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모-자녀 관계 사회적 자본과 교육포부 수준과의 관계: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 Social Capital and Educational Aspi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695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교육포부 수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본 연구에서는 부모-자녀 관계 사회적 자본을 상정하였다. 부모-자녀 관계 사회적 자본은 사회 구조 내에 위치한 가족 내 부모-자녀간의 관계를 ...

      교육포부 수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본 연구에서는 부모-자녀 관계 사회적 자본을 상정하였다. 부모-자녀 관계 사회적 자본은 사회 구조 내에 위치한 가족 내 부모-자녀간의 관계를 통하여 목적 달성 행위를 촉진하는 메커니즘으로 학생이 얻게 되는 유·무형의 자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자녀 관계 사회적 자본이 학생의 교육포부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고자 대구 시내 초등학교 7개를 무선으로 표집한 4학년, 6학년생 총 763 (남학생: 298, 여학생: 465명)명이 연구에 동원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포부 수준에 학생의 성별, 학년별 특성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이면서 6학년 학생들이 보다 더 교육포부 수준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육포부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배경 요인은 부모의 학력으로 나타났다. 부모-자녀 관계 사회적 자본 변수 중에서 학생의 교육포부 수준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는 부모의 자녀에 대한 교육적인 관심과 대화(ECC), 적극적인 지원(PS), 부모의 기대와 규범(ENP) 변수들로 나타났다. 부모-자녀 관계 사회적 자본의 교육포부 수준에 대한 전체적인 영향력은 26%로 가족배경 23%, 개인특성 13%보다 높은 영향력을 발휘하는 변수들로 나타나 학생들의 교육포부 수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강력한 변수들로 밝혀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child relations social capital and educational aspiration. Social capital is measured by the density of the interaction among parents, children and school. Within the family, soc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child relations social capital and educational aspiration. Social capital is measured by the density of the interaction among parents, children and school. Within the family, social capital is measured by the amount of positive parent-child interaction. Using 7 elementary schools, fourth and sixth student were sampled. The final subjects were 763(298 male, 465 female), the fourth,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gu city.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the PCRSCQ questionnaire and educational aspiration score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is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he result of the full sample showed that child`s gender and grade influenced children`s educational aspirations. Specially, male and sixth students level of educational aspiration appeared high.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mother appeared that it is related to a majority effects variables. The influence of family background of the child on educational aspirations was 23% and parent-child relations social capital which gives an effect was 26%. parent-child relations social capital variables that gives an effect to educational aspiration of the child are ECC(educational concern and communication), PS (positive support), ENP(expectation and norm of par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주동범, "어머니의 직업유무와 자녀의 교육포부수준과의 관계" 한국교육사회학회 16 (16): 141-161, 2006

      2 통계청, "사회통계조사보고서" 247-264, 1999

      3 오성심, "부모의 양육 방식에 대한 아동의 지각과 정의적 특성간의 관계"

      4 김선영, "부-자녀 관계가 자녀의 창의성,성취욕구 및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상명여자대학교 1985

      5 차경수, "교육사회학의 이해" 양서원 1999

      6 안우환, "관계 사회적 자본의 측정도구 개발" 한국초등교육학회 19 (19): 217-236, 2006

      7 안우환,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경북대학교 2004

      8 유영수, "가정 관계학" 교문사 1980

      9 Fukuyama, F,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 Hamish Hamilton 1995

      10 Rock, D. A, "The tested achievement of the nationa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1988 eighth grade class"

      1 주동범, "어머니의 직업유무와 자녀의 교육포부수준과의 관계" 한국교육사회학회 16 (16): 141-161, 2006

      2 통계청, "사회통계조사보고서" 247-264, 1999

      3 오성심, "부모의 양육 방식에 대한 아동의 지각과 정의적 특성간의 관계"

      4 김선영, "부-자녀 관계가 자녀의 창의성,성취욕구 및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상명여자대학교 1985

      5 차경수, "교육사회학의 이해" 양서원 1999

      6 안우환, "관계 사회적 자본의 측정도구 개발" 한국초등교육학회 19 (19): 217-236, 2006

      7 안우환,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경북대학교 2004

      8 유영수, "가정 관계학" 교문사 1980

      9 Fukuyama, F,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 Hamish Hamilton 1995

      10 Rock, D. A, "The tested achievement of the nationa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1988 eighth grade class"

      11 Sutton-smith. B, "The siblings" Holt, Rinehart & Winston 1970

      12 Sewell, W. H, "The educational and early occupational attainment process" 34 (34): 82-92, 1969

      13 Myers, David, "Student discipline and high school performance" 60 : 18-33, 1987

      14 Lin, N, "Social capital: A theory of social structure and a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15 Coleman,J.S,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Social Capital Theory 94,95 : S95-S120, 1988

      16 Furstenber, F. F, "Social capital and successful development among at-risk youth" 57 (57): 580-92, 1995

      17 Epstein,J, "School and family partnership"

      18 Coleman,J.S, "Parent involvement in education. policy perspective: office of educational research and improvement"

      19 Muller,C, "Parent involv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n analysis of family resources available to the child. In :parents, their children and schools" Westerview Press 1994

      20 Tygart,C.E, "Juvenile delinquency and number of children in a family" 22 : 525-536, 1991

      21 Eckert,P, "Jocks and burnouts: Social categories and identity in high school" Teachers College Press 1989

      22 Valenzuela, A, "Familism and social capital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exican-origin and anglo high school adolescents" 75 : 18-36, 1994

      23 Parcel, T. L, "Explaining southern disadvantage in verbal facility among young child" 73 : 841-72, 1995

      24 Ho sui-chi, esther, "Effects of parental involvement on eighth-grade achievement" 69 : 126-41, 1996

      25 Cohen,A, "Delinquent boys" Free Press 1955

      26 Cloward, R, "Delinquency and opportunity" Free Press 1960

      27 Putnam,Robert D,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6 : 65-78, 1995

      28 Samuel,F.W, "A study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processes that create and maintain social capital in selected private and public school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3-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3 1.63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8 1.27 1.78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