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사박물관과 공공역사―쟁점과 대안들 = Women’s History Museum and Public History: Issues and Alternativ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omen’s history museums are the contending site in which women, history and museum as a public space are entangled. This paper start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history and museum, and reviews the feminist critics of the problems involved in museum exhibitions which are not likely to represent women’s experience. It also suggests woman’s public history as a new approach to women’s history museums in South Korea. While it reviews the recent process of national women’s history museum movement in South Korea, it examines the two women’s history museums, National Women’s History Exhibition Hall and War& Women’s Human Rights Museum in terms of displaying structure, exhibition narrative and limitions. This examination draws out the important issues concerning constructing a women’s history museum; the limitations of representing women‘s experience by applying periodization of national history, expanding women’s diverse memories and experiences duri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through oral history, and establishing the collection policy in collaboration with gender history historians. These issues are followed by suggestions for alternative exhibition strategies to make a women’history museum as gender-cognitive space which will be the site for women’s public history.
      번역하기

      Women’s history museums are the contending site in which women, history and museum as a public space are entangled. This paper start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history and museum, and reviews the feminist critics of the problems inv...

      Women’s history museums are the contending site in which women, history and museum as a public space are entangled. This paper start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history and museum, and reviews the feminist critics of the problems involved in museum exhibitions which are not likely to represent women’s experience. It also suggests woman’s public history as a new approach to women’s history museums in South Korea. While it reviews the recent process of national women’s history museum movement in South Korea, it examines the two women’s history museums, National Women’s History Exhibition Hall and War& Women’s Human Rights Museum in terms of displaying structure, exhibition narrative and limitions. This examination draws out the important issues concerning constructing a women’s history museum; the limitations of representing women‘s experience by applying periodization of national history, expanding women’s diverse memories and experiences duri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through oral history, and establishing the collection policy in collaboration with gender history historians. These issues are followed by suggestions for alternative exhibition strategies to make a women’history museum as gender-cognitive space which will be the site for women’s public hist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여성사박물관은 여성, 역사 그리고 박물관이 서로 복합적으로 연류된 공공역사의 장이다. 그렇다면 공공역사와 관련하여 박물관에서 여성사는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가. 그리고 공공역사의 장으로서 여성사박물관은 무엇을 지향하고 어떤 내용을 담보해야 하는가. 이 글은 여성 경험을 재현하는 장으로서 박물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한국의 대표적인 두 여성사박물관을 사례로 분석하여 공공역사와 여성사박물관에 대해서 논의한다. 이를 위하여 공공역사와 박물관의 관계를 검토하고 기존의 박물관에 대한 페미니스트들의 비판을 살펴본다. 또한 여성사박물관에 대한 새로운 접근으로 여성의 공공역사를 소개한다. 국내 여성사박물관의 사례로서 국립여성사전시관과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을 분석하여 박물관에서 여성 경험 재현과 관련된 쟁점과 대안들을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공공역사를 향해 공공역사를 젠더인지적으로 만드는 여성사박물관의 방향성을 제안한다.
      번역하기

      여성사박물관은 여성, 역사 그리고 박물관이 서로 복합적으로 연류된 공공역사의 장이다. 그렇다면 공공역사와 관련하여 박물관에서 여성사는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가. 그리고 공공역사...

      여성사박물관은 여성, 역사 그리고 박물관이 서로 복합적으로 연류된 공공역사의 장이다. 그렇다면 공공역사와 관련하여 박물관에서 여성사는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가. 그리고 공공역사의 장으로서 여성사박물관은 무엇을 지향하고 어떤 내용을 담보해야 하는가. 이 글은 여성 경험을 재현하는 장으로서 박물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한국의 대표적인 두 여성사박물관을 사례로 분석하여 공공역사와 여성사박물관에 대해서 논의한다. 이를 위하여 공공역사와 박물관의 관계를 검토하고 기존의 박물관에 대한 페미니스트들의 비판을 살펴본다. 또한 여성사박물관에 대한 새로운 접근으로 여성의 공공역사를 소개한다. 국내 여성사박물관의 사례로서 국립여성사전시관과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을 분석하여 박물관에서 여성 경험 재현과 관련된 쟁점과 대안들을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공공역사를 향해 공공역사를 젠더인지적으로 만드는 여성사박물관의 방향성을 제안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숙경, "한국 여성사 연구의 성립과 과제" 15 : 1994

      2 안숙영, "젠더와 국가: <전쟁과 여성인권 박물관>의 건립과정을 중심으로" 여성연구소 24 (24): 41-68, 2014

      3 박정애, "정대협 운동사의 현재를 담다 ―전쟁과 여성인권 박물관" 역사문제연구소 (106) : 229-262, 2014

      4 천경효, "전쟁과 여성인권 박물관과 공공기억" 인문사회 21 9 (9): 705-716, 2018

      5 윤택림, "여성은 스스로 말 할 수 있는가: 여성 구술 생애사 연구의 쟁점과 방법론적 논의" 한국여성연구원 27 (27): 77-111, 2010

      6 여성사건립추진협의회, "여권통문과 박에스터" 2020

      7 윤지현, "아카이브 중심의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한국기록관리학회 20 (20): 237-243, 2020

      8 이나영, "서사적 박물관, 정동적 공간―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1 : 2018

      9 이남희, "서구 여성사 연구의 형성과 전개" 15 : 1994

      10 윤택림, "민족주의 담론과 여성―여성주의 역사학(feminist historiography)에 대한 시론" 10 : 1994

      1 최숙경, "한국 여성사 연구의 성립과 과제" 15 : 1994

      2 안숙영, "젠더와 국가: <전쟁과 여성인권 박물관>의 건립과정을 중심으로" 여성연구소 24 (24): 41-68, 2014

      3 박정애, "정대협 운동사의 현재를 담다 ―전쟁과 여성인권 박물관" 역사문제연구소 (106) : 229-262, 2014

      4 천경효, "전쟁과 여성인권 박물관과 공공기억" 인문사회 21 9 (9): 705-716, 2018

      5 윤택림, "여성은 스스로 말 할 수 있는가: 여성 구술 생애사 연구의 쟁점과 방법론적 논의" 한국여성연구원 27 (27): 77-111, 2010

      6 여성사건립추진협의회, "여권통문과 박에스터" 2020

      7 윤지현, "아카이브 중심의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한국기록관리학회 20 (20): 237-243, 2020

      8 이나영, "서사적 박물관, 정동적 공간―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1 : 2018

      9 이남희, "서구 여성사 연구의 형성과 전개" 15 : 1994

      10 윤택림, "민족주의 담론과 여성―여성주의 역사학(feminist historiography)에 대한 시론" 10 : 1994

      11 이춘하, "미국여성사박물관 건립을 위한 여성계의 노력" (가을) : 2013

      12 김명희, "두 전쟁박물관과 젠더 인지적 공공역사의 가능성: 이행기 정의의 코뮤니타스" 여성학연구소 11 (11): 7-42, 2018

      13 박현숙, "대중과 역사의 소통의 장으로서의 여성사 박물관-수잔 B. 안소니 박물관과 여권운동의 성지 세네카 폴즈를 중심으로-" 대구사학회 126 : 305-349, 2017

      14 기계형, "기획논문 : 박물관과 젠더 - 서구 ‘여성박물관 운동’의 최근 경향" 한국서양사학회 (124) : 65-96, 2015

      15 국립여성사박물관 건립추진위원회, "국립여성사박물관, 무엇을 담아낼 것인가" 2014

      16 전진성, "국가의 기억과 국민의 기억 사이―대한민국역사박물관 상설전시에 대한 단상" 역사문제연구소 (134) : 338-359, 2021

      17 포르치아니, 일라리아, "공공역사와 박물관―복합적 관계" 8 : 2016

      18 윤택림, "개인적 서술에서 공공의 기억으로: 구술사와 공공역사" 한국구술사학회 11 (11): 9-45, 2020

      19 김인순, "‘여성사전시관’ 혁신운영―‘(가칭)국립여성역사박물관’으로의 발전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2

      20 이동기, "‘공공역사’와 역사박물관" 2018

      21 Haywood, Claire, "Waxworks and Wordless Women : The Jack the Ripper Museum" 39 (39): 2017

      22 Cauvin, Thomas, "Public History : A Textbook of Practice" Routledge 2016

      23 Huskins, Bonnie, "Progress and Performance : Women and the New Brunswick Museum : 1880~1980, Virtual exhibit, http : //www. unbf. ca/womenandmuseum/Home. htm" 31 (31): 2009

      24 Prakash, Gyan, "Museum Stuides: An Anthology of Contexts" Wiley-Blackwell 2012

      25 Scott, Joan, "Gender and the Politics of Histor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8

      26 Frisch, Michael, "A Shared Authority : Essays on the Craft and Meaning of Oral and Public Histor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0

      27 윤택림, "(서평)구술, 기억, 공공 역사" 한국구술사학회 10 (10): 295-305,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