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에서는 다산 정약용의 제자였던 치원 황상의 산거 생활과 관련하여 그가 영위하고자 했던 내면 의식과 삶의 세계를 살펴보았다. 황상이 산거생활을 하게 된 동기는 1805년에 강진 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214474
2012
Korean
다산 정약용 ; 치원소고 ; 원림 ; 유인(幽人) ; 일지암 ; 일속산방 ; 산거 미학 a garden ; forest life ; Iljiam ; Providence ; tea and tobacco
811.05
KCI등재
학술저널
31-56(26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다산 정약용의 제자였던 치원 황상의 산거 생활과 관련하여 그가 영위하고자 했던 내면 의식과 삶의 세계를 살펴보았다. 황상이 산거생활을 하게 된 동기는 1805년에 강진 보...
이 논문에서는 다산 정약용의 제자였던 치원 황상의 산거 생활과 관련하여 그가 영위하고자 했던 내면 의식과 삶의 세계를 살펴보았다. 황상이 산거생활을 하게 된 동기는 1805년에 강진 보은산의 고성암에서 다산에게 『주역』을 배우다가 ``이괘(履卦)`` 九二에 나오는 幽人의 삶에 매료되면서였다. 이때 다산은 제자인 황상을 위해『제황상유인첩(題黃裳幽人帖)』을 지어 주었고, 훗날 황상은 그것을 실천으로 옮겨 일속산방(一粟山房)을 조성하였다. 황상이 세속과 거리를 두고 산거 생활로 들어간 것은 그것에 매료되었기 때문이지만, 한편으로 신분상의 갈등도 적잖이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황상이 일속산방을 조성하고 경영했던 경위에 대해서는 최근에 정민교수가 공개한 『치원소고』 권1의 <일속산방기>,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율당잡고(聿堂雜稿)』의 <일속산방기> 등을 통해서 그것의 규모나 공간 구조를 짐작할 수 있다. 황상이 남긴 <일속산방기>를 보면 당호는 다산의 장남 정학연이 작명하였는데, 그것은 천하의 광대함을 일속이란 매우 작은 공간에 저장한다는 의미에서였다. 황상의 일속산방과 관련한 산거 미학은 다음으로 요약된다. 황상에게 일속 산방은 평화로운 이상 세계의 공간이었고, 한 톨의 좁쌀처럼 작았지만 그 속에 삼천세계의 거대한 우주 공간이 자리하고 있었다. 황상의 산거생활은 물질적으로 가난하고 초라하였지만 정신적으로 풍요롭고 자유로웠다. 황상은 그곳에서 자연에 동화되며 자족적인 삶을 누리고 있었다. 그는 이를 천명(天命)이라 부르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of Whang Sang`s forest life and the inner consciousness. In recently, a composition and management of Whang Sang`s Ilsoksanbang is released related materials, Ilsoksanbang was over 10 meters into the valley from the main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of Whang Sang`s forest life and the inner consciousness. In recently, a composition and management of Whang Sang`s Ilsoksanbang is released related materials, Ilsoksanbang was over 10 meters into the valley from the main building in the back seat holding, where the water flows overlap the mountain was where the cloud abode. There was a small thatched house was barely enough space to body. Ilsoksanbang was named by Jung hakyeon. It is the immensity of the world in the sense that ranged from very small space saving. According to Whang Sang`s discussion, the vast ocean of the people is like a grain of millet. However, the big and the small things like the end of the border, saying there is no meaning ilsoksanbang are exploring seriously. He put a certain distance from secular nature were continued to lead with a free daily in Ilsoksanbang. Looking at the works of his forest life, he was a spiritually rich and materially poor, but free. He put a certain distance from secular nature were continued to lead with a free daily in Ilsoksanbang. Where he writes poetry, enjoying tea and tobacco enjoyed a free life with nature.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민, "황상의 일속산방 경영과 산가 생활, In 다산의 재발견" Humanist 641-681, 2011
2 이주노, "중국원림과 중국문화- 원림의 개념과 종류를 중심으로-" 33 : 17-33,
3 임형택, "정약용의 강지유배기의 교육활동과 그 성과, In 실사구시의 한국학" 창작과 비평사 399-434, 2000
4 정민, "새발굴『치원소고』및 치원진장에 대하여" 2012
5 구사회, "새 자료 『치원소고(巵園小藁)』와 황상(黃裳)의 만년 교유" 한국어문학연구학회 (58) : 311-341, 2012
6 이철희, "사회시社會詩에서 다산茶山과 치원卮園의 차이"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2) : 119-142, 2008
7 진재교, "茶山學의 形成과 ?園 黃裳" 대동문화연구원 41 : 27-60, 2002
8 이철희, "茶山 詩學의 계승자 黃裳에 대한 평가와 그 의미 ―秋史·山泉의 ?園遺稿序 분석―" 대동문화연구원 (53) : 229-253, 2006
9 "聿堂襍稿(申耆永)" 서울대학교 규장각
10 "巵園遺稿"
1 정민, "황상의 일속산방 경영과 산가 생활, In 다산의 재발견" Humanist 641-681, 2011
2 이주노, "중국원림과 중국문화- 원림의 개념과 종류를 중심으로-" 33 : 17-33,
3 임형택, "정약용의 강지유배기의 교육활동과 그 성과, In 실사구시의 한국학" 창작과 비평사 399-434, 2000
4 정민, "새발굴『치원소고』및 치원진장에 대하여" 2012
5 구사회, "새 자료 『치원소고(巵園小藁)』와 황상(黃裳)의 만년 교유" 한국어문학연구학회 (58) : 311-341, 2012
6 이철희, "사회시社會詩에서 다산茶山과 치원卮園의 차이"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2) : 119-142, 2008
7 진재교, "茶山學의 形成과 ?園 黃裳" 대동문화연구원 41 : 27-60, 2002
8 이철희, "茶山 詩學의 계승자 黃裳에 대한 평가와 그 의미 ―秋史·山泉의 ?園遺稿序 분석―" 대동문화연구원 (53) : 229-253, 2006
9 "聿堂襍稿(申耆永)" 서울대학교 규장각
10 "巵園遺稿"
11 "巵園小藁"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9-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화학회 -> 한국시가문화학회영문명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The Society of Korean Poetry and Culture | ![]() |
2015-09-2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화연구 -> 한국시가문화연구외국어명 : The Studies in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The Studies in Korean Poetry and Culture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07-0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학회 -> 한국고시가문화학회영문명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 |
2014-07-0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고시가연구 -> 한국고시가문화연구외국어명 : The Society Korean Classic Poetry -> The Studies in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4 | 0.64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8 | 0.45 | 1.123 | 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