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일반물리학 중 역학 부분에 대한 집중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힘개념과 과학 인식 조사 = An Investigation of Introductory Physics Enrollers' Responses to a Supplementary Intensive Course for Mechan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247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university, there are various class for students to learn English or computers, and they often concern themselves with which to choose. Thus, developing various physics education classes is necessary so that university students can encounter physics outside the regular curriculum. Accordingly, this study implemented an intensive class for teaching mechanics to freshmen at the university during vacation and analyzed their understandings of the force concept and changes in their science perceptions. For this, a force-concept evaluation sheet and a survey on physics expectation created by a physics education group of University of Maryland were used to conduct evaluations before/after class participation. After an intensive class during the given period,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about the force concept was improved,and a positive change in their perceptions of their expectations,such as attitude towards or faith in physics had occur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suggest similar development of programs for learning physics by freshmen. Also, improvement of basic learning abilities is expected to aid the learning in related major courses during the semesters following the class participation.
      번역하기

      In the university, there are various class for students to learn English or computers, and they often concern themselves with which to choose. Thus, developing various physics education classes is necessary so that university students can encounter ph...

      In the university, there are various class for students to learn English or computers, and they often concern themselves with which to choose. Thus, developing various physics education classes is necessary so that university students can encounter physics outside the regular curriculum. Accordingly, this study implemented an intensive class for teaching mechanics to freshmen at the university during vacation and analyzed their understandings of the force concept and changes in their science perceptions. For this, a force-concept evaluation sheet and a survey on physics expectation created by a physics education group of University of Maryland were used to conduct evaluations before/after class participation. After an intensive class during the given period,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about the force concept was improved,and a positive change in their perceptions of their expectations,such as attitude towards or faith in physics had occur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suggest similar development of programs for learning physics by freshmen. Also, improvement of basic learning abilities is expected to aid the learning in related major courses during the semesters following the class particip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대학교에서는 영어나 컴퓨터를 배우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존재하여학생들이 무엇을 선택할 까 고민을 하는 것 처럼 정규과정 외로 물리를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물리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해 보인다. 이에 이연구에서는 대학생들 대상으로 방학 중에 5일동안 일반물리학 중 역학부분에 대해 집중적으로 교육하는 `집중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학생들의 힘개념에 대한 이해도와 수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분석하고자한다. 이를 위해 `집중 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미국 메릴랜드 대학의 물리교육그룹에서 만든 힘에 대한 개념 테스트를할 수 있는 평가지와 물리에 대한 신념이나 기대감의 정도를 측정할 수있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참가 전 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주어진 기간 동안 `집중 교육 프로그램'이 끝난 후 학생들의전반적인 힘개념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다 할 수 있으며 물리를 대하는태도나 신념과 같은 기대감에 대한 인식의 긍정적 변화가 있었다. 이결과는 대학생들의 물리 학습에 도움을 주기 위한 유사한 프로그램개발에 시사점을 줄 수 있으며, `집중 교육 프로그램' 참가 후 후속학기에 진행되는 관련 전공 과목의 학습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대학교에서는 영어나 컴퓨터를 배우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존재하여학생들이 무엇을 선택할 까 고민을 하는 것 처럼 정규과정 외로 물리를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물리교육 프로그램이 ...

      대학교에서는 영어나 컴퓨터를 배우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존재하여학생들이 무엇을 선택할 까 고민을 하는 것 처럼 정규과정 외로 물리를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물리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해 보인다. 이에 이연구에서는 대학생들 대상으로 방학 중에 5일동안 일반물리학 중 역학부분에 대해 집중적으로 교육하는 `집중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학생들의 힘개념에 대한 이해도와 수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분석하고자한다. 이를 위해 `집중 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미국 메릴랜드 대학의 물리교육그룹에서 만든 힘에 대한 개념 테스트를할 수 있는 평가지와 물리에 대한 신념이나 기대감의 정도를 측정할 수있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참가 전 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주어진 기간 동안 `집중 교육 프로그램'이 끝난 후 학생들의전반적인 힘개념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다 할 수 있으며 물리를 대하는태도나 신념과 같은 기대감에 대한 인식의 긍정적 변화가 있었다. 이결과는 대학생들의 물리 학습에 도움을 주기 위한 유사한 프로그램개발에 시사점을 줄 수 있으며, `집중 교육 프로그램' 참가 후 후속학기에 진행되는 관련 전공 과목의 학습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M. K. Han, 9 : 7-, 2002

      2 J. M. Saul, 66 : 212-, 1998

      3 S. Carey, 11 : 512-, 1989

      4 D. Hestenes, 30 : 141-, 1992

      5 D. Hestenes, 30 : 159-, 1992

      6 D. Hong, 56 : 2-, 2008

      7 H. Hong, 22 : 221-, 2010

      8 강건욱, "이공계 대학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물리학회 52 (52): 365-380, 2006

      9 김형규, "물체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와 방향에 따른 물체의 운동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개념조사" 한국물리학회 57 (57): 245-250, 2008

      10 박정우, "물리1 교과서의 관내 정상파 삽화에 대한 고등학생의 해석과 이해" 한국물리학회 61 (61): 862-875, 2011

      1 M. K. Han, 9 : 7-, 2002

      2 J. M. Saul, 66 : 212-, 1998

      3 S. Carey, 11 : 512-, 1989

      4 D. Hestenes, 30 : 141-, 1992

      5 D. Hestenes, 30 : 159-, 1992

      6 D. Hong, 56 : 2-, 2008

      7 H. Hong, 22 : 221-, 2010

      8 강건욱, "이공계 대학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물리학회 52 (52): 365-380, 2006

      9 김형규, "물체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와 방향에 따른 물체의 운동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개념조사" 한국물리학회 57 (57): 245-250, 2008

      10 박정우, "물리1 교과서의 관내 정상파 삽화에 대한 고등학생의 해석과 이해" 한국물리학회 61 (61): 862-875, 2011

      11 홍성욱, "마찰력과 관련된 기본 역학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물리학회 60 (60): 142-149, 2010

      12 김상태, "등속 원운동 물체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와 방향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개념 조사" 한국물리학회 59 (59): 209-216, 2009

      13 손진환, "대학생들의 유체 압력 개념 조사" 한국물리학회 47 (47): 380-386, 2003

      14 임성민, "대학생들의 양자물리 기초개념 이해 조사" 한국물리학회 62 (62): 135-141, 2012

      15 김희경, "고등학생들의 심미적 경험의 유형 및 과학선호도에 미친 영향" 한국물리학회 60 (60): 293-299, 2010

      16 조상연, "고등학생들의 물리 영역에 대한 과학 학습 부진 시점과 원인" 한국물리학회 62 (62): 445-453, 2012

      17 이보경, "고등학교 과학 심화선택과목 이수여부와 대학 과학 교과목의 학업성취도"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191-210, 2008

      18 "http://www.physics.umd.edu/perg/expects/mpex.htm"

      19 Sungmin Im, "Secondary and university students' expectations on learning physics" 한국물리학회 44 (44): 217-4,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6-09-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ae Mulli(New Physics) -> New Physics: Sae Mulli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4 0.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