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 마케팅은 장소, 즉, 특정 공간이나 지역을 마케팅의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장소의 상품화를 의미한다. 장소마케팅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공간을 장소로 만들고자 하는 공간의 생산자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351309
2014
Korean
장소마케팅 ; 금정구 ; 문화관광 ; 문화콘텐츠 ; 문화원형 ; placemarketing ; Pusan Kumjungku ; cultual ; artistic & ; educational special distric ; cultural contents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13-129(17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장소 마케팅은 장소, 즉, 특정 공간이나 지역을 마케팅의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장소의 상품화를 의미한다. 장소마케팅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공간을 장소로 만들고자 하는 공간의 생산자와 ...
장소 마케팅은 장소, 즉, 특정 공간이나 지역을 마케팅의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장소의 상품화를 의미한다. 장소마케팅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공간을 장소로 만들고자 하는 공간의 생산자와 이러한 공간을 방문하거나 체험하는 공간의 수용자, 그리고 소통의 매체로서 장소가 되어야 하는 공간과 그와 결부된 장소관련 문화콘텐츠로 구성된다. 부산 금정구는 수려한 자연과 도시서비스, 공업, 농업, 교육, 관광 등이 어우러진 발전의 잠재력이 큰 도농복합지역으로서 2013년 정부로부터 문화예술교육특구로 지정되어 각종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큰 잠재력과 정부지원을 받는 지역의 발전은 전략적인 장소마케팅의 견지에서 검토하여 정책을 추진하여야 그 발전 잠재력을 충분히 현실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부산 금정구는 체험사회를 대표하는 제3의 공간의 특징인 몰링, 컨셉트 라인, 코어 어트랙션에 유의해서 공간배치와 활용을 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부산금정구의 고유한 문화콘텐츠를 발굴하여 그것을 확장하여 부산금정구의 매력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부산금정구의 고유하면서도 매력적인 문화콘텐츠 형성을 위해서는 우선 부산금정구와 관련이 있는 문화가치를 발굴하거나 새롭게 인식하여 확산하여야 한다. 이 때 부산 금정구와 관련이 있는 문화원형을 발굴하여 그것을 문화콘텐츠로 개발하고 산업화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화콘텐츠와 그것의 산업화는 그것만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것과 관련이 있는 문화가치의 이식과 확장, 그리고 향후 금정구 지역을 넘어서서 부산 전체에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강력한 추진력과 공감대 형성을 이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러한 일의 추진 과정에는 지역의 문화예술인과 기업인, 학계 등이 참여하는 금정문화위원회를 결성하여 산학관 협력의 거버넌스를 확립하여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lace marketing takes specific space or region as objects of marketing and means commercialization of place. Place marketing is composed of producers of space who intend to make space as place, the receivers who visit or experience the place, the spac...
Place marketing takes specific space or region as objects of marketing and means commercialization of place. Place marketing is composed of producers of space who intend to make space as place, the receivers who visit or experience the place, the space which should become place as media of communication, and the cultural contents relatedwith the place.
Pusan Kumjungku is city-rural complex region which is composed with city services, industry, agriculture, education, and tourism, and so has big potential for development. It has been nominated as cultural artistic and educational special district by central government in the year of 2013.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 with such big potential and government support can be realized enough only when the policy is supported with the examination of the region with the strategic place marketing.
The characteristics of Pusan Kumjungku as place is deeply related with the identity of Pusan region and has the large symbolic meaning and importance In Pusan Kumjungku , the allocation and use of space should be done in accordance to the concepts of mall, concept line, and core attraction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space in experience society. Nextly, the attractiveness of Pusan Kumjungku should be heightened up through searching and expending cultural contents specific to the place. At this time, cultural primitive type related with Pusan Kumjungku should be searched and be developed into cultural contents and utilized not only in artistic creation but also in cultural industry. This kind of cultural contents and its commercialization should, not just finish as itself, but excercise the power of affection all through the Pusan, so achieve strong propelling power and consensus. In the process of these job, the governance system of cooperation among citizen, bureaucracy academic and industrist through forming Kumjung. Cultural Committee should be established.
국문 초록 (Abstract)
장소 마케팅은 장소, 즉, 특정 공간이나 지역을 마케팅의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장소의 상품화를 의미한다. 장소마케팅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공간을 장소로 만들고자 하는 공간의 생산자와 ...
장소 마케팅은 장소, 즉, 특정 공간이나 지역을 마케팅의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장소의 상품화를 의미한다. 장소마케팅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공간을 장소로 만들고자 하는 공간의 생산자와 이러한 공간을 방문하거나 체험하는 공간의 수용자, 그리고 소통의 매체로서 장소가 되어야 하는 공간과 그와 결부된 장소관련 문화콘텐츠로 구성된다. 부산 금정구는 수려한 자연과 도시서비스, 공업, 농업, 교육, 관광 등이 어우러진 발전의 잠재력이 큰 도농복합지역으로서 2013년 정부로부터 문화예술교육특구로 지정되어 각종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큰 잠재력과 정부지원을 받는 지역의 발전은 전략적인 장소마케팅의 견지에서 검토하여 정책을 추진하여야 그 발전 잠재력을 충분히 현실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부산 금정구는 체험사회를 대표하는 제3의 공간의 특징인 몰링, 컨셉트 라인, 코어 어트랙션에 유의해서 공간배치와 활용을 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부산금정구의 고유한 문화콘텐츠를 발굴하여 그것을 확장하여 부산금정구의 매력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부산금정구의 고유하면서도 매력적인 문화콘텐츠 형성을 위해서는 우선 부산금정구와 관련이 있는 문화가치를 발굴하거나 새롭게 인식하여 확산하여야 한다. 이 때 부산 금정구와 관련이 있는 문화원형을 발굴하여 그것을 문화콘텐츠로 개발하고 산업화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화콘텐츠와 그것의 산업화는 그것만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것과 관련이 있는 문화가치의 이식과 확장, 그리고 향후 금정구 지역을 넘어서서 부산 전체에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강력한 추진력과 공감대 형성을 이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러한 일의 추진 과정에는 지역의 문화예술인과 기업인, 학계 등이 참여하는 금정문화위원회를 결성하여 산학관 협력의 거버넌스를 확립하여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lace marketing takes specific space or region as objects of marketing and means commercialization of place. Place marketing is composed of producers of space who intend to make space as place, the receivers who visit or experience the place, the spac...
Place marketing takes specific space or region as objects of marketing and means commercialization of place. Place marketing is composed of producers of space who intend to make space as place, the receivers who visit or experience the place, the space which should become place as media of communication, and the cultural contents relatedwith the place.
Pusan Kumjungku is city-rural complex region which is composed with city services, industry, agriculture, education, and tourism, and so has big potential for development. It has been nominated as cultural artistic and educational special district by central government in the year of 2013.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 with such big potential and government support can be realized enough only when the policy is supported with the examination of the region with the strategic place marketing.
The characteristics of Pusan Kumjungku as place is deeply related with the identity of Pusan region and has the large symbolic meaning and importance In Pusan Kumjungku , the allocation and use of space should be done in accordance to the concepts of mall, concept line, and core attraction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space in experience society. Nextly, the attractiveness of Pusan Kumjungku should be heightened up through searching and expending cultural contents specific to the place. At this time, cultural primitive type related with Pusan Kumjungku should be searched and be developed into cultural contents and utilized not only in artistic creation but also in cultural industry. This kind of cultural contents and its commercialization should, not just finish as itself, but excercise the power of affection all through the Pusan, so achieve strong propelling power and consensus. In the process of these job, the governance system of cooperation among citizen, bureaucracy academic and industrist through forming Kumjung. Cultural Committee should be establish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Schumitt, Bernd H, "체험마케팅(Expeiential Marketing)" 세종서적 2002
2 임승빈, "조경이 만드는 도시: 친환경적, 친인간적 도시의 창조"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8
3 Mikunda, C., "제3의 공간" 미래의 창 2005
4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제3세계의 관광공해" 민중사 1985
5 Norberg-Schulz, C, "장소의 혼" 태림문화사 1996
6 Relph, E, "장소와 장소상실(Place and placelessness)" 논형 2005
7 이진희, "장소마케팅을 통한 중문관광단지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25 (25): 217-236, 2001
8 백선혜, "장소마케팅에서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 : 한국과 미국 소도시의 문화예술축제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9 이무용, "장소마케팅 전략의 문화적 개념과 방법론에 관한 고찰" 대한지리학회 41 (41): 39-57, 2006
10 전신욱, "장소 마케팅(marketing Place)을 통한 지방도시의 발전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8 (8): 26-45, 2004
1 Schumitt, Bernd H, "체험마케팅(Expeiential Marketing)" 세종서적 2002
2 임승빈, "조경이 만드는 도시: 친환경적, 친인간적 도시의 창조"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8
3 Mikunda, C., "제3의 공간" 미래의 창 2005
4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제3세계의 관광공해" 민중사 1985
5 Norberg-Schulz, C, "장소의 혼" 태림문화사 1996
6 Relph, E, "장소와 장소상실(Place and placelessness)" 논형 2005
7 이진희, "장소마케팅을 통한 중문관광단지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25 (25): 217-236, 2001
8 백선혜, "장소마케팅에서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 : 한국과 미국 소도시의 문화예술축제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9 이무용, "장소마케팅 전략의 문화적 개념과 방법론에 관한 고찰" 대한지리학회 41 (41): 39-57, 2006
10 전신욱, "장소 마케팅(marketing Place)을 통한 지방도시의 발전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8 (8): 26-45, 2004
11 홍성용, "스페이스의 마케팅"
12 부산발전연구원, "부산지역창조산업육성 기초조사" 부산발전연구원 2011
13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의 거리 조성방법과 사례"
14 정미강, "문화산업클러스터의 장소마케팅 전략 연구 - 부천 문화산업진흥지구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산업학회 10 (10): 27-47, 2010
15 문화체육관광부, "문화관광축제 종합평가보고서 9, 10, 11" 부산자갈치문화관광축제위원회 2010
16 최승담, "문화관광과 지역발전 : 외국사례를 중심으로" 1996
17 요산기념사업회, "목숨이여! 오, 목숨이여!"
18 이무용, "도시개발의 문화전략과 장소마케팅" 8 : 197-231, 1997
19 한국관광공사, "관광정보, 11월호, 12월호"
20 Tuan, Yi-Fu, "공간과 장소(Space and Place: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태림문화사 1995
21 Norberg-Schulz, C., "건축의 의미와 장소성" 미건사 1994
22 "http://www.jagalchimarket.org/"
23 "http://www.jagalchimarket.or.kr/"
24 "http://www.ijagalchi.co.kr/"
25 Hewison, R., "The Heritage Industry : Britain in Climate of Decline" Methuen 1987
26 Poon, A., "The 'New Tourism' Revolution" 15 (15): 91-92, 1994
27 Ashworth G. J., "Selling the C;ity : Marketing Approaches in Public Sector Urban Planning" Belhaven Press 1990
28 Kearns, G., "Selling Places: The City as Cultural Capital, Past and Present" Oxford Press 1993
29 Keams, G., "Selling Places : the City as Cultural Capital, Past Present" Pergamon Press 1993
30 Ward, S. V., "Selling Places : The Marketing and Promotion of Towns and Cities 1850-2000" E & FN SPON 1998
31 Bianchini, F., "Rebuilding the City: Property-led Urban Regeneration" E & FN Spon 1992
32 Ward, S. V., "Place Promotion: The Use of Publicity and Marketing to Sell Towns and Regions" John Wiley & Sons 1997
33 Bird, J., "Mapping the Futures: Local Culture, Global Change" Routledge 1993
34 Griffiths, R., "Cultural Strategies and New Modes of Urban Interverntion" 12 (12): 253-265, 1995
35 Paddison, R., "City Marketing, Image Reconstruction and Urban Regeneration" 30 (30): 339-349, 1993
36 Brownhill, S., "British Urban Policy and the Urban Development Corporations" Paul Chapman Publishing 1993
점포이미지에 대한 소비자 성격특성별 감성 반응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8-04-1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문화무역학회 -> 한국문화산업학회영문명 : Korea Society Of Culture And International Trade -> Korea Society of Culture Industry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8 | 0.88 | 0.9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6 | 0.83 | 1.366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