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경조사 부조금 = Money Gifts for Weddings and Funerals in Korea : Who Gives More and More Oft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513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체면을 중시하는 한국 사회에서 부조금 지출이 가정 경제에 큰 부담이 되고 있으나, 부조금에 대한 학술적 조사는 거의 찾기 힘들다. 본 연구는 연령, 종교가, 소득, 자산, 학력, 직업, 주관적...

      체면을 중시하는 한국 사회에서 부조금 지출이 가정 경제에 큰 부담이 되고 있으나, 부조금에 대한 학술적 조사는 거의 찾기 힘들다. 본 연구는 연령, 종교가, 소득, 자산, 학력, 직업, 주관적 사회지위, 자녀 결혼가능성, 체면민감성, 미혼자녀수가 부조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령대별(30, 40, 50, 60대) 및 성별에 따른 할당 표본추출을 실시하여 308명의 유효표본을 얻었다. 부조 횟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분석에서 직업, 자산, 자녀 결혼가능성, 주관적 사회지위가 유의하였다. 1회당 부조금에 연령, 연령제곱, 성별, 소득이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부조금 총액에는 연령, 연령제곱, 직업, 자녀 결혼가능성, 주관적 사회지위가 유의하였다. 부조 횟수와 1회당 부조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서로 다르며, 부조 횟수와 1회당 부조금은 서로 상충 관계임을 제시하였다. 또한 흔히 알려진 것과는 달리 부의금보다 축의금 지출이 훨씬 더 많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efforts on spending behaviors of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in Korea, despite its practical importance in the society. This study examined such spending behaviors by lifetime-event types (i.e., wedding, funeral, ...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efforts on spending behaviors of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in Korea, despite its practical importance in the society. This study examined such spending behaviors by lifetime-event types (i.e., wedding, funeral, first-birthday party, and sixtieth-birthday party). This study is unique in that we examined the factors that are related to the frequency of giving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and the average amount of such spending per event, aswell as the total amount of such spending per year.
      Both positive and inverted-U relationships were hypothesized for the effects of age on the expenditure on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For the effects of the number of unmarried children,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lationships were considered. Men were expected to give more money and give money more frequently for others" lifetime events, compared to women. Those who have a religion were expected to give money more frequently than those who do not have a religion. Income, asset, education level, occupation, subjective social position, the likelihood of their children’s wedding in the near future, and susceptibility for social face were also expected to have relationships with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spending behavior.
      After excluding untrustworthy responses, 308 valid samples were obtained. We ran a series of regression analyses with three different dependent variables: the frequency of giving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and the average amount of such spending per event, as well as the total amount of the spending per year.
      Occupation, asset, and the likelihood of their children’s wedding in near futur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hile subjective social position was marginally significant with the frequency of giving congratulatory or condolencemoney. Age, square of age, gender, and income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average amount of the spending per event. Age, square of age, occupation, and the likelihood of children’s wedding in near futur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with the total amount of the spending per year.
      Theoretical implications. Fist, the determinants of the frequency of giving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average amount of spendingmoney per event. Second, there is a tradeoff between the frequency of giving congratulatory or condolencemoney and the average amount of spending per event. Third, people tend to spend more money for others" congratulatory events than condolence events. Lastly, more than half of the consumers seem to give less amount of money per event and give money less frequently than the fact known to everyon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체면을 중시하는 한국 사회에서 부조금 지출이 가정 경제에 큰 부담이 되고 있으나, 부조금에 대한 학술적 조사는 거의 찾기 힘들다. 본 연구는 연령, 종교가, 소득, 자산, 학력, 직업, 주관적...

      체면을 중시하는 한국 사회에서 부조금 지출이 가정 경제에 큰 부담이 되고 있으나, 부조금에 대한 학술적 조사는 거의 찾기 힘들다. 본 연구는 연령, 종교가, 소득, 자산, 학력, 직업, 주관적 사회지위, 자녀 결혼가능성, 체면민감성, 미혼자녀수가 부조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령대별(30, 40, 50, 60대) 및 성별에 따른 할당 표본추출을 실시하여 308명의 유효표본을 얻었다. 부조 횟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분석에서 직업, 자산, 자녀 결혼가능성, 주관적 사회지위가 유의하였다. 1회당 부조금에 연령, 연령제곱, 성별, 소득이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부조금 총액에는 연령, 연령제곱, 직업, 자녀 결혼가능성, 주관적 사회지위가 유의하였다. 부조 횟수와 1회당 부조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서로 다르며, 부조 횟수와 1회당 부조금은 서로 상충 관계임을 제시하였다. 또한 흔히 알려진 것과는 달리 부의금보다 축의금 지출이 훨씬 더 많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efforts on spending behaviors of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in Korea, despite its practical importance in the society. This study examined such spending behaviors by lifetime-event types (i.e., wedding, funeral, ...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efforts on spending behaviors of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in Korea, despite its practical importance in the society. This study examined such spending behaviors by lifetime-event types (i.e., wedding, funeral, first-birthday party, and sixtieth-birthday party). This study is unique in that we examined the factors that are related to the frequency of giving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and the average amount of such spending per event, aswell as the total amount of such spending per year.
      Both positive and inverted-U relationships were hypothesized for the effects of age on the expenditure on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For the effects of the number of unmarried children,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lationships were considered. Men were expected to give more money and give money more frequently for others" lifetime events, compared to women. Those who have a religion were expected to give money more frequently than those who do not have a religion. Income, asset, education level, occupation, subjective social position, the likelihood of their children’s wedding in the near future, and susceptibility for social face were also expected to have relationships with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spending behavior.
      After excluding untrustworthy responses, 308 valid samples were obtained. We ran a series of regression analyses with three different dependent variables: the frequency of giving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and the average amount of such spending per event, as well as the total amount of the spending per year.
      Occupation, asset, and the likelihood of their children’s wedding in near futur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hile subjective social position was marginally significant with the frequency of giving congratulatory or condolencemoney. Age, square of age, gender, and income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average amount of the spending per event. Age, square of age, occupation, and the likelihood of children’s wedding in near futur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with the total amount of the spending per year.
      Theoretical implications. Fist, the determinants of the frequency of giving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average amount of spendingmoney per event. Second, there is a tradeoff between the frequency of giving congratulatory or condolencemoney and the average amount of spending per event. Third, people tend to spend more money for others" congratulatory events than condolence events. Lastly, more than half of the consumers seem to give less amount of money per event and give money less frequently than the fact known to everyon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모형
      • Ⅳ. 연구방법
      • Ⅴ. 연구결과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모형
      • Ⅳ. 연구방법
      • Ⅴ. 연구결과
      • Ⅵ. 토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마이뉴스, "현금 주고받는 축의금 문화, 불쾌해요"

      2 이지현, "한일의식행사에 대한 연구 : 결혼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 한상복, "한국의 사회와 문화" 정신문화연구원 1980

      4 국립국어원, "표준어 규정"

      5 김종석, "폴란드 혼례에 나타난 기독교와 민간 신앙의 영향 고찰" 6 : 25-48, 2004

      6 이석재, "체면지향행동의 이원구조모델 검증" 15 (15): 65-83, 2001

      7 다음 블로그, "체면이 중한 중국 축의금 문화"

      8 최상진, "체면의 심리적 구조" 14 (14): 185-202, 2000

      9 조선일보, "직장인 한 해 경조사비 평균 144만원…10명 中 7명 ‘내키지 않아도 참석’"

      10 최효미, "중산층의 사회계층 소속감에 대한 분석" 46 (46): 73-84, 2008

      1 오마이뉴스, "현금 주고받는 축의금 문화, 불쾌해요"

      2 이지현, "한일의식행사에 대한 연구 : 결혼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 한상복, "한국의 사회와 문화" 정신문화연구원 1980

      4 국립국어원, "표준어 규정"

      5 김종석, "폴란드 혼례에 나타난 기독교와 민간 신앙의 영향 고찰" 6 : 25-48, 2004

      6 이석재, "체면지향행동의 이원구조모델 검증" 15 (15): 65-83, 2001

      7 다음 블로그, "체면이 중한 중국 축의금 문화"

      8 최상진, "체면의 심리적 구조" 14 (14): 185-202, 2000

      9 조선일보, "직장인 한 해 경조사비 평균 144만원…10명 中 7명 ‘내키지 않아도 참석’"

      10 최효미, "중산층의 사회계층 소속감에 대한 분석" 46 (46): 73-84, 2008

      11 SBS 뉴스, "중국의 결혼식 이야기. . . 청첩장 폭탄의 공습"

      12 포스코경영연구소, "중국의 결혼과 장례 풍습" 2009

      13 티스토리 블로그, "중국 결혼식 최소 축의금은 9만원"

      14 노컷뉴스, "정리해고 1순위는? 경력 1년 미만 여사원"

      15 아시아 경제, "전두환, 4년전 옛 부하에 축의금 2000만원 줘"

      16 다음 블로그, "일본의 장례문화-답례품"

      17 다음 블로그, "인도네시아 결혼식"

      18 중앙일보, "이름․직책 외 군더더기 없어, 1인자는 심플하다"

      19 KB 금융지주 경제연구소, "연령별 소득변화와 연금제도"

      20 뉴스와이어, "여성은 ‘경조사비’, 남성은 ‘통신비’ 가장 아까워요"

      21 중앙일보, "여성 취업률 30대 문턱서 우울한 추락"

      22 웨프뉴스, "알아두면 유익한 나라별 웨딩 문화"

      23 조선일보, "신라․워커힐․인터컨티넨탈 호텔 예식 견적 뽑아보니"

      24 박은희, "성역할정체감에 따른 체면민감성과 외모관리행동"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16 (16): 164-177, 2012

      25 중앙일보, "설문조사 해 보니"

      26 김민정, "상장례 소비문화 실태와 의식에 관한 연구" 32 : 117-133, 2006

      27 네이버 블로그, "베트남 결혼식"

      28 박동철, "미풍양속으로서 부조문화의 전통과 변화" 2010

      29 한국경제, "미국도 결혼선물 대신 축의금 선호"

      30 조선일보, "모두가 피곤한 ‘고비용’ 결혼식(3) : 5만원 봉투내고 8만원 식사하면 ‘결례’"

      31 엄태현, "루마니아의 결혼 의례와 출생 의례 : 종교적 관점에서의 연구" 6 : 229-256, 2004

      32 이상협, "동유럽 발칸의 의례 문화 연구 총론 : 동유럽 발칸의 민속 연구 제 2차년도" 6 : 3-24, 2004

      33 김영숙, "도시가계의 경조비지출구조분석" 7 (7): 1-22, 1996

      34 박명숙, "도시가계의 경조비 지출 변화추이와 관련 요인 분석" 36 (36): 13-24, 1998

      35 신동아, "대한민국은 부조공화국"

      36 다음 블로그, "대한민국 국민 연령별 평균 개인자산"

      37 경향신문, "대학졸업까지 자녀 양육비 3억원"

      38 차영란, "노년 부유층의 자아 존중감, 체면 민감성과 소비 행동의 관계 분석" (재)에스비에스문화재단 2 (2): 85-117, 2004

      39 연합뉴스, "남성중심 조직문화가 여성승진에 최대 장애"

      40 프라임경제, "기혼직장인 가장 큰 부담은 ‘경조사비’"

      41 동아일보, "경조사비 인플레… 물가보다 더 치솟아"

      42 김혜연, "경조비에 대한 의식 및 지출 변화 : IMF경제위기 이후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39 (39): 65-80, 2001

      43 이사리, "결혼의 사회자본 : 하객 연결망과 부조금에 관한 한일 비교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44 최요철, "가계소비의 자산효과 분석과 시사점" (October) : 23-53, 2007

      45 여성가족부, "e-나라지표, 남성대비 여성 임금비율"

      46 Webley, P., "The Unacceptability of Money as a Gift" 4 : 223-238, 1983

      47 Mauss, M., "The Gift: Forms and Functions of Exchange in Archaic societies" Cohen and West 1954

      48 Belk, R. W., "Research in Marketing" JAI Press 1979

      49 Cheal, D., "Gift-giving: A Research Anthology" Bowling Green University Press 1996

      50 McGrath, M. A., "Gift Giving: A Research Anthology" 1996

      51 Friedman, M., "A Theory of the Consumption Func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57

      52 류재술, "80년대 도시근로자가구의 소비구조와 그 성격에 관한 연구 : 특히 80년대말의 과소비적 특성을 중심으로" 3 (3): 59-74, 1992

      53 최주희, "16세기 양반관료의 선물관행과 경제적 성격" 한국역사연구회 71 (71): 245-289,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무역학회 -> 한국문화산업학회
      영문명 : Korea Society Of Culture And International Trade -> Korea Society of Culture Industr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3 1.366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