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investigate Hong Hee-Jun(洪羲俊, 1761∼1841)’s recognition of Qing and analyze the bright side and dark side of the world recognition and civilization recognition formed on the basis of recognition of Qing. The bright side can be described as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investigate Hong Hee-Jun(洪羲俊, 1761∼1841)’s recognition of Qing and analyze the bright side and dark side of the world recognition and civilization recognition formed on the basis of recognition of Qing. The bright side can be described as ...
I investigate Hong Hee-Jun(洪羲俊, 1761∼1841)’s recognition of Qing and analyze the bright side and dark side of the world recognition and civilization recognition formed on the basis of recognition of Qing. The bright side can be described as follows: immanent perspectives on Mnchu, criticism on the Chosun’s self-consciousness as a small state, relativization of the centrality of China, a glimpse of the open mind to the Western. The dark side can be described as follows: approval of the ruling system of Qing dynasty without any resistance, uncritical attitude to the problems of Qing dynasty, expanded reproduction of Sino-centralism, assumption of the recognition attitude of jumping on the bandwagon of the prosperity of the Qing empire.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洪羲俊(1761∼1841)의 대청인식을 살펴보고, 그 대청인식을 토대로 성립된 세계인식과 문명인식의 명암을 분석한다. 홍희준의 대청인식, 세계인식, 문명인식은 장점과 단점을 모두 갖...
본고는 洪羲俊(1761∼1841)의 대청인식을 살펴보고, 그 대청인식을 토대로 성립된 세계인식과 문명인식의 명암을 분석한다. 홍희준의 대청인식, 세계인식, 문명인식은 장점과 단점을 모두 갖는다. 만주족에 대해 내재적 관점을 취한 것, 조선 사람의 소국의식을 비판하고 그와 동시에 중국의 중심적 지위를 상대화한 것, 서양 사람에게 ‘인간으로서의 공통점’을 발견하여 서양에 대한 개방적 사고의 단초를 마련한 것은 그 장점에 해당한다. 반면 청조의 지배 체제를 그대로 승인할 뿐 그 이면의 문제점을 냉정하게 직시하지 못한 것, 중화주의의 확대 재생산 쪽으로 결국 기울어진 것, 청나라의 제국적 번영에 편승하는 듯한 인식 태도를 취한 것은 그 단점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양진, "훈곡(薰谷) 홍희준(洪羲俊)의 「언서훈의설(諺書訓義說)」에 대하여" 민족어문학회 (58) : 35-66, 2008
2 이지연, "훈곡 홍희준 문학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3 김명호, "환재 박규수 연구" 창비 421-437, 2008
4 강신항, "홍희준의 ‘諺書訓義說’에 대하여" 애산학회 30 : 3-15, 2004
5 민두기, "중국근세사연구" 일조각 47-76, 1973
6 조광, "조선후기 천주교사 연구" 고대민족문화연구소 180-195, 1988
7 배우성, "조선과 중화" 돌베개출판사 198-200, 2014
8 김명호, "열하일기 연구" 창작과비평사 82-, 1990
9 조규익, "연행록연구총서5(문학편)" 학고방 77-, 2006
10 박희병, "범애와 평등-홍대용의 사회사상" 돌베개 15-383, 2013
1 김양진, "훈곡(薰谷) 홍희준(洪羲俊)의 「언서훈의설(諺書訓義說)」에 대하여" 민족어문학회 (58) : 35-66, 2008
2 이지연, "훈곡 홍희준 문학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3 김명호, "환재 박규수 연구" 창비 421-437, 2008
4 강신항, "홍희준의 ‘諺書訓義說’에 대하여" 애산학회 30 : 3-15, 2004
5 민두기, "중국근세사연구" 일조각 47-76, 1973
6 조광, "조선후기 천주교사 연구" 고대민족문화연구소 180-195, 1988
7 배우성, "조선과 중화" 돌베개출판사 198-200, 2014
8 김명호, "열하일기 연구" 창작과비평사 82-, 1990
9 조규익, "연행록연구총서5(문학편)" 학고방 77-, 2006
10 박희병, "범애와 평등-홍대용의 사회사상" 돌베개 15-383, 2013
11 김명호, "박지원 문학 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31-152, 2001
12 김선민, "만주족의 청제국" 푸른역사 32-529, 2009
13 홍성구, "대청제국 1616~1799" 휴머니스트 45-200, 2009
14 申維翰, "靑泉集"
15 정경일, "華東音源에 대하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155-176, 1991
16 洪良浩, "耳溪集"
17 조성을, "朝鮮後期 韓國과 中國의 相互 認識-肅宗末?英祖初 兩國의 使行記錄을 中心으로-" 한국사상사학회 27 : 1-25, 2006
18 計六奇, "明季南略" 中華書局 1984
19 임유경, "徐浩修의 『燕行記』 연구" 한국고전문학회 (28) : 379-410, 2005
20 石橋崇雄, "大淸帝國" 講談社 2003
21 洪羲俊, "傳舊"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2 김홍백, "『大義覺迷錄』과 조선 후기 華夷論"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6) : 47-77, 2011
23 Elliott, Mark C., "Manchu Way: The Eight Banners and Ethnic Identity in Late Imperial China"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1
24 조성산,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對淸認識의 변화와 새로운 中華 관념의 형성" 한국사연구회 (145) : 67-113, 2009
25 진재교, "18세기 朝鮮朝와 淸朝 學人의 학술교류-洪良浩와 紀?을 中心으로-" 한국고전문학회 23 : 11-326, 2003
서평 :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제1차 번역본8권에 대하여
명말 상업적 규범소설의 형성과 조선 왕의 소설 독서 -규장각본 『型世言(형세언)』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7-11-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Classical Literature -> Journal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 ![]() |
2017-10-1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ssociation | ![]() |
2017-10-1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Classical Literature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3 | 0.93 | 0.9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8 | 0.93 | 2.124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