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뇌성마비 치료에 있어서 신경발달치료의 효과 = Effects of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NDT) on the Management of Cerebral Pals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244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신경발달치료(neurodevelopmental treatement, NDT)는 1940년대 초 보바스 부부가 개발하여 뇌성마비 치료에 처음 적용한 이후로 현재까지 유럽과 미국 등지 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신경 발달치료 개...

      신경발달치료(neurodevelopmental treatement, NDT)는 1940년대 초 보바스 부부가 개발하여 뇌성마비 치료에 처음 적용한 이후로 현재까지 유럽과 미국 등지 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신경 발달치료 개발 당시는 중추신경계 발달이론이 정립되지 않았고 근거 중심적 의학이 보편화 되지 못한 관계로 의사의 임상적 관찰이 매우 존중되었다. 따라서 신경발달치료는 일정한 치료법이 적용되기 힘들고, 치료 횟수나 강도 등을 정량화하기 어려운 약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뇌성마비 치료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치료법이 되었다. 최근 뇌성마비 치료에 있어서 신경발달치료 효과를 객관적으로 입증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아직까지 이견이 있다. 이는 신경발달치료가 객관화하기 어려운 치료법인 이유도 있겠으나 뇌성마비도 유병률이 낮고 매우 다양한 양상을 보이므로 치료 효과를 판정하는 연구의 제한점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cerebral palsy'와 'NDT'를 검색어로 전자논문을 검색하여 근거 중심적 연구 성적 수준이 높은 논문을 대상으로 신경발달치료의 효과를 운동발달, 정신발달 및 관절 구축과 변형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NDT치료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세가지 영역 모두 유의한 수준의 우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신경발달치료가 임상에서 이미 뇌성마비의 일차적인 치료법으로 확립되어 있으므로 현재 신경발달치료의 효과를 명확히 하고자 치료를 하지 않은 대조군을 통한 비교 연구는 더 이상 윤리적 일 수 없다. 따라서 뇌성마비 치료에 있어서 신경발달치료의 효과는 근거 중심적 접근보다는 최선의 근거를 찾아내서 치료에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신경발달치료를 대조군으로 하여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early as the 1940s, Berta and Karel Bobath began to develop an therapeutic approach,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NDT), that grew out of clinical observation and was initially understood in the theory of neuroscience at that time. NDT spreads so w...

      As early as the 1940s, Berta and Karel Bobath began to develop an therapeutic approach,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NDT), that grew out of clinical observation and was initially understood in the theory of neuroscience at that time. NDT spreads so widely and has heavily influenced physical, occupational and speech therapy for the management of cerebral palsy (CP) for half a century. However, the effects of NDT has not been established because it is not specific management delivered in a standardized manner and there is no discrete dosage administered under specific, invariable procedures in conditions that are held constant. Furthermore, CP has low incidence with highly heterogeneous conditions which could be complicated by ongoing changes due to growth and maturation. Thus articles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NDT showed controversial results and several reviews also reported the pros and cons. In this study, we searched the literature by 'cerebral palsy' and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electronically and effects of NDT were analyzed by three sections; motor development, mental development, and contracture and deformity. The results did not confer any advantage to NDT over the alternatives. We have a little evidence-base of NDT for the management of CP, although NDT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as a basic management tool. We suggested that best-evidence approach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management of CP instead of evidence-base investigation of NDT. We could use NDT as a control management tool for CP when new treatment methods were develop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