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알 가잘리의 신과 인간의 관계 = The View of Al-Ghazali on Relationship between Islamic God and Human Being -Focused on the transcendence and imman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637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알 가잘리의 신과 인간의 관계를 정통 이슬람과 수피즘의 입장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한다. 알 가잘리의 "신과 인간의 관계"에 있어서 신은 `신은 초월적인가? 아니면 내재적인가?`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따위히드(Tawhid, 신의 유일성) 개념은 신의 전적 초월성과 신의 약한 내재성을 함축한다. 알 가잘리가 신과 인간과의 관계에서 신의 현존(現存)을 추구함은 "신의 유일성(따위히드)"개념에 결여(缺如)된 신의 내재에 대한 보완이라 사료된다. 정통 이슬람의 관점에 따르면, 신과 인간의 관계에서는 신의 전적 초월과 약한 내재성이 동시에 나타나며 이것은 신의 완전성과 모순되지 않는다. 창조주신에 대한 인간의 응답은 신에 대한 절대 복종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신과 인간의 인격적인 관계는 아주 약하다. 결국 신과 인간과의 밀접한 관계를 추구하는 무슬림은 그들의 실존에서 영적(靈的) 갈증을 체험하게 되고 영적 구원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알 가잘리에 따르면, 인간은 신을 추구하는 존재이다. 그러므로 알 가잘리는 수피즘에서 신과의 합일을 추구한다. 수피즘에서 말하는 신의 내재란 인간이 주체가 되어 신에게로 가는 신과의 합일이다. 그러므로 신이 주체가 되어 인간을 향해 내려오는 내재를 주장하는 기독교의 입장과 상반된다. 알 가잘리는 "따위히드(Tawhid, 신의 유일성)" 개념에 결여된 신의 전적 내재성을 수피즘의 화나(Fana, 신과의 합일) 개념을 통해서 그의 신 개념을 보완 혹은 심화시켰다. 이러한 현상은 정통 이슬람의 "따위히드" 신 개념이 완전한 신 개념이라고 전제할 때 모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 가잘리가 신과 인간과의 관계에서 신의 전적 내재성을 요청한 것은 신의 사랑을 갈망하였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알 가잘리의 신과 인간의 관계를 정통 이슬람과 수피즘의 입장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한다. 알 가잘리의 "신과 인간의 관계"에 있어서 신은 `신은 초월적인가? 아니면 내재적인가?`...

      본 논문은 알 가잘리의 신과 인간의 관계를 정통 이슬람과 수피즘의 입장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한다. 알 가잘리의 "신과 인간의 관계"에 있어서 신은 `신은 초월적인가? 아니면 내재적인가?`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따위히드(Tawhid, 신의 유일성) 개념은 신의 전적 초월성과 신의 약한 내재성을 함축한다. 알 가잘리가 신과 인간과의 관계에서 신의 현존(現存)을 추구함은 "신의 유일성(따위히드)"개념에 결여(缺如)된 신의 내재에 대한 보완이라 사료된다. 정통 이슬람의 관점에 따르면, 신과 인간의 관계에서는 신의 전적 초월과 약한 내재성이 동시에 나타나며 이것은 신의 완전성과 모순되지 않는다. 창조주신에 대한 인간의 응답은 신에 대한 절대 복종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신과 인간의 인격적인 관계는 아주 약하다. 결국 신과 인간과의 밀접한 관계를 추구하는 무슬림은 그들의 실존에서 영적(靈的) 갈증을 체험하게 되고 영적 구원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알 가잘리에 따르면, 인간은 신을 추구하는 존재이다. 그러므로 알 가잘리는 수피즘에서 신과의 합일을 추구한다. 수피즘에서 말하는 신의 내재란 인간이 주체가 되어 신에게로 가는 신과의 합일이다. 그러므로 신이 주체가 되어 인간을 향해 내려오는 내재를 주장하는 기독교의 입장과 상반된다. 알 가잘리는 "따위히드(Tawhid, 신의 유일성)" 개념에 결여된 신의 전적 내재성을 수피즘의 화나(Fana, 신과의 합일) 개념을 통해서 그의 신 개념을 보완 혹은 심화시켰다. 이러한 현상은 정통 이슬람의 "따위히드" 신 개념이 완전한 신 개념이라고 전제할 때 모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 가잘리가 신과 인간과의 관계에서 신의 전적 내재성을 요청한 것은 신의 사랑을 갈망하였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mpare Al-Gahzahli`s orthodoxy Islam position with supism`s on relationship between Islamic God and human being. I try to analyze the reason why having process of changing the concept of Al-Gahzahli`s Islamic God from orthodoxy Islam`s position to supism`s. I think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being is closely with the concepts of transcendence and of immanence. In Orthodoxy Islam, the concept of God`s transcendence is emphasized, at the same time concept of God`s immanence is very weak. God`s immanence is compatible with His transcendence. Human being should obey to God. Therefore Al-Ghazali Pursues entire God`s immanence in sufism. In sufism, Al-Ghazali emphasizes the concept of fana, union of God with Human being. The concepts of unity of God are very differ in both`s position. In orthodoxy Islam`s position, It means unity of God, Tawhid, According to sufism`s position it means union of God with human being, Fana. In fact, this phenomenon is inconsistent with the concept of Islamic God. I think that Sufism is a Al-Ghazali`s magnificent theological work. In orthodoxy Islam`s view point, Immanence of God is very weak, therefore Al-Ghazali tried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in immanence of God. Between Immanence in Sufism and God`s immanence in Christianity, concepts of immanence are so different. God`s immanence in Christianity can be well known in the event that God becomes human, namely Incarnation. But immanence in Sufism means union with God from Human being.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mpare Al-Gahzahli`s orthodoxy Islam position with supism`s on relationship between Islamic God and human being. I try to analyze the reason why having process of changing the concept of Al-Gahzahli`s Islamic God fr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mpare Al-Gahzahli`s orthodoxy Islam position with supism`s on relationship between Islamic God and human being. I try to analyze the reason why having process of changing the concept of Al-Gahzahli`s Islamic God from orthodoxy Islam`s position to supism`s. I think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being is closely with the concepts of transcendence and of immanence. In Orthodoxy Islam, the concept of God`s transcendence is emphasized, at the same time concept of God`s immanence is very weak. God`s immanence is compatible with His transcendence. Human being should obey to God. Therefore Al-Ghazali Pursues entire God`s immanence in sufism. In sufism, Al-Ghazali emphasizes the concept of fana, union of God with Human being. The concepts of unity of God are very differ in both`s position. In orthodoxy Islam`s position, It means unity of God, Tawhid, According to sufism`s position it means union of God with human being, Fana. In fact, this phenomenon is inconsistent with the concept of Islamic God. I think that Sufism is a Al-Ghazali`s magnificent theological work. In orthodoxy Islam`s view point, Immanence of God is very weak, therefore Al-Ghazali tried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in immanence of God. Between Immanence in Sufism and God`s immanence in Christianity, concepts of immanence are so different. God`s immanence in Christianity can be well known in the event that God becomes human, namely Incarnation. But immanence in Sufism means union with God from Human being.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