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는 대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만 존재하지 않는다. 대상에 대해 안다는 것은 인식능력 즉 정신활동을 통해서 얻어지는 것으로 앎의 내용보다 앎을 알아가는 인식론적 과정이 중요하다. 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572493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15-133(1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언어는 대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만 존재하지 않는다. 대상에 대해 안다는 것은 인식능력 즉 정신활동을 통해서 얻어지는 것으로 앎의 내용보다 앎을 알아가는 인식론적 과정이 중요하다. 본...
언어는 대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만 존재하지 않는다. 대상에 대해 안다는 것은 인식능력 즉 정신활동을 통해서 얻어지는 것으로 앎의 내용보다 앎을 알아가는 인식론적 과정이 중요하다. 본고는 이러한 인식론적 과정이 의도하지 않은 언어폭력과 관계있다고 전제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비의도적 언어폭력의 원인이 ‘안경에 비쳐진 세계에 의한 해석’에서 비롯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이 ‘안경’의 본질을 칸트, 바슐라르, 비트겐슈타인의 이론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의사소통 표현의 옳고 그름은 주관적 인식의 형식, 다시 말해 문화적 배경에 따른 주관적 판단에 따라 결정지어질 수 있다. 인간에게 인식되는 대상체계는 인간의 인식형식을 떠나 그 자체로 존재하는 세계가 아니다. 오직 인간의 인식형식에 따라 시공간적 실체성과 인과성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세계로 볼 수 있다. 다양한 세계를 비추는 ‘안경’으로 인한 언어폭력성을 바슐라르의 ‘문화콤플렉스’ 이론과 비트겐슈타인의 ‘언어게임’ 이론을 통해 비교하였다.
문화콤플렉스는 문화적 기호체계의 영향을 받는데, 이는 문화적 기호체계가 한 사회의 상징체계와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다양한 언어게임 규칙은 제도성이나 사회활동을 반영하는데, 이때 한 단어의 의미는 언어게임 상황과 맥락의 이해에 따라 위험스럽고 불완전한 의사소통의 수단이 될 수도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dieser Arbeit wird anhand erkenntnistheoretischer Gesichtspunkte untersucht, wie unbeabsichtigte Sprachgewalt in der Kommunikation vorkommen kann und welche kulturellen Hintergrunde dahinterstecken. Als theoretische Grundlagen sind die Erkenntnisth...
In dieser Arbeit wird anhand erkenntnistheoretischer Gesichtspunkte untersucht, wie unbeabsichtigte Sprachgewalt in der Kommunikation vorkommen kann und welche kulturellen Hintergrunde dahinterstecken. Als theoretische Grundlagen sind die Erkenntnistheorien von Kant, die Sprachspieltheorie von Wittgenstein, die Kulturkomplextheorie von Bachelard. Diese Arbeit geht davon aus, dass verschiedene Erkenntnisaspekte unbeabsichtigter Sprachgewalt eine wichtige Rolle spielen.
Unsere Erfahrungserkenntnis kann ein Komplex aus dem sein, was wir durch kulturelle Eindrucke empfangen, und dem, was unser eigenes Erkenntnisvermogen zur Verfugung steht. Schulische Ausbildung und kulturelle Assoziation beeintrachtigen bei der Imagevorstellung sehr. Dabei stellt man fest, dass solche Beeintrachtigung auch fur die Kommunikation gilt und dass unbeabsichtigte Sprachgewalt dadurch verursacht wird. Wittgenstein betont beim Sprachgebrauch, dass eine assoziative Verbindung zwischen dem Wort und dem Ding vorkommt.
Abschließend lasst sich zusammenfassen, dass man nicht nur grammatische Sprachkompetenz, sondern auch soziale Sprachkompetenzleistung braucht, um erfolgreiche und konfliktfreie Kommunikation durchfuhren zu konnen. Dabei benotigt man auch ein richtiges und erweitertes Urteilvermogen, damit man uber den Gegenstand hinaus anschauen kann.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연, "훔볼트 형제의 통섭" 도서출판 역락 2014
2 강명희, "한․독 청소년 언어에 나타나는 폭력성- 청소년 영화에 나타나는 대화를 중심으로" 한국독일어문학회 20 (20): 1-24, 2012
3 비트겐슈타인, 루트비히, "철학적 탐구" 아카넷 2016
4 들뢰즈, 질, "천 개의 고원" 새물결 2001
5 정지은, "언어폭력과 비폭력; 잉여로서의 언어폭력" 2 : 37-62, 2009
6 부르디외, 피에르, "언어와 상징권력" 나남 2001
7 김종수, "언어에 의한 성차별과 언어폭력" 22 : 83-103, 2001
8 나이다, "언어간 의사소통의 사회언어학"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2
9 칸트, 이마누엘, "순수이성 비판 서문" 책세상 2012
10 헤리스, 로이, "소쉬르와 비트겐슈타인의 언어" 보고사 1999
1 김미연, "훔볼트 형제의 통섭" 도서출판 역락 2014
2 강명희, "한․독 청소년 언어에 나타나는 폭력성- 청소년 영화에 나타나는 대화를 중심으로" 한국독일어문학회 20 (20): 1-24, 2012
3 비트겐슈타인, 루트비히, "철학적 탐구" 아카넷 2016
4 들뢰즈, 질, "천 개의 고원" 새물결 2001
5 정지은, "언어폭력과 비폭력; 잉여로서의 언어폭력" 2 : 37-62, 2009
6 부르디외, 피에르, "언어와 상징권력" 나남 2001
7 김종수, "언어에 의한 성차별과 언어폭력" 22 : 83-103, 2001
8 나이다, "언어간 의사소통의 사회언어학"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2
9 칸트, 이마누엘, "순수이성 비판 서문" 책세상 2012
10 헤리스, 로이, "소쉬르와 비트겐슈타인의 언어" 보고사 1999
11 홍명희, "상상력과 가스통 바슐라르" 살림 2016
12 올리브지, 스테판, "부르디외, 커뮤니케이션을 말하다"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13 임유영, "미디어 폭력에 대한 성찰과 형상화 전략 - 미하엘 하네케의 <베니의 비디오>를 중심으로" 한국독일언어문학회 (53) : 27-49, 2011
14 메를로 퐁티, 모리스, "간접적인 언어와 침묵의 목소리" 책세상 2014
15 Sweet, H., "The History of Language" Dent 1900
16 Schwarz-Friesel, M., "Sprache und Emotion" A. Francke. UTB 2013
17 Humboldt, W. von, "Schriften zur Sprachphilosophie" WBG 2010
18 Wittgenstein, L., "Philosophische Untersuchungen" Suhrkamp 2013
19 Kant, I., "Kritik der reinen Vernunft" Suhrkamp 1974
20 Searle, J., R., "Geist, Sprache und Gesellschaft. Philosophie in der wirklichen Welt. Aus dem Englischen von Harvey p. Gavagai: Mind, Language and Society. Philosophy in der Real World" Suhrkamp 2015
전문어에서의 은유표현 연구 - 주식시장 분석에서 사용되는 은유표현을 중심으로
매체유형에 따른 독일이미지의 재현양식에 관한 연구 영화와 광고 속 독일이미지의 텍스트-기호학적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독일어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및 <평가> 항목의 구성방식 제안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10-0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독일언어문학연구회 -> 한국독일언어문학회영문명 : Koreanische Gesellschaft FÜR Deutsche Sprache Und Literatur -> Koreanische Gesellschaft fuer Deutsche Sprache Und Literatur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9 | 0.29 | 0.2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3 | 0.21 | 0.505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