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라이프스킬 개발을 위한 초등체육수업 실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175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라이프스킬 개발을 위한 초등체육수업의 실천과정과 결과를 공유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라이프스킬 개발을 위한 초등체육수업의 구성과 실천과정을 밝히고 결과적...

      본 연구의 목적은 라이프스킬 개발을 위한 초등체육수업의 실천과정과 결과를 공유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라이프스킬 개발을 위한 초등체육수업의 구성과 실천과정을 밝히고 결과적으로 학생들이 습득한 라이프스킬의 유형과 종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연구자가 가르치고 있는 남학생 4명, 여학생 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관찰, 면담, 학생 체육일기, 교사 반성일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내용분석(Elo & Kyngas, 2008)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2009 개정 초등 체육과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라이프스킬 습득을 위한 초등체육수업의 목표, 구성 원리, 구성 내용, 수업구조를 제시하였다. 둘째, 학생들이 습득한 라이프스킬은 목표설정과 노력, 자기관리, 나의 역할 다하기와 같은 자기 성장과 관련된 ‘뿌리 내리기’ 유형, 배려하기, 소통하기, 함께하기와 같은 관계 맺기와 관련된 ‘어우러지기’ 유형, 문제를 파악하고, 수용하고, 현명한 결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과 관련된 ‘열매 맺기’ 유형으로 범주화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초등체육수업에서 라이프스킬 교육 실천하는데 있어 교사의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suggest the process and outcomes of life skills lessons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For study, we took 9 participants, of whom 8 were the students (4boys, 4 girls) and a teacher.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suggest the process and outcomes of life skills lessons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For study, we took 9 participants, of whom 8 were the students (4boys, 4 girls) and a teacher.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s, in-depth interviews and documents(e.g. teacher’s reflective journal entries, students’ journa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 inductive content analysis(Elo & Kyngas, 2008).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earcher re-organized and practiced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for achieving life skills education to a set term of one year. Also, through this re-organization, students were able to achieve the National Curriculum goals and life skills at the same time. This goal was met by the 3 re-organization criteria. They are: 1)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s and levels, 2) maintaining balance among diverse curriculum areas, 3)focusing on cooperation-oriented activities. In the class, the focus was specifically run with four practices; providing specific examples, opportunities of practices and allowing group activities and opportunities for reflections. Secondly, the life skills that students’ acquired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1) ‘rooting’- related to self-development, 2) ‘mingling’- related with establishing relationships, and 3) ‘fruiting’- related to solving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enha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life skills education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las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1. 연구 참여자
      • 2. 자료수집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1. 연구 참여자
      • 2. 자료수집
      • 3. 자료 분석
      •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 1. 라이프스킬 습득을 위한 초등체육수업의 실천
      • 2. 초등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이 습득한 라이프스킬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종희, "초등체육수업에서 긍정적인 청소년 발달을 위한 생활기술습득하기" 한국체육학회 52 (52): 331-347, 2013

      2 김동식, "체육수업을 통한 초등학생의 생활기술 습득과정 탐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 이옥선, "체육 전공 대학생들의 청소년기 스포츠 참여를 통한 생활기술(life skills) 습득 경험과 요인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9 (19): 1-22, 2012

      4 Spradely, J., "참여관찰법" 시그마프레스 2006

      5 최성호, "질적 내용분석의 개념과 절차" 2 (2): 127-155, 2016

      6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Ⅳ : 체육, 음악, 미술" 교육과학기술부 2008

      7 최의창, "전인적 청소년 교육을 위한 스포츠 활용: 최근 국제 동향과 학교체육에의 시사점" 교육연구소 15 (15): 247-276, 2014

      8 최의창, "스포츠맨십은 가르칠 수 있는가? ― 체육수업에서의 정의적 영역 지도의 어려움과 가능성 ―"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7 (17): 1-24, 2010

      9 이옥선, "스포츠를 통한 방과후학교 라이프스킬 개발 프로그램의 실행 이해" 한국여성체육학회 30 (30): 231-253, 2016

      10 이옥선, "방과후학교 체육활동의 운영특성 및 요구분석을 통한 라이프 스킬 개발 프로그램의 방향 탐색" 한국체육학회 54 (54): 255-270, 2015

      1 배종희, "초등체육수업에서 긍정적인 청소년 발달을 위한 생활기술습득하기" 한국체육학회 52 (52): 331-347, 2013

      2 김동식, "체육수업을 통한 초등학생의 생활기술 습득과정 탐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 이옥선, "체육 전공 대학생들의 청소년기 스포츠 참여를 통한 생활기술(life skills) 습득 경험과 요인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9 (19): 1-22, 2012

      4 Spradely, J., "참여관찰법" 시그마프레스 2006

      5 최성호, "질적 내용분석의 개념과 절차" 2 (2): 127-155, 2016

      6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Ⅳ : 체육, 음악, 미술" 교육과학기술부 2008

      7 최의창, "전인적 청소년 교육을 위한 스포츠 활용: 최근 국제 동향과 학교체육에의 시사점" 교육연구소 15 (15): 247-276, 2014

      8 최의창, "스포츠맨십은 가르칠 수 있는가? ― 체육수업에서의 정의적 영역 지도의 어려움과 가능성 ―"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7 (17): 1-24, 2010

      9 이옥선, "스포츠를 통한 방과후학교 라이프스킬 개발 프로그램의 실행 이해" 한국여성체육학회 30 (30): 231-253, 2016

      10 이옥선, "방과후학교 체육활동의 운영특성 및 요구분석을 통한 라이프 스킬 개발 프로그램의 방향 탐색" 한국체육학회 54 (54): 255-270, 2015

      11 안혜연,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 및 협동능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2 한혜정, "교육과정" 학지사 2012

      13 Hansen, D., "What adolescents learn in organized youth activities : a survey of self-reported developmental experiences" 13 (13): 25-55, 2003

      14 Hellison, D., "Urban children and youth: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on policies and programs" Jossey Bass 223-249, 1997

      15 Hamilton, S., "The youth development handbook coming of age in American communities" Sage Publications 3-22, 2003

      16 Elo, S.,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62 (62): 107-115, 2008

      17 Choi, E., "The influence of a sports mentoring program on children’s life skills development" 15 (15): 264-271, 2015

      18 Papacharisis, V.,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a life skills program in a school-based sport context" 3 : 247-254, 2005

      19 Eccles, J., "Student council, volunteering, basketball, or marching band : what kind of extracurricular involvement matters?" 14 (14): 10-43, 1999

      20 Danish, S., "Sport-Based Life Skills Programming in the Schools" 21 (21): 41-62, 2005

      21 Miller, S., "Sociomoral education through physical education with at-risk children" 49 : 114-129, 1997

      22 Goudas, M., "Prologue : A Review of Life Skills Teaching in Sport and Physical Education" 7 : 241-258, 2010

      23 Beller, J., "Moral reasoning of high school student athletes and general students : An empirical study versus personal testimony" 7 : 352-363, 1995

      24 Bredemeier, B., "Moral growth among athletes and non-athletes : a comparative analysis" 147 (147): 718-, 1986

      25 Gould, D., "Life skills development through sport :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1 (1): 58-78, 2008

      26 Shields, D., "Handbook of moral and character education" Routledge 500-519, 2008

      27 Eccles, J.,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adolescent development" 59 : 865-889, 2003

      28 Carr, D., "Ethics and sport" E & FN Spon 119-133, 1998

      29 Smoll, F., "Enhancement of children’s selfesteem through social support training for youth sport coaches" 78 : 602-610, 1993

      30 Smith, R., "Coach effectiveness training : a cognitivebehavioral approach to enhancing relationship skills in youth sport coaches" 1 : 59-75, 1979

      31 Weber, R., "Basic content analysis" Sage 1985

      32 Pittman, K., "Balancing the equation : Communities supporting youth, youth supporting communities" 1 (1): 19-24,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4-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KCI등재
      2011-04-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al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The Korean Jour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KCI등재
      2011-03-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7 1.67 1.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 1.37 1.644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