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儒家思想의 원리적 바탕이라 할 易의 乾坤陰陽論의 본래적 의미를 전통적 여성상에 조명함으로써 그 시대성과 보편성을 확인하고 그 현재적 의미를 고찰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儒家思想의 원리적 바탕이라 할 易의 乾坤陰陽論의 본래적 의미를 전통적 여성상에 조명함으로써 그 시대성과 보편성을 확인하고 그 현재적 의미를 고찰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이 논문은 儒家思想의 원리적 바탕이라 할 易의 乾坤陰陽論의 본래적 의미를 전통적 여성상에 조명함으로써 그 시대성과 보편성을 확인하고 그 현재적 의미를 고찰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는 방법적으로 전통시대 여성저자들에 의해 집필된 교훈서 女四書를 채택하여 당시사회에서 요청되었던 여성상을 살펴보고, 그러한 여성상이 갖는 사상적 의미를 易의 乾坤陰陽論을 통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역사적으로 易의 陰陽論과 乾坤論이 ‘男尊女卑’와 ‘抑陰尊陽’의 이데올로기로 확대 재생산되어 온 측면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유가의 본래적 사유에서 볼 때 하늘과 땅으로 유비되는 男과 女의 관계를 단지 지배와 종속이라는 단선적 논리만으로 설명하기에는 다시 성찰하여야할 문제들이 있다. 음양론은 對待와 消長, 그리고 相涵이라는 상호작용을 기본으로 하며, 乾坤論에서도 乾은 乾답고 坤은 坤다움으로써 상호 감응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일반적 고찰에 그치기 쉬운 抑陰尊陽論과 坤卦의 乾에 대한 順承論을 긍정과 부정의 양면에서 재해석하고, 坤卦에 유가가 지향하는 時中의 이념이 내재해 있음을 밝혔다. 그리하여 女四書에 나타난 여성의 삶을 피동적이고, 피해자적인 관점이 아니라 일정한 역사적 조건 속에서 능동적으로 그 사회의 성공자가 되고자 노력하였던 주체적 삶의 기록으로 보았으며, 근본유가사상이 그러하듯이 이들의 삶의 원리였던 공경과 겸손은 현대사회의 부드러운 리더쉽의 한 형태로 재창조할 수 있다고 보았다.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經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0
2 高懷民著, "주역철학의 이해" 문예출판사 1995
3 이동준, "유교의 인도주의와 한국사상" 한울아카데미 1997
4 최영진, "유교사상의 본질과 현재성" 유교문화연구소 2002
5 이은선, "유교, 기독교, 페미니즘" 지식산업사 2003
6 이상익, "역사철학과 역학사상" 성균관대 출판부 1996
7 이숙인, "여사서" 여이연 2003
8 이숙인, "동아시아 고대의 여성사상" 여이연, 2005
9 이선경, "易의 坤卦와 유교적 삶의 완성 - 곤괘에 깃든 유교의 종교성과 인문정신을 중심으로" 한국철학회 (85) : 27-46, 2005
10 "孟子(經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0
1 "論語( 經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0
2 高懷民著, "주역철학의 이해" 문예출판사 1995
3 이동준, "유교의 인도주의와 한국사상" 한울아카데미 1997
4 최영진, "유교사상의 본질과 현재성" 유교문화연구소 2002
5 이은선, "유교, 기독교, 페미니즘" 지식산업사 2003
6 이상익, "역사철학과 역학사상" 성균관대 출판부 1996
7 이숙인, "여사서" 여이연 2003
8 이숙인, "동아시아 고대의 여성사상" 여이연, 2005
9 이선경, "易의 坤卦와 유교적 삶의 완성 - 곤괘에 깃든 유교의 종교성과 인문정신을 중심으로" 한국철학회 (85) : 27-46, 2005
10 "孟子(經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0
11 이정호, "周易正義" 아세아문화사 1980
12 "周易折中(影印文淵閣四庫全書, 經部第33冊)" 台北市, 商務印書館
13 이정호, "周易字句索引" 국제대학인문사회과학연구소 1978
14 "原本周易" 中和堂
15 林漢仕, "乾坤傳識(民77)" 台北 文史哲出版社
16 "中庸(經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0
한국유학 : 간재(艮齋) 전우(田愚)의 의리사상에 대한 일고 -간재(艮齋)의 저술(著述)에 나타난 적극론과 소극론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2-05-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유교사상연구 -> 유교사상문화연구외국어명 : THE STUDY OF CONFUCIANISM -> THE STUDY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10-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Y OF CONFUCIANISM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3 | 0.53 | 1.438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