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자명출(性自命出)』에서 ‘정(情)’의 문제: ‘감성인식’·‘도덕감정’·‘개체감정’의 합일 = “Qing 情” as an Aesthetic Concept in Xingzimingchu 性自命出: The Unity of Sensuous Cognition, Moral Emotion, and Human Emo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604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establish a common academic foothold for Eastern and Western aesthetics by finding an intersecting point on a more fundamental level between them in the concept of qing 情. A number of sinologists including A. C. Graham have shown constant interest in the concept of qing in ancient China and have attempted to link it with the concept of emotion in Western thought. However, the majority of sinologists’ understanding of qing still remains in the category of “moral emotion,”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the choice of human actions, and thus it became inevitable that the personal human emotion found a limitation in the political purposes. This paper tries to reveal that the ancient Chinese concept of qing is directly involved in the realization of truth and the question of moral behavior―the issue of truth(眞) and good(善)―beyond the human emotions such as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that appear in reality. This paper ascertains the origin and traces the process of separation and transition of the ancient Chinese concept of qing centered on the bamboo scripts of xingzimingchu 性自命出 through historical research. This makes it possible to show that the eastern concept of qing and the concept of human emotions in aesthetics are applicable to each other in the discussions about the unity between the truth, good, and beauty(美). The various implications regarding human emotions that qing gained in the discourse that intensified with the Chinese Weijin 魏晉 Dynasty promise to provide a foundation for a common discourse between Eastern philosophy and aesthetics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is thesis aims to establish a common academic foothold for Eastern and Western aesthetics by finding an intersecting point on a more fundamental level between them in the concept of qing 情. A number of sinologists including A. C. Graham have shown...

      This thesis aims to establish a common academic foothold for Eastern and Western aesthetics by finding an intersecting point on a more fundamental level between them in the concept of qing 情. A number of sinologists including A. C. Graham have shown constant interest in the concept of qing in ancient China and have attempted to link it with the concept of emotion in Western thought. However, the majority of sinologists’ understanding of qing still remains in the category of “moral emotion,”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the choice of human actions, and thus it became inevitable that the personal human emotion found a limitation in the political purposes. This paper tries to reveal that the ancient Chinese concept of qing is directly involved in the realization of truth and the question of moral behavior―the issue of truth(眞) and good(善)―beyond the human emotions such as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that appear in reality. This paper ascertains the origin and traces the process of separation and transition of the ancient Chinese concept of qing centered on the bamboo scripts of xingzimingchu 性自命出 through historical research. This makes it possible to show that the eastern concept of qing and the concept of human emotions in aesthetics are applicable to each other in the discussions about the unity between the truth, good, and beauty(美). The various implications regarding human emotions that qing gained in the discourse that intensified with the Chinese Weijin 魏晉 Dynasty promise to provide a foundation for a common discourse between Eastern philosophy and aesthetics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동양미학과 서양미학과의 소통지점을 찾음으로써 동서양 미학 공동의 학술적 발판을 마련하는 것에 그 궁극적 목적이 있으며, 그 소통지점을 ‘정(情)’ 개념에서 찾고자 한다. 그레이엄(A. C. Graham)을 비롯한 적지 않은 국제 한학자들은 고대 중국의 ‘정’개념에 대해서 꾸준한 관심을 보여 왔으며 이를 서양사상에서의 감정(emotion) 개념과 연계시키려는 시도를 해 왔다. 그러나 대다수의 해외 한학자들의 ‘정’에 관한 이해는 행위의 결정과 직접적 관계가 있는 ‘도덕감정’의 범주에 머물러 있어, 개체감정이 윤리적 목적성에 귀속되는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이에 본 논문은 󰡔성자명출󰡕을 중심으로 한 중국 고대 ‘정’ 개념의 연원과 의미의 분립 및 전환과정에 관한 고증을 통해, 중국 고대의 ‘정’ 개념이 실제로는 표상적으로 드러나는 인간의 희노애락 감정을 넘어, 진리인식과 도덕행위의 문제, 즉 진과 선의 문제에 직접 관여하고 있음을 밝힌다. 이를 통해 동양의 ‘정’ 개념과 감성학에서의 인간감정에 관한 논의가 진·선·미 3자 간의 합일이라는 측면에서 서로 소통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동양미학과 서양미학과의 소통지점을 찾음으로써 동서양 미학 공동의 학술적 발판을 마련하는 것에 그 궁극적 목적이 있으며, 그 소통지점을 ‘정(情)’ ...

      본 논문은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동양미학과 서양미학과의 소통지점을 찾음으로써 동서양 미학 공동의 학술적 발판을 마련하는 것에 그 궁극적 목적이 있으며, 그 소통지점을 ‘정(情)’ 개념에서 찾고자 한다. 그레이엄(A. C. Graham)을 비롯한 적지 않은 국제 한학자들은 고대 중국의 ‘정’개념에 대해서 꾸준한 관심을 보여 왔으며 이를 서양사상에서의 감정(emotion) 개념과 연계시키려는 시도를 해 왔다. 그러나 대다수의 해외 한학자들의 ‘정’에 관한 이해는 행위의 결정과 직접적 관계가 있는 ‘도덕감정’의 범주에 머물러 있어, 개체감정이 윤리적 목적성에 귀속되는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이에 본 논문은 󰡔성자명출󰡕을 중심으로 한 중국 고대 ‘정’ 개념의 연원과 의미의 분립 및 전환과정에 관한 고증을 통해, 중국 고대의 ‘정’ 개념이 실제로는 표상적으로 드러나는 인간의 희노애락 감정을 넘어, 진리인식과 도덕행위의 문제, 즉 진과 선의 문제에 직접 관여하고 있음을 밝힌다. 이를 통해 동양의 ‘정’ 개념과 감성학에서의 인간감정에 관한 논의가 진·선·미 3자 간의 합일이라는 측면에서 서로 소통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2 먼로 C. 비어슬리, "미학사(AESTHETICS: from Classical Greece to the Present" 이론과 실천 1999

      3 李天虹, "郭店竹簡「性自命出」研究" 湖北教育出版社 2002

      4 翟信斌, "郭店楚簡簡明讀本3 儒家學說: 「性自命出」, 「六德」, 「尊德義」" 湖北人民出版社 2007

      5 陳 來, "郭店楚簡之“性自命出”篇初探" 3 : 1998

      6 “簡帛書法選”編輯組, "郭店楚墓竹簡:性自命出" 文物出版社 2002

      7 李 零, "道家文化研究" 三聯書店 1999

      8 "論衡"

      9 "詩經"

      10 "荀子"

      1 "論語"

      2 먼로 C. 비어슬리, "미학사(AESTHETICS: from Classical Greece to the Present" 이론과 실천 1999

      3 李天虹, "郭店竹簡「性自命出」研究" 湖北教育出版社 2002

      4 翟信斌, "郭店楚簡簡明讀本3 儒家學說: 「性自命出」, 「六德」, 「尊德義」" 湖北人民出版社 2007

      5 陳 來, "郭店楚簡之“性自命出”篇初探" 3 : 1998

      6 “簡帛書法選”編輯組, "郭店楚墓竹簡:性自命出" 文物出版社 2002

      7 李 零, "道家文化研究" 三聯書店 1999

      8 "論衡"

      9 "詩經"

      10 "荀子"

      11 何益鑫, "竹簡「性自命出」章句講疏" 上海三聯書店 2020

      12 "禮記"

      13 "方言"

      14 "性自命出"

      15 "左傳"

      16 "尙書"

      17 "孟子"

      18 徐抗生, "孔子研究精華(1986∼2015)" 齊魯書社 2016

      19 "國語"

      20 周鳳五, "古文學與古文獻試刊號" 楚文化研究會印行 1999

      21 田 君, "公孫尼子與「樂記」新考" (28) : 2009

      22 朱 伯, "先秦倫理學槪論" 北京大學出版社 1984

      23 "中庸"

      24 "世說新語"

      25 陳鼓應, "“太一生水”與“性自命出”發徽" 三聯書店 17 : 1999

      26 Virág, Curie, "The Emotions in Early Chinese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27 Baumgarten, Alexander Gottlieb, "Texte zur Grundlegung der Ästhetik" Felix Meiner 1983

      28 Graham, Angus Charles, "Studies in Chinese Philosophy and Philosophical Literatur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0

      29 Ivanhoe, Philip J., "Readings in Classical Chinese Philosophy" Seven Bridges 2001

      30 Bruya, Brian, "Qing 情 and Emotion in Early Chinese Thought" 2001

      31 Deigh, John, "Philosophy of Emo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32 Tang, Yijie, "Emotion in Pre-Qin Ruist Moral Theory: An Explanation of ‘Dao Being in Qing’" 53 : 2003

      33 Marks, Joel, "Emotion East and West" 41 : 19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10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인문예술연구소 -> 인문예술학회
      영문명 : institute of Humanities and Art -> Humanities and Art Society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