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인터넷 이용 실태조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002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보화의 진전과 함께 등장하고 있는 새로운 소비문화 현상을 다루고 있다. 가상공간의 출현은 소비에도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는데, 그것은 가상공간이라는 새로운 소비공간의 창출과 정보재라는 새로운 소비상품의 출현으로 요약된다. 소비의 발전과정은 새로운 집단 정체성을 출현시켜왔으며, 그것은 정보적 소비에서도 동일할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그래서 이 연구는 새로운 정보적 소비문화의 특징과, 그것을 향유하는 핵심 집단은 누구인지를 살펴보았다. 온라인을 통한 물질상품의 소비는 편리함이 그 주된 소구력으로 작용함으로 보옂지만, 아직은 비교적 소수 집단의 이용에 국한되고 있다. 온라인을 통한 정보상품의 소비는 크게 유흥 목적의 소비와 정보 목적의 소비로 구분되고 있으며, 유흥을 목적으로 하는 소비가 더 지배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구매의 집단 구분선은 성, 학력, 그리고 인터넷 이용기간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음을 로지스킥 회귀분석을 통해 밝혔다. 온라인 소비는 그 자체가 하나의 문화적 능력에 해당되므로, 소비의 문화적 차별화를 지양하고 소통을 확대하는 새로운 문화적 실천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정보화의 진전과 함께 등장하고 있는 새로운 소비문화 현상을 다루고 있다. 가상공간의 출현은 소비에도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는데, 그것은 가상공간이라는 새로운 소비공간의 ...

      본 연구는 정보화의 진전과 함께 등장하고 있는 새로운 소비문화 현상을 다루고 있다. 가상공간의 출현은 소비에도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는데, 그것은 가상공간이라는 새로운 소비공간의 창출과 정보재라는 새로운 소비상품의 출현으로 요약된다. 소비의 발전과정은 새로운 집단 정체성을 출현시켜왔으며, 그것은 정보적 소비에서도 동일할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그래서 이 연구는 새로운 정보적 소비문화의 특징과, 그것을 향유하는 핵심 집단은 누구인지를 살펴보았다. 온라인을 통한 물질상품의 소비는 편리함이 그 주된 소구력으로 작용함으로 보옂지만, 아직은 비교적 소수 집단의 이용에 국한되고 있다. 온라인을 통한 정보상품의 소비는 크게 유흥 목적의 소비와 정보 목적의 소비로 구분되고 있으며, 유흥을 목적으로 하는 소비가 더 지배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구매의 집단 구분선은 성, 학력, 그리고 인터넷 이용기간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음을 로지스킥 회귀분석을 통해 밝혔다. 온라인 소비는 그 자체가 하나의 문화적 능력에 해당되므로, 소비의 문화적 차별화를 지양하고 소통을 확대하는 새로운 문화적 실천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treats the issues related to the consumption. Consumption has been a major factor to make various ways of life and group identities in modern era. Nowadays we witness the rise of new forms of consumption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so it can be assumed that the new identities would emerge for that reason. Changes in consumption caused by the technology can be summarized in two ways. First, a new space of consumption, the cyber space emerged. And second, consumption of information goods are expanding. This study examined the results of that changes in consumption and findings are as following. First, it is shown that the major reason of online purchase is convenience. Second, it is found that the purposes of consumption of information goods are amusement and information use. Lastly, multi-variate logit model analysis shows that sex, education, period of internet use influences on the on-line purchase. This means that woman, the educated, and people who used internet for a long time are the leading group of informational consumption. Because on-line purchase presupposes one's ability to use computer and internet and capacity to consume, emerging new consumption culture contains possibility to make a new cultural divide. For this reason, now it is required to discuss the new consumption culture as a cultural practice to close the gap.
      번역하기

      This paper treats the issues related to the consumption. Consumption has been a major factor to make various ways of life and group identities in modern era. Nowadays we witness the rise of new forms of consumption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so ...

      This paper treats the issues related to the consumption. Consumption has been a major factor to make various ways of life and group identities in modern era. Nowadays we witness the rise of new forms of consumption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so it can be assumed that the new identities would emerge for that reason. Changes in consumption caused by the technology can be summarized in two ways. First, a new space of consumption, the cyber space emerged. And second, consumption of information goods are expanding. This study examined the results of that changes in consumption and findings are as following. First, it is shown that the major reason of online purchase is convenience. Second, it is found that the purposes of consumption of information goods are amusement and information use. Lastly, multi-variate logit model analysis shows that sex, education, period of internet use influences on the on-line purchase. This means that woman, the educated, and people who used internet for a long time are the leading group of informational consumption. Because on-line purchase presupposes one's ability to use computer and internet and capacity to consume, emerging new consumption culture contains possibility to make a new cultural divide. For this reason, now it is required to discuss the new consumption culture as a cultural practice to close the gap.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