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화경언해와 월인석보의 비교를 통해서, 그리고 근대국어와 현대국어에 대한 관견을 통해서, {-에셔}와, 소위 여격후치사로 알려진 _-ㅇ -l게}, {- ㅇ -ㅣ그에} 등에 대한 문제를 간략하게 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법화경언해와 월인석보의 비교를 통해서, 그리고 근대국어와 현대국어에 대한 관견을 통해서, {-에셔}와, 소위 여격후치사로 알려진 _-ㅇ -l게}, {- ㅇ -ㅣ그에} 등에 대한 문제를 간략하게 그...
법화경언해와 월인석보의 비교를 통해서, 그리고 근대국어와 현대국어에 대한 관견을 통해서, {-에셔}와, 소위 여격후치사로 알려진 _-ㅇ -l게}, {- ㅇ -ㅣ그에} 등에 대한 문제를 간략하게 그러나 정황하게 기술하였다. 지금까지의 논술에서 얻어진 결론을 요약하면서 맺는말로 대신한다.
1. 중세국어 및 근대 국어에서 처격어미 {-에} 스스로가 후치사 {-셔}의 도움 없이도 후술용언과 체재, 이탈, 비교의 관계의미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에셔}가 나타내는 체재, 이탈이나 비교의 구실은 {-에}에 대한 것이지 {-셔}에 의한 것이 아니다. 이때 {-셔}는 어느 정도 잉여적인 요소로서 그 앞에 연결되는 격어미의 뜻을 더해 주고 있을 뿐이다. 이러한 현상은 몇몇 후치사의 일반적 속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