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조직이론 분야 중 가장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제도론적 관점이다. 그러나 제도론적 관점은 활발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제도의 실체를 밝히는 것조차 합의를 보지 못하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조직이론 분야 중 가장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제도론적 관점이다. 그러나 제도론적 관점은 활발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제도의 실체를 밝히는 것조차 합의를 보지 못하고...
최근 조직이론 분야 중 가장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제도론적 관점이다. 그러나 제도론적 관점은 활발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제도의 실체를 밝히는 것조차 합의를 보지 못하고 있다는 느낌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인식에 착안하여 제도의 실체를 밝히고자 하며, 이것을 근거로 제도론적 관점의 특징을 살피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도는 상대적 속성으로 파악되고 있다. 즉 국가, 사회, 조직에 따라 제도는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즉 국가, 사회, 조직은 그들 각자의 사회적 협약에 따라 상이한 제도를 발전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는 이러한 속성을 반영하여 능률적 관점, 상징적 속성, 문화 및 규범적 속성에 따라 달리 규정되어진다는 것이다. 제도는 그것이 갖는 속성으로 인하여 진화되기도 하고 소멸되기도 한다. 일단 진화한 제도는 그 구성원에게 피할 수 없는 제약요인이 되고, 습관화하게 된다. 이것이 정착되면 개인의 개별적 의사결정수준은 현저히 낮아지게 된다는 것이다. 문제는 이러한 사실을 보다 사회학적으로 어떻게 구체화시킬 것이냐 하는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