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부산항, 광양항, 인천항 등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3개 항만을 중심으로 자원기반관점에서 무형자원의 축적정도가 항만 간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항만평판을 무형자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61412
-
2010년
Korean
무형자원 ; Port ; technological capital ; skill assets ; reputational assets ; intellectual property assets ; intellectual property assets ; relational capital ; Intangible resources ; resource-based view: RBW ; human capital ; competitive advantage. ; organizational capital ; Port compet ; 국제물류 ; 동북아 물류허브 ; 항만경쟁력 ; 자원기반관점 ; 지속적 우위 ; 경쟁우위 ; 항만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부산항, 광양항, 인천항 등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3개 항만을 중심으로 자원기반관점에서 무형자원의 축적정도가 항만 간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항만평판을 무형자원...
본 연구는 부산항, 광양항, 인천항 등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3개 항만을 중심으로 자원기반관점에서 무형자원의 축적정도가 항만 간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항만평판을 무형자원의 종속변수로 보아 이러한 항만평판에 다른 무형자원들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국내 항만 간 무형자원의 차이를 살펴본 연구결과로 볼 때, 오랫동안 우리나라의 대표항만으로써 자리매김을 해온 부산항이 대부분의 무형자원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축적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광양항은 동태적 역량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부산항을 능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광양항은 다른 항만에 비해 학습능력을 제고하고 항만경쟁력을 위해 새로운 아이디어나 방법을 모색하는데 있어 민감하며, 환경에 빠르게 대응하는 능력이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인천항의 경우는 다른 항만들에 비해서 무형자원의 축적 정도가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동태적 역량의 경우 부산항이나 광양항과 그 수준에서 뚜렷한 열세를 보이고 있으며 항만평판의 경우에도 부산항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눈에 띤다. 다만 인적자원, 관계자원, 정보기술자원 등에서는 광양항 과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인천항의 입장에서는 무형자원이 가지고 있는 축적의 성질로 볼 때 역사와 규모의 측면에서 부산항과 무형자원을 비교하는데 있어서는 그 열위성을 어느 정도 인정할 수 있으나 광양항과 동태적 역량의 차이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점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즉, 인과분석에서 동태적 역량이 항만의 평판을 형성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고려하여 볼 때, 인천항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원을 재배치하고 이를 변화하는 환경과 적합하게 통합하는 능력을 제고해야 항만평판의 긍정적 형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 several decades, ports competitiveness has been a popular topic among many researchers. While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tangible resources, relatively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on intangible resources which are source of sustain competitiv...
For several decades, ports competitiveness has been a popular topic among many researchers.
While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tangible resources, relatively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on intangible resources which are source of sustain competitive advan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intangible resources in korean container ports and the influence of intangible resources on the port reputation.
To verify the hypotheses, I addressed a questionnaire to liner ships and freight forwarder which are major customers of container ports. For this study, there were 135 responses among the 400 participants, we derived statistics by means of SPSS/PC version 12.0 statistics pack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ort intangible resources among korean container ports. Second, port reputation is influenced by dynamic capabilities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