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공동주택의 벽체구조에 따른 제연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moke Depending on the Apartment Wall Constru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754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 of security in a fire in the one-sided corridor which is common in rental apartment complex in Korea. A computer simulation shows that the problem of the wall construction in the apartments can be solved by designing the upper part of the corridor exposed. The case studies indicate that it takes residents at least 151 seconds and 135 seconds respectively to evacuate their apartments when a fire breaks out in the middle part and at the end part of the corridor. As a result, it is possible not only to secure dwellers’ security in a fire, but also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ith the openness of the upper part of the corridor.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 of security in a fire in the one-sided corridor which is common in rental apartment complex in Korea. A computer simulation shows that the problem of the wall construction in the apartments can be solved by designi...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 of security in a fire in the one-sided corridor which is common in rental apartment complex in Korea. A computer simulation shows that the problem of the wall construction in the apartments can be solved by designing the upper part of the corridor exposed. The case studies indicate that it takes residents at least 151 seconds and 135 seconds respectively to evacuate their apartments when a fire breaks out in the middle part and at the end part of the corridor. As a result, it is possible not only to secure dwellers’ security in a fire, but also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ith the openness of the upper part of the corrido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편복도식 벽체시공에 있어서 상부만 일부 개방한 상황을 대상으로 화재 발생에 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안전성의 문제와 개선방안 등을 분석․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분석결과 중앙 및 측벽 세대에서의 화재발생 시나리오를 적용한 모든 사례에서 각각 최소피난(Refuge) 한계시간인 151초, 135초 내에서 거주자의 피난이 완료되는 것으로 나타나, 편복도 상부 일부만 개방한 경우 화재 시 거주자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거주자의 주거환경도 개선시킬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편복도식 벽체시공에 있어서 상부만 일부 개방한 상황을 대상으로 화재 발생에 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안전성의 문제와 개선방안 ...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편복도식 벽체시공에 있어서 상부만 일부 개방한 상황을 대상으로 화재 발생에 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안전성의 문제와 개선방안 등을 분석․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분석결과 중앙 및 측벽 세대에서의 화재발생 시나리오를 적용한 모든 사례에서 각각 최소피난(Refuge) 한계시간인 151초, 135초 내에서 거주자의 피난이 완료되는 것으로 나타나, 편복도 상부 일부만 개방한 경우 화재 시 거주자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거주자의 주거환경도 개선시킬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창호, "화재·피난 시뮬레이션을 통한 청소년 수련관 시설의 피난 안정성 검토" 대한설비공학회 21 (21): 23-32, 2009

      2 "http://www.mltm.go.kr"

      3 Glenn Forney, "User’s Guide for Smokeview(Version 5)" Building and Fire Research Laboratory 2009

      4 Thompason, P.A, "Modelling Evacuation in Multi-storey Buildings with Simulex" 56 (56): 147-159, 1996

      1 최창호, "화재·피난 시뮬레이션을 통한 청소년 수련관 시설의 피난 안정성 검토" 대한설비공학회 21 (21): 23-32, 2009

      2 "http://www.mltm.go.kr"

      3 Glenn Forney, "User’s Guide for Smokeview(Version 5)" Building and Fire Research Laboratory 2009

      4 Thompason, P.A, "Modelling Evacuation in Multi-storey Buildings with Simulex" 56 (56): 147-159,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