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13~14세기 歸化人의 유형과 고려로 이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095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nese immigration to the korean peninsula in the Koryo period was generally described as Touxia or Xianghua in the original traditional documents, but this was translated as Guihua in recent usage.
      According to this study, the names of these immigrants were altered largely through various processes. Some immigrants acquired bestowed surnames, while others kept their original surnames while changing their first names only after arriving in Koryo. Furthermore, the immigrant"s bestowed places of origin were decided for diverse reasons, and were related to certain regions to satisfy social, political, economic and geographical justifications. Some places of origin were associated with places like Bonglu and Caici, where the immigrant was granted the right to collect taxes and grain to support himself. In some cases, the place where the wife of an immigrant came from was bestowed as the place of origin.
      Among the immigrants from the time of Koryo to the early period of Joseon. The origins and past family history of 14 families, along with their authentic original ancestral homes were able to be identified.
      번역하기

      Chinese immigration to the korean peninsula in the Koryo period was generally described as Touxia or Xianghua in the original traditional documents, but this was translated as Guihua in recent usage. According to this study, the names of these immi...

      Chinese immigration to the korean peninsula in the Koryo period was generally described as Touxia or Xianghua in the original traditional documents, but this was translated as Guihua in recent usage.
      According to this study, the names of these immigrants were altered largely through various processes. Some immigrants acquired bestowed surnames, while others kept their original surnames while changing their first names only after arriving in Koryo. Furthermore, the immigrant"s bestowed places of origin were decided for diverse reasons, and were related to certain regions to satisfy social, political, economic and geographical justifications. Some places of origin were associated with places like Bonglu and Caici, where the immigrant was granted the right to collect taxes and grain to support himself. In some cases, the place where the wife of an immigrant came from was bestowed as the place of origin.
      Among the immigrants from the time of Koryo to the early period of Joseon. The origins and past family history of 14 families, along with their authentic original ancestral homes were able to be identifi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公主의 陪從케링구와 陪臣
      • Ⅲ. 원말에 귀화한 원나라의 官員
      • Ⅳ. 원말 지방할거 세력 영수의 후예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公主의 陪從케링구와 陪臣
      • Ⅲ. 원말에 귀화한 원나라의 官員
      • Ⅳ. 원말 지방할거 세력 영수의 후예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원창애, "향화인의 조선 정착 사례 연구 - 여진 향화인을 중심으로 -" 동양고전학회 (37) : 33-61, 2009

      2 이수건, "한국의 성씨와 족보"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3 김정호, "한국의 귀화 성씨" 지식산업사 2003

      4 송만오, "청주양씨 문과 인맥도"

      5 임선빈, "조선초기 歸化人의 賜鄕과 특징" 동양고전학회 (37) : 63-91, 2009

      6 이원택, "조선전기 귀화와 그 성격" 8 (8): 2001

      7 박현규, "위그르족 귀화인 偰遜 문집인 《近思齋逸藁》의 발굴과 분석" 7 : 1995

      8 蘇啓慶, "원대사신탐" 신문풍출판공사 1983

      9 박기현, "우리 역사를 바꾼 귀화성씨" 위즈덤하우스 2007

      10 이종일, "소헌남도영박사고희기념역사학논총" 민족문화사 1993

      1 원창애, "향화인의 조선 정착 사례 연구 - 여진 향화인을 중심으로 -" 동양고전학회 (37) : 33-61, 2009

      2 이수건, "한국의 성씨와 족보"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3 김정호, "한국의 귀화 성씨" 지식산업사 2003

      4 송만오, "청주양씨 문과 인맥도"

      5 임선빈, "조선초기 歸化人의 賜鄕과 특징" 동양고전학회 (37) : 63-91, 2009

      6 이원택, "조선전기 귀화와 그 성격" 8 (8): 2001

      7 박현규, "위그르족 귀화인 偰遜 문집인 《近思齋逸藁》의 발굴과 분석" 7 : 1995

      8 蘇啓慶, "원대사신탐" 신문풍출판공사 1983

      9 박기현, "우리 역사를 바꾼 귀화성씨" 위즈덤하우스 2007

      10 이종일, "소헌남도영박사고희기념역사학논총" 민족문화사 1993

      11 송만오, "덕수장씨 문과 인맥도"

      12 전해종, "귀화에 대한 소고" (13) : 1972

      13 박옥걸, "고려의 귀화인 동화책-특히 거주지와 귀화성씨의 관향을 중심으로-" 17·18 : 2002

      14 송만오, "거제반씨 문과 인맥도"

      15 박용운, "高麗時代史" 일지사 1987

      16 喜蕾, "高麗史中的回回人張舜龍" 3 : 2000

      17 박이순, "高麗․唐․日本에 있어서의「歸化(人)」관련의 법 연구―일본의 養老律令을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3) : 77-106, 2012

      18 노혜경, "英祖代 皇朝人 대한 인식" 동양고전학회 (37) : 127-159, 2009

      19 유영봉, "王朝交替期의 ‘歸化詩人’ 偰遜과 偰長壽 父子" 우리한문학회 23 : 189-215, 2010

      20 舒健, "怯怜口與高麗政局關係初探-以蒙古人印侯爲例-" 23 : 2011

      21 배숙희, "元末ㆍ明初의 雲南과 故元 後裔의 濟州 移住" 동양사학회 (119) : 197-226, 2012

      22 偰映飛, "元朝史新論" 允晨文化社 1999

      23 劉迎勝, "元史論叢" 中國廣播電視出版社 2004

      24 李治安, "元代政治史硏究" 人民出版社 2004

      25 배숙희, "元代 科擧制와 高麗進士의 應擧 및 授官" 동양사학회 (104) : 121-154, 2008

      26 Michael C. Brose, "Subjects and Masters: Uyghurs in the Mongol Empire" Center for East Asian Studies, Wester Washinghton University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5 1.505 0.5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