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1) 생산품판매시설의 설치 배경 - 1995년 사회복지정책토론회에서 장애인생산품 판로확보와 소득보장을 위한 방안으로 '장애인생산품공판장' 설치를 발표 - 1996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1) 생산품판매시설의 설치 배경 - 1995년 사회복지정책토론회에서 장애인생산품 판로확보와 소득보장을 위한 방안으로 '장애인생산품공판장' 설치를 발표 - 1996년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1) 생산품판매시설의 설치 배경
- 1995년 사회복지정책토론회에서 장애인생산품 판로확보와 소득보장을 위한 방안으로 '장애인생산품공판장' 설치를 발표
- 1996년 서울, 부산, 대전, 제주 지역에 4개소에 장애인생산품공판장을 개설
- 1998년 대구, 광구, 인천 지역에 3개소 개설
- 2000년 울산, 경기 지억에 2개소 개설
- 2001년 경북 지역에 1개소 개설
- 2003년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남 지역에 5개소 개설
- 2004년 강원 지역에 1개소 개설
- 2016년 현재 전국 17개소 판매시설 운영 중
2) 생산품판매시설의 역할
- 장애인생산품판매시설은 장애인복지법 제58조(장애인복지시설)와 동법시행령 제36조(장애인복지시설)에 의하 '그 밖의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로 분류되는 장애인복지시설
- 장애인 생산품의 판매활동 및 유통을 대행, 장애인 생산품이나 서비스•용역
...[중략] 원문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