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화학플랜트 관리감독자의 안전리더십과 사고예방의 관계에서 안전문화의 매개효과 분석 =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of safety cul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safety leadership and accident prevention in chemical pla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37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산업현장에서 사고방지를 위한 안전리더십은 필요조건이고 안전문화는 충분조건이라는 가정으로 화학플랜트 유지보수 작업자가 느끼는 관리감독자의 안전리더십과 사고예방의 관계에서 안전문화의 매개효과에 대한 분석을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에 소재하고있는 플랜트(Plant) 전문건설업 근로자 500인 미만의 중소기업에재직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2021년 11월 24일부터 12월 04일까지 10일간 온-오프라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관리감독자의 안전리더십과 사고예방 간의 관계에서 안전문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안전 중요성문화 및 규정 절차 문화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확인했다. 따라서 안전문화를 개선하기 위한 관리감독자의 안전리더십전략은 안전 관심도 및 참여 유도를 증진시키고, 안전행동 및 활동에 초점을 두는 리더십이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분석 결과는 사고예방에 대한 관리감독자의 안전리더십 전략방안 모색의 기초자료의 역할을 하리라 기대한다. 다만 설문당시 코로나 펜데믹으로 인한 대면접촉이 어려운 상황에서 온라인 설문의 비중이 높았다는 점은 본 연구의 한계이다.
      향후연구는 현장의 안전관리자를 대상으로 심층개별면접을 시도하여 양적 통계분석법의 약점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고본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산업현장에서 사고방지를 위한 안전리더십은 필요조건이고 안전문화는 충분조건이라는 가정으로 화학플랜트 유지보수 작업자가 느끼는 관리감독자의 안전리더십과 사고예방의 ...

      본 연구는 산업현장에서 사고방지를 위한 안전리더십은 필요조건이고 안전문화는 충분조건이라는 가정으로 화학플랜트 유지보수 작업자가 느끼는 관리감독자의 안전리더십과 사고예방의 관계에서 안전문화의 매개효과에 대한 분석을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에 소재하고있는 플랜트(Plant) 전문건설업 근로자 500인 미만의 중소기업에재직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2021년 11월 24일부터 12월 04일까지 10일간 온-오프라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관리감독자의 안전리더십과 사고예방 간의 관계에서 안전문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안전 중요성문화 및 규정 절차 문화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확인했다. 따라서 안전문화를 개선하기 위한 관리감독자의 안전리더십전략은 안전 관심도 및 참여 유도를 증진시키고, 안전행동 및 활동에 초점을 두는 리더십이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분석 결과는 사고예방에 대한 관리감독자의 안전리더십 전략방안 모색의 기초자료의 역할을 하리라 기대한다. 다만 설문당시 코로나 펜데믹으로 인한 대면접촉이 어려운 상황에서 온라인 설문의 비중이 높았다는 점은 본 연구의 한계이다.
      향후연구는 현장의 안전관리자를 대상으로 심층개별면접을 시도하여 양적 통계분석법의 약점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고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safety cul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fety leadership of management supervisors and accident prevention according to chemical-plant maintenance workers. It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safety leadership is a necessary condition and that safety culture is a sufficient condition for accident preven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offline for 10 days from November 24, 2021, to December 04, 2021, among workers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ith fewer than 500 workers in the plant construction industry in Chungcheongnam-do.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of safety culture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leadership and accident prevention of supervisors. In addition,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were confirmed in safety importance culture and regulatory procedure culture. Therefore, the safety strategy of managers and supervisors to improve safety culture should be a focus in leadership for safety behaviors and activities to increase the level of safety interest and participati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the search for safety leadership strategies for managers and supervisors for accident prevention. However,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proportion of online surveys was high since face-to-face contact was difficult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t the time of the survey. For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weaknesses of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by conducting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on-site safety manag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safety cul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fety leadership of management supervisors and accident prevention according to chemical-plant maintenance workers. It is based on the ass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safety cul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fety leadership of management supervisors and accident prevention according to chemical-plant maintenance workers. It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safety leadership is a necessary condition and that safety culture is a sufficient condition for accident preven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offline for 10 days from November 24, 2021, to December 04, 2021, among workers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ith fewer than 500 workers in the plant construction industry in Chungcheongnam-do.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of safety culture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leadership and accident prevention of supervisors. In addition,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were confirmed in safety importance culture and regulatory procedure culture. Therefore, the safety strategy of managers and supervisors to improve safety culture should be a focus in leadership for safety behaviors and activities to increase the level of safety interest and participati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the search for safety leadership strategies for managers and supervisors for accident prevention. However,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proportion of online surveys was high since face-to-face contact was difficult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t the time of the survey. For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weaknesses of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by conducting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on-site safety manag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준혁 ; 배성민, "제품사용설명서의 작성원칙이 소비자의 제품사고예방에 미치는 영향" 한국품질경영학회 47 (47): 509-522, 2019

      2 송기석 ; 안병준 ; 임종국, "안전문화가 제조업 종사자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 34 (34): 65-75, 2019

      3 위국환 ; 방원석 ; 김선화 ; 장성록, "안전리더십, 안전준수, 안전교육, 안전문화 간의 구조적 관계 - K 사 사례연구 -" 한국안전학회 36 (36): 36-43, 2021

      4 문광수, "안전 리더십이 안전 행동, 안전 분위기, 사고에 미치는 효과: 메타 분석" 한국안전학회 33 (33): 66-76, 2018

      5 이지동 ; 오세진 ; 문광수, "안전 리더십 코칭 프로그램이 건설 현장 근로자들의안전 행동에 미치는 효과 : 행동기반 안전관리(Behavior Based Safety: BBS)를 중심으로" 한국안전학회 33 (33): 115-122, 2018

      6 구채칠 ; 최재욱, "내부 부상형저장탱크(IFRT) 화재․ 폭발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33 (33): 45-49, 2019

      7 구채칠 ; 최재욱, "내부 부상형 저장탱크(IFRT) 화재⋅폭발사고 원인 분석: OO송유관공사 저유소 화재⋅폭발사건을 중심으로" 한국화재소방학회 34 (34): 86-93, 2020

      8 이종현 ; 문광수, "건설현장 관리자 안전 리더십이 근로자 안전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자기 고양 편향을 중심으로" 한국안전학회 35 (35): 76-83, 2020

      9 M. D. Cooper, "Towards a model of safety culture" 36 : 111-136, 2000

      10 N. H. Seo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urity level of safety culture and the intention of safety behavior among sports students" 20 : 187-210, 2021

      1 서준혁 ; 배성민, "제품사용설명서의 작성원칙이 소비자의 제품사고예방에 미치는 영향" 한국품질경영학회 47 (47): 509-522, 2019

      2 송기석 ; 안병준 ; 임종국, "안전문화가 제조업 종사자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 34 (34): 65-75, 2019

      3 위국환 ; 방원석 ; 김선화 ; 장성록, "안전리더십, 안전준수, 안전교육, 안전문화 간의 구조적 관계 - K 사 사례연구 -" 한국안전학회 36 (36): 36-43, 2021

      4 문광수, "안전 리더십이 안전 행동, 안전 분위기, 사고에 미치는 효과: 메타 분석" 한국안전학회 33 (33): 66-76, 2018

      5 이지동 ; 오세진 ; 문광수, "안전 리더십 코칭 프로그램이 건설 현장 근로자들의안전 행동에 미치는 효과 : 행동기반 안전관리(Behavior Based Safety: BBS)를 중심으로" 한국안전학회 33 (33): 115-122, 2018

      6 구채칠 ; 최재욱, "내부 부상형저장탱크(IFRT) 화재․ 폭발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33 (33): 45-49, 2019

      7 구채칠 ; 최재욱, "내부 부상형 저장탱크(IFRT) 화재⋅폭발사고 원인 분석: OO송유관공사 저유소 화재⋅폭발사건을 중심으로" 한국화재소방학회 34 (34): 86-93, 2020

      8 이종현 ; 문광수, "건설현장 관리자 안전 리더십이 근로자 안전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자기 고양 편향을 중심으로" 한국안전학회 35 (35): 76-83, 2020

      9 M. D. Cooper, "Towards a model of safety culture" 36 : 111-136, 2000

      10 N. H. Seo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urity level of safety culture and the intention of safety behavior among sports students" 20 : 187-210, 2021

      11 J. A. Arnold, "The empowering leadership questionnnaire : the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new scale for measuring leader behaviors" 21 : 2000

      12 J. I. Oh, "The Effect of Safety Leadership and Safety Education on Safety Performance : The Mediating Role of Safety Climate" Kwangwo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6

      13 E. S. Geller, "Ten principles for achieving a total safety culture" 39 (39): 18-, 1994

      14 A. O'Dea, "Site Managers and Safety Leadership in the Offshore Oil and Gas Industry" 37 (37): 39-57, 2001

      15 J. S. Duncan, "Safety management systems for aviation service providers" 120-92B (120-92B): 1-80, 2015

      16 J. S. Carroll, "Safety culture as an ongoing process : Culture surveys as opportunities for enquiry and change" 12 (12): 272-284, 1998

      17 S. Cox, "Safety culture : philosopher's stone or man of straw?" 12 (12): 189-201, 1998

      18 T. C. Wu, "Safety Climate in University and College Laboratories : Impact of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Factors" 38 (38): 91-102, 2007

      19 A. Ciavarelli, "Organizational factors in aviation accidents" 1033-1035, 1996

      20 J. Reason, "Managing the risks of organizational accidents" Ashgate Publishing Limited 1997

      21 R. A. S. Carrillo, "Expanding Managers’ leadership role in safety" 43 (43): 38-41, 1998

      22 J. Barling, "Development and test of a modellinki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occupational injuries" 87 : 488-496, 2002

      23 S. W. Lee, "A study on the effect of safety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on safety behavior" Keim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8

      24 K. H. Lee, "A Study on the Effect of Workplace Managers' Safety Leadership on Workplace Safety Culture" 2011 (2011): 299-313, 2011

      25 D. H. Seo, "A Study on Disaster Investigation in Non-Daily Work at PSM Targeted Workplaces"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