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판으로서 에세이: 소통불가능성의 소통 = The Essay as Criticism : On the Communication of the Incommunicab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93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econstructs Adorno's essay philosophy as a model for the communication of the incommunicable, and explains the critical forces that could be inherent to the essay's form in the reality of a 21st century capitalist society. In order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we must thoroughly recognize the inability to communicate in modern society. In the negative totality of capitalist society, the desire for communication tend to overlook the reality that communication functions as a tool for self-preservation. In this respect he tries to rehabilitate the subjective communication through the objective communication based on non-conceptual affinity. The form of the essay embodies the aesthetic totality (ästhetische Totalität) as a procedural unification of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communication. This aesthetic totality calls for a change in the distorted form of communication in the existing society, indirectly pointing to the possibility of authentic communication.
      번역하기

      This paper reconstructs Adorno's essay philosophy as a model for the communication of the incommunicable, and explains the critical forces that could be inherent to the essay's form in the reality of a 21st century capitalist society. In order to cons...

      This paper reconstructs Adorno's essay philosophy as a model for the communication of the incommunicable, and explains the critical forces that could be inherent to the essay's form in the reality of a 21st century capitalist society. In order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we must thoroughly recognize the inability to communicate in modern society. In the negative totality of capitalist society, the desire for communication tend to overlook the reality that communication functions as a tool for self-preservation. In this respect he tries to rehabilitate the subjective communication through the objective communication based on non-conceptual affinity. The form of the essay embodies the aesthetic totality (ästhetische Totalität) as a procedural unification of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communication. This aesthetic totality calls for a change in the distorted form of communication in the existing society, indirectly pointing to the possibility of authentic communi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아도르노의 에세이 철학을 소통불가능한 것의 소통을 위한 모델로 재구성하면서, 체계의 폭력을 점점 더 강고하게 관철시키는 21세기 자본주의 사회의 현실 속에서 에세이의 형식이 갖는 비판적 동력을 밝히는 것이다. 아도르노는 소통의 가능성을 말하기 위해 현대사회의 소통불가능성을 철저하게 인식해야 한다고 본다. 자본주의 사회의 부정적 총체성 속에서 소통이 자기보존을 위한 도구로 기능하는 현실을 간과한 모든 소통에의 열망은 허위적 이데올로기로 기능할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그는 주관적 소통(subjektive Kommunikation)과 객관적 소통(objektive K.)의 개념적 구분을 견지하면서, 비개념적 친화성에 의거한 객관적 소통을 통해 주관적 소통을 구제하고자 한다. 에세이의 형식은 주관적 소통과 객관적 소통의 과정적 통일로서 심미적 총체성(ästhetische Totalität)을 구체화한다. 심미적 총체성은 현존하는 사회의 왜곡된 의사소통 형식의 변경을 촉구하면서 무제약적인 차이의 향연을 견제하며 진정한 소통의 가능성을 간접적으로 지시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아도르노의 에세이 철학을 소통불가능한 것의 소통을 위한 모델로 재구성하면서, 체계의 폭력을 점점 더 강고하게 관철시키는 21세기 자본주의 사회의 현실 속에서 에세이의 형식...

      이 논문은 아도르노의 에세이 철학을 소통불가능한 것의 소통을 위한 모델로 재구성하면서, 체계의 폭력을 점점 더 강고하게 관철시키는 21세기 자본주의 사회의 현실 속에서 에세이의 형식이 갖는 비판적 동력을 밝히는 것이다. 아도르노는 소통의 가능성을 말하기 위해 현대사회의 소통불가능성을 철저하게 인식해야 한다고 본다. 자본주의 사회의 부정적 총체성 속에서 소통이 자기보존을 위한 도구로 기능하는 현실을 간과한 모든 소통에의 열망은 허위적 이데올로기로 기능할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그는 주관적 소통(subjektive Kommunikation)과 객관적 소통(objektive K.)의 개념적 구분을 견지하면서, 비개념적 친화성에 의거한 객관적 소통을 통해 주관적 소통을 구제하고자 한다. 에세이의 형식은 주관적 소통과 객관적 소통의 과정적 통일로서 심미적 총체성(ästhetische Totalität)을 구체화한다. 심미적 총체성은 현존하는 사회의 왜곡된 의사소통 형식의 변경을 촉구하면서 무제약적인 차이의 향연을 견제하며 진정한 소통의 가능성을 간접적으로 지시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민형원, "현대철학의 글쓰기의 형식으로서의 에세이" 한국미학회 (30) : 137-168, 2001

      2 야스퍼스, 칼, "철학입문" 다문 1991

      3 하버마스, 위르겐, "의사소통행위이론 Ⅰ" 나남출판 2006

      4 정우진, "언어, 비판 그리고 화해의 유토피아- 아도르노의 언어이론을 재구성하기 위한 한 시도" 인문학연구원 (62) : 127-167, 2009

      5 벤야민, 발터, "언어 일반과 인간의 언어에 대하여" 길 2010

      6 류도향, "아도르노의 비판적 유물론 - 사회 형식에 저항하는 형식"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31) : 251-276, 2016

      7 성미영, "아도르노 철학에서 언어, 형세Konstellation, 에세이" 한국동서철학회 (60) : 265-289, 2011

      8 아도르노, T. W, "부정변증법" 한길사 450-, 1999

      9 김기성, "부정과 관조의 합주로서의 철학-아도르노 철학의 현재성-"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5 (25): 169-208, 2014

      10 박준상, "바깥에서 – 모리스 블랑쇼의 문학과 철학" 인간사랑 2006

      1 민형원, "현대철학의 글쓰기의 형식으로서의 에세이" 한국미학회 (30) : 137-168, 2001

      2 야스퍼스, 칼, "철학입문" 다문 1991

      3 하버마스, 위르겐, "의사소통행위이론 Ⅰ" 나남출판 2006

      4 정우진, "언어, 비판 그리고 화해의 유토피아- 아도르노의 언어이론을 재구성하기 위한 한 시도" 인문학연구원 (62) : 127-167, 2009

      5 벤야민, 발터, "언어 일반과 인간의 언어에 대하여" 길 2010

      6 류도향, "아도르노의 비판적 유물론 - 사회 형식에 저항하는 형식"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31) : 251-276, 2016

      7 성미영, "아도르노 철학에서 언어, 형세Konstellation, 에세이" 한국동서철학회 (60) : 265-289, 2011

      8 아도르노, T. W, "부정변증법" 한길사 450-, 1999

      9 김기성, "부정과 관조의 합주로서의 철학-아도르노 철학의 현재성-"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5 (25): 169-208, 2014

      10 박준상, "바깥에서 – 모리스 블랑쇼의 문학과 철학" 인간사랑 2006

      11 아도르노, T. W, "미학이론" 문학과 지성사 302-, 1984

      12 아도르노, T. W, "미니마 모랄리아 : 상처받은 삶에서 나온 성찰" 길 325-, 2005

      13 제임슨, 프레드릭, "맑스주의와 형식 : 20세기의 변증법적 문학이론" 창비 2014

      14 호르크하이머, 막스, "도구적 이성 비판" 문예출판사 2006

      15 베케트, 사뮈엘, "고도를 기다리며" 민음사 2008

      16 노명우, "계몽의 변증법을 넘어서-아도르노와 쇤베르크" 문학과 지성사 2002

      17 Adorno, Th. W, "Philosophische Frühschriften, Gesammelte Schrifte Bd. 1" Suhrkamp 1973

      18 Adorno, Th. W, "Philosophische Frühschriften, Gesammelte Schrifte Bd. 1" Suhrkamp 1973

      19 Adorno, Th. W, "Kulturkritik und Gesellschaft Ⅱ, Gesammelte Schriften 10·2" Suhrkamp 1975

      20 Geyer, Carl-Friedrich, "Kritische Theorie: Max Horkheimer und Theodor W. Adorno" Verlag Karl Alber 1982

      21 Ritter, Johachim, "Historisches Wörterbuch der Philosophie, Bd. 4" 1976

      22 Kager, Reinhard, "Herrschaft und Versöhnung: Einführung in das Denken Theodor W. Adorno" Campus Verlag 1988

      23 Benjamin, Walter, "Gesammelte Schriften, a.a.O. (Anm. 58), Bd. V. 1" Suhrkamp 1996

      24 Adorno, Th. W, "Gesammelte Schriften, Bd. 6" Suhrkamp 1972

      25 Rademacher, Claudia, "Ethik und Ästhetik bei Adorno" Augument Verlag 1995

      26 Schaap, Sybe, "Die Verwirklichung der Philosophie: Der metaphysische Anspruch im Denken Th. W. Adornos" Königshausen & Neumann 2000

      27 Bude, Heinz, "Der Essay als Form der Darstellung sozialwissenschaftlicher Erkenntnisse" 41 : 1989

      28 Theunissen, Michael, "Adorno-Konferenz 1983" 1983

      29 Wellmer, Albrecht, "Adorno-Konferenz 1983" Suhrkamp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32 0.597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