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술교과에서 인성교육 실천 전략 = Strategies to character education in art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761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ersonality and character traits have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virtues in our tradition and society. Arts has been used as a healing tool for student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creative activities.
      Arts was most efficient medium for including balanced growth in developmental domains, which are body, mind and spirit conforming to sound personality.
      In order to facilitate the personal growth through arts, various arts education has to prosper in school setting meeting student’s taste, interests and needs. For this to happen, a functional and efficient art education model has to be formulated based on the essential intra and extra school resources.
      This study suggest three strategies to ‘strengthen of self-identity’,‘strengthen of ability to form relationship’, ‘strengthen of sociality’. First, the goal of ‘strategies to strengthen of self-identity’ is strengthening self-education or self-healing through the art activities which have the process of self-understanding and self-expression. Second, the goal of ‘strengthen of ability to form relationship’ is continues the formation and psychological ties with others by doing art activities which make the consensus through sympathy and communicating with others. Third, ‘strategies to strengthen Sociality’ set the goal to have a sense of belonging in to group and social cooperation through art activities.
      번역하기

      Personality and character traits have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virtues in our tradition and society. Arts has been used as a healing tool for student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creative activities. Arts was most efficient ...

      Personality and character traits have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virtues in our tradition and society. Arts has been used as a healing tool for student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creative activities.
      Arts was most efficient medium for including balanced growth in developmental domains, which are body, mind and spirit conforming to sound personality.
      In order to facilitate the personal growth through arts, various arts education has to prosper in school setting meeting student’s taste, interests and needs. For this to happen, a functional and efficient art education model has to be formulated based on the essential intra and extra school resources.
      This study suggest three strategies to ‘strengthen of self-identity’,‘strengthen of ability to form relationship’, ‘strengthen of sociality’. First, the goal of ‘strategies to strengthen of self-identity’ is strengthening self-education or self-healing through the art activities which have the process of self-understanding and self-expression. Second, the goal of ‘strengthen of ability to form relationship’ is continues the formation and psychological ties with others by doing art activities which make the consensus through sympathy and communicating with others. Third, ‘strategies to strengthen Sociality’ set the goal to have a sense of belonging in to group and social cooperation through art activ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술교육 활성화를 통해 학생들의 소통과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고, 교사와 학생들이 행복한 학교 문화를 만들어나가도록 하며, 위기의 학생을 위한 대책을 수립 하는 관점에서 미술교과의 인성교육 실천 전략을 제안 한다. 예술교육의 핵심인 미적 경험에 따른 미적 안목의 형성은 인간의 생명, 성장, 행복의 가치를 판단하도록 하며, 자신을 조절하면서 상식적인 타당한 행동을 할 수 있는 도덕적 품성을 기르도록한다. 특히 예술교육에서의 즐거움이 내재되어 있는 미적 경험은 감수성과 지각력을정련시킴으로서, 삶의 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예술교육에서의 자발적 표현을 유도함으로서 자기성찰의 기회를 제공하여 성숙한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은 예술교과의 본질적 특성을 기초로 도출된 예술인성교육의 의미와 핵심요소를 준거로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과의 인성교육 관련 요소를 분석하고, ‘자아 존중감 강화 전략’, ‘관계 형성 강화 전략’, ‘사회성 강화 전략‘ 등을 실천 방안으로서 제시한다. 또한각 전략의 목표와 인성교육요소, 관련 미술활동을 제시함으로서 학교 현장에서 미술교과 시간에 인성교육이 실천 될 수 있는 구체적인 내용을 제안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예술교육 활성화를 통해 학생들의 소통과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고, 교사와 학생들이 행복한 학교 문화를 만들어나가도록 하며, 위기의 학생을 위한 대책을 수립 하는 관점에서 미...

      본 연구는 예술교육 활성화를 통해 학생들의 소통과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고, 교사와 학생들이 행복한 학교 문화를 만들어나가도록 하며, 위기의 학생을 위한 대책을 수립 하는 관점에서 미술교과의 인성교육 실천 전략을 제안 한다. 예술교육의 핵심인 미적 경험에 따른 미적 안목의 형성은 인간의 생명, 성장, 행복의 가치를 판단하도록 하며, 자신을 조절하면서 상식적인 타당한 행동을 할 수 있는 도덕적 품성을 기르도록한다. 특히 예술교육에서의 즐거움이 내재되어 있는 미적 경험은 감수성과 지각력을정련시킴으로서, 삶의 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예술교육에서의 자발적 표현을 유도함으로서 자기성찰의 기회를 제공하여 성숙한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은 예술교과의 본질적 특성을 기초로 도출된 예술인성교육의 의미와 핵심요소를 준거로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과의 인성교육 관련 요소를 분석하고, ‘자아 존중감 강화 전략’, ‘관계 형성 강화 전략’, ‘사회성 강화 전략‘ 등을 실천 방안으로서 제시한다. 또한각 전략의 목표와 인성교육요소, 관련 미술활동을 제시함으로서 학교 현장에서 미술교과 시간에 인성교육이 실천 될 수 있는 구체적인 내용을 제안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기은, "협동작업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교우관계 증진에 미치는 효과" 啓明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2 정진숙,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불안 우울 감소를 위한미술치료" 4 : 125-150, 2008

      3 김대현, "프로젝트 학습의 운영" 학지사 1999

      4 이은진,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6 (46): 55-76, 2007

      5 양경자, "집단미술치료가 선도대상학생의 비행태도 및 비행성향 감소에 미치는 효과"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6 조민환, "중국철학과 예술정신" 예문서 1997

      7 석문주, "외국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 연구: 미국, 영국, 핀란드, 일본을 중심으로" 한국예술교육학회 8 (8): 1-19, 2010

      8 최경희, "예술인성교육의 비전 및 실천과제 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2

      9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인성교육의 비전 및 실천과제 개발 연구" 2012

      10 김정희, "미술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적용 방안" 한국교과교육학회 1 : 160-, 1999

      1 신기은, "협동작업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교우관계 증진에 미치는 효과" 啓明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2 정진숙,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불안 우울 감소를 위한미술치료" 4 : 125-150, 2008

      3 김대현, "프로젝트 학습의 운영" 학지사 1999

      4 이은진,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6 (46): 55-76, 2007

      5 양경자, "집단미술치료가 선도대상학생의 비행태도 및 비행성향 감소에 미치는 효과"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6 조민환, "중국철학과 예술정신" 예문서 1997

      7 석문주, "외국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 연구: 미국, 영국, 핀란드, 일본을 중심으로" 한국예술교육학회 8 (8): 1-19, 2010

      8 최경희, "예술인성교육의 비전 및 실천과제 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2

      9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인성교육의 비전 및 실천과제 개발 연구" 2012

      10 김정희, "미술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적용 방안" 한국교과교육학회 1 : 160-, 1999

      11 이주연, "미술교육에서 인성교육의 의미 고찰"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30 (30): 91-117, 2011

      12 이재영, "미술과 창의·인성 교육 방안 - 통섭과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를 중심으로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33 (33): 25-45, 2012

      13 류중하, "동양, 서양, 그리고 아름다움" 푸른숲 1999

      14 Gardner, H., "The influence of cognitive psychology on art education as seen in the work of Howard Gardner and Elliot Eisner" Iowa state university 36-58, 1990

      15 Anderson, T., "Art for life: Authentic instruction in art" McGraw-Hill Companies 2004

      16 Parsons, M., "Aesthetic and Education" 현대 미학사 1998

      17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5-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회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영문명 : Art Education Society Of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 Korea Elementary Art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4 0.933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