, we argue that time should be taken to reflect on how and why it is important to think and act local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역세계화’는 ‘지역이 세계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세계화’나 ‘세계지역화’와는 확연히 구분되며, 양자 간의 가장 큰 차이는 정치·경제적 강대국 중심의 세계관을 이들 강대국의 지배나 통치를(과거나 또는 현재에도) 받고 있는 지역-로컬 국가 중심으로 인식을 전환해야 한다는 데 있다. 이런 점에 ‘지역세계화’는 일종의 지역-로컬의 (탈식민적) 인식 투쟁이자 권리회복 운동이라 할 수 있으며, 그 목표는 지역-로컬의 지식-권력-존재의 재건에 있다. 지역세계화를 통해 모든 지역-로컬 지식이 정상화된다는 것은 결국 ‘보편’, ‘계몽’을 앞세워 그동안 전 세계의 지식을 지배했던 서구유럽의 가치를 ‘서구유럽’이라는 지리 안에 상대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게 서구유럽에서 생산된 가치를 상대화시킴으로써 비서구유럽권의 가치 역시 문화다양성의 관점에서 고유의 상대적 가치를 회복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이런 취지로 지역세계화를 ‘탈식민화’, ‘서구유럽의 지방화’와 같은 논제와 결부시켜 설명하게 될 것이며, 오늘날과 같은 탈지역-세계화 시대에 직면해 “지역-로컬적으로 사고하고, 지역-로컬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왜 그리고 얼마나 중요한지를 성찰해보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번역하기

      ‘지역세계화’는 ‘지역이 세계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세계화’나 ‘세계지역화’와는 확연히 구분되며, 양자 간의 가장 큰 차이는 정치·경제적 강대국 중심의 세계관을 이들 ...

      ‘지역세계화’는 ‘지역이 세계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세계화’나 ‘세계지역화’와는 확연히 구분되며, 양자 간의 가장 큰 차이는 정치·경제적 강대국 중심의 세계관을 이들 강대국의 지배나 통치를(과거나 또는 현재에도) 받고 있는 지역-로컬 국가 중심으로 인식을 전환해야 한다는 데 있다. 이런 점에 ‘지역세계화’는 일종의 지역-로컬의 (탈식민적) 인식 투쟁이자 권리회복 운동이라 할 수 있으며, 그 목표는 지역-로컬의 지식-권력-존재의 재건에 있다. 지역세계화를 통해 모든 지역-로컬 지식이 정상화된다는 것은 결국 ‘보편’, ‘계몽’을 앞세워 그동안 전 세계의 지식을 지배했던 서구유럽의 가치를 ‘서구유럽’이라는 지리 안에 상대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게 서구유럽에서 생산된 가치를 상대화시킴으로써 비서구유럽권의 가치 역시 문화다양성의 관점에서 고유의 상대적 가치를 회복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이런 취지로 지역세계화를 ‘탈식민화’, ‘서구유럽의 지방화’와 같은 논제와 결부시켜 설명하게 될 것이며, 오늘날과 같은 탈지역-세계화 시대에 직면해 “지역-로컬적으로 사고하고, 지역-로컬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왜 그리고 얼마나 중요한지를 성찰해보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치완, "호모 글로칼리쿠스"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2019

      2 박치완, "지식의 역사와 그 지형도" 한국외국어대학교지식출판원 2016

      3 김종영, "지배받는 지배자: 미국 유학과 한국 엘리트의 탄생" 돌베개 2015

      4 박치완, "글로컬문화콘텐츠, 어떻게 그리고 왜?"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2009

      5 류승구, "국민과 서사" 후마니타스 2011

      6 Feldman-Bianco, B, "“Interview: World Anthropologies: A Portuguese –Brazilian Conversation”, interviewed by M. V. de Almeida" 120 (120): 2018

      7 에드워드 사이드, "[단행본] 문화와 제국주의" 문예출판사 2005

      8 Fanon, F, "White Masks" Grove Press 1967

      9 Vorster, J.-A, "The ‘Decolonial Turn’: what does it mean for academic staff development" 21 (21): 2017

      10 Fanon, F, "The Wretched of the Earth" Presence Africaine 1963

      1 박치완, "호모 글로칼리쿠스"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2019

      2 박치완, "지식의 역사와 그 지형도" 한국외국어대학교지식출판원 2016

      3 김종영, "지배받는 지배자: 미국 유학과 한국 엘리트의 탄생" 돌베개 2015

      4 박치완, "글로컬문화콘텐츠, 어떻게 그리고 왜?"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2009

      5 류승구, "국민과 서사" 후마니타스 2011

      6 Feldman-Bianco, B, "“Interview: World Anthropologies: A Portuguese –Brazilian Conversation”, interviewed by M. V. de Almeida" 120 (120): 2018

      7 에드워드 사이드, "[단행본] 문화와 제국주의" 문예출판사 2005

      8 Fanon, F, "White Masks" Grove Press 1967

      9 Vorster, J.-A, "The ‘Decolonial Turn’: what does it mean for academic staff development" 21 (21): 2017

      10 Fanon, F, "The Wretched of the Earth" Presence Africaine 1963

      11 Donnelly, J, "The Relative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29 (29): 2007

      12 Archer, M. S, "The Problem of Agen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3 Ashcroft, B, "The Key Concepts" Routledge 2013

      14 Casey, E. S, "The Fate of Place: A Philosophical His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7

      15 Novotna, T, "The EU as a Global Actor: United We Stand, Divided We Fall" 2017

      16 Armiero, M, "Rights of Resistance: The Garbage Struggles for Environmental Justice in Campania, Italy" 23 (23): 2012

      17 Ginzburg, C, "Provincializing the world: Europeans, Indians, Jews(1704)" 14 (14): 2011

      18 Chakrabarty, D, "Provincializing Europe: Postcolonial Thought and Historical Differe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0

      19 Baber, Z, "Provincial Universalism: The Landscape of Knowledge Production in an Era of Globalizatio" 51 (51): 2003

      20 Best, S, "Postmodern Theory: Communications and Culture" Palgrave 1991

      21 Morgan, M, "Philosophy, Totality, and the Everyday: Discovering Levina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22 Mignolo, W, "On Decoloniality: Concepts" Duke University Press 2018

      23 Breuilly, J, "Nations and Nationalism" John Wiley & Sons Ltd 2016

      24 Mouzelis, N, "Modernity: a non-European conceptualization" 50 (50): 1999

      25 Tonda, J, "L’impossible décolonization des sciences sociales africaines" (72) : 2012

      26 Vandebroek, I, "Local knowledge: Who cares" 7 (7): 2011

      27 Nugrooho, K, "Local Knowledge Matters" Policy Press 2018

      28 Mignolo, W, "Local Histories/global Designs: Essays on the Coloniality of Power, Subaltern Knowledges and Border Thinkin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0

      29 Mbembe, A, "La démondialisation" 12 : 2018

      30 Dumont, J, "Indigenous Intelligence: Have We Lost Our Indigenous Mind" 19 (19): 2002

      31 Chakrabarty, D, "In Defense of "Provincializing Europe": A Response to Carola Dietze" 47 (47): 2008

      32 Anderson, B, "Imagined Communities: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 Verso 1983

      33 Mignolo, W, "I Am Where I Think: Epistemology and the Colonial Difference" 8 (8): 1999

      34 Sajó, A, "Human Rights with Modesty: The Problem of Universalism" Springer 2019

      35 Sefa Dei, G, "Heritage knowledge’ for promoting Black/African education in daisporic contexts" 1 (1): 2012

      36 Kessler, C. S, "Globalization: Another False Universalism" 21 (21): 2000

      37 Casey, E. S, "Getting Back Into Place: Towards a Renewed Understanding of the Place-World" Indiana University Press 1933

      38 Gikandi, S, "From Commonwealth to Post-Colonial" Dangaroo Press 1992

      39 Célestin, R, "France From 1851 to the Present:Universalism in Crisis" Springer 2007

      40 Schwarzer, D, "Europe, the End of the West and Global Power Shifts" 8 : 2017

      41 Dussel, E, "Europe, Modernity, and Eurocentrism" 1 (1): 2000

      42 Zielonka, J, "Europe as a Global Actor: Empire by Example" 84 (84): 2019

      43 Santos, B. de S, "Epistemologies of the South: Justice against Epistemicide" Routledge 2014

      44 Mignolo, W, "Epistemic Disobedience, Independent Thought and De-Colonial Freedom" 26 (26): 2009

      45 Schaumburg-Müller, S, "Defense of Soft Universalism: a Modest, yet Presumptuous Position" (62-63) : 2007

      46 Grosfoguel, R, "Decolonizing Western Uni-versalisms: Decolonial Pluri-versalism from Aimé Césaire to the Zapatistas" Spring 2012

      47 Mbembe, A, "Critique de la raison nègre" La Découverte 2013

      48 Chang, W, "Confucianisms for a Changing World Cultural Order"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8

      49 Milan, S, "Big Data from the South(s): Beyond Data Universalism" 20 (20): 2019

      50 Twining, D, "Asianism and Universalism: The Evolution of Norms and Power in Modern Asia" Rowman & Littlefield 2019

      51 Zeiny, E, "Academic imperialism: Towards decolonisation of English literature in Iranian universities" 47 (47):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9-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존재론 연구 -> 현대유럽철학연구
      외국어명 : Heidegger Studien -> Researches in Contemporary European Philosophy
      KCI등재
      2015-06-15 통합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5-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하이데거 연구 -> 존재론 연구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하이데거 연구
      외국어명 : Heidegger Studie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41 1.106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