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저출산 · 고령화 등의 인구구조 변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직 · 간접적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1987~2017년의 국내 데이터를 이용하여 VARX 모형을 추정하였다. 인구구조 변화는 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621287
201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13-141(2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저출산 · 고령화 등의 인구구조 변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직 · 간접적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1987~2017년의 국내 데이터를 이용하여 VARX 모형을 추정하였다. 인구구조 변화는 노...
본 연구는 저출산 · 고령화 등의 인구구조 변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직 · 간접적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1987~2017년의 국내 데이터를 이용하여 VARX 모형을 추정하였다. 인구구조 변화는 노동력뿐만 아니라 경제 내 다양한 부문의 파급효과를 통해 경제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간접적 관계를 고려하기 위하여 거시변수들 사이의 내생성 및 인구구조변수의 외생적 관계를 반영한 VARX 모형을 구축하였다. 특히, 인구구조 효과를 반영하기 위해 총부양비뿐만 아니라 유소년인구 비중 및 고령인구 비중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고령화 및 총부양비의 증가는 직접적으로 경제성장에 음(-)의 영향을 미쳤다. 그뿐만 아니라 고령화는 생산성을 저하하고, 물가상승률을 상승시키는 등의 파급효과가 발견되었다. 특히, 고령화는 투자위축 및 예비적 저축 증가 등 금융시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경제성장을 더 저해하는 등 간접적으로도 경제성장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stimated the VARX model for Korea(1987~2017) to analyz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such as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on economic growth. Demographic changes can affect economic growth thr...
This study estimated the VARX model for Korea(1987~2017) to analyz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such as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on economic growth. Demographic changes can affect economic growth through the spread effects of various sectors within the economy as well as the workforce structure change. In order to consider these indirect relationships, this study developed a VARX model that refle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cro-variables and their reaction to demographic variables. As a result,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increase in total dependency ratio directly hindered economic growth. Furthermore, the aging population has been found to have a spread effect such as reducing productivity, increasing inflation by changing demand structures. In particular, the aging population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financial market, such as investment, further hurting economic growth.
목차 (Table of Contents)
외국인 직접투자 기업의 입지결정에서 나타난 지역 기업과의 파급효과 측도에 관한 소고
미국 통화정책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한 소규모 개방경제 DSGE 모형 추정에 관한 연구
미국 통화정책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한 소규모 개방경제 DSGE 모형 추정에 관한 연구
다중체계를 갖는 내생적 국면전환모형을 이용한 한국 주식시장의 변동성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