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정부주도(’95년 이후)의 국토정보화 정책을 수립하여 국토정보, 콘텐츠, 통신망, IT장비 등의 인프라를 잘 갖추어 왔으나, 국토정보가 제대로 활용되지 못한다는 비판과 성과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571192
2011
Korean
학술저널
153-157(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정부주도(’95년 이후)의 국토정보화 정책을 수립하여 국토정보, 콘텐츠, 통신망, IT장비 등의 인프라를 잘 갖추어 왔으나, 국토정보가 제대로 활용되지 못한다는 비판과 성과가 ...
우리나라는 정부주도(’95년 이후)의 국토정보화 정책을 수립하여 국토정보, 콘텐츠, 통신망, IT장비 등의 인프라를 잘 갖추어 왔으나, 국토정보가 제대로 활용되지 못한다는 비판과 성과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나라 공간정보정책의 추진과정을 시기별로 재분류하여 국토공간정보화 추진 과정의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것은 그간 공간정보 정책의 방향을 분석하는데 매우 의미 있는 연구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공간정보개념의 재정의, 국토공간정보정책의 역사적 고찰, 그리고 기술적 진화에 따른 공간정보정책의 변화 및 방향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GIS를 통한 풍속고도분포계수와 풍속지형계수 산정 시스템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