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북한의 저널리즘 이론이 강조하는 국제정세선전과 당 대외정책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북한신문의 국제뉴스가 지닌 보도형식과 내용, 그리고 정세선전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7007049
200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9-49(4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북한의 저널리즘 이론이 강조하는 국제정세선전과 당 대외정책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북한신문의 국제뉴스가 지닌 보도형식과 내용, 그리고 정세선전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
이 연구는 북한의 저널리즘 이론이 강조하는 국제정세선전과 당 대외정책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북한신문의 국제뉴스가 지닌 보도형식과 내용, 그리고 정세선전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의 대표적 일간지 『로동신문』과 『민주조선』의 국제정세선전 기사를 내용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북한신문의 국제뉴스는 김정일 체제가 지향하는 최근의 대외정책 변화를 충실하게 반영하여 당 중앙이 의도하는 대로 국제관계를 분석하고 정세추이를 선전 선동함으로써 주민을 통제하고 동원하는 이데올로기 도구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보도의 형식과 내용면에서 두 신문 간의 의미 있는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북한의 정치권력과 언론보도의 조응관계를 국제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nalyzes contents of international news in the North Korean newspaper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foreign policy of the labor party and propaganda of foreign affairs. The results show that international news of the Rodong shinm...
This research analyzes contents of international news in the North Korean newspaper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foreign policy of the labor party and propaganda of foreign affairs. The results show that international news of the Rodong shinmun and Minjoo Chosun as the ideological apparatus reflects the recent changes of foreign policy of the Kim Jung-Il regime, aiming at the successful control and mobilization of the people. However, the coverage difference between two newspapers has not been found, which means that the press control of the state is routini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olitical power and the press in North Korea has been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communic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