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준호, "한국어 어미 ‘-을’의 역사적 연구: 명명 구문, 관형 구성을 중심으로" 2019
2 박진호, "차자표기 자료에 대한 통사론적 검토" 국립국어연구원 7 (7): 117-145, 1997
3 장경준, "점토석독구결에서 구결자 ‘入’에 대응되는 구결점에 대하여" 한국어학회 19 : 227-247, 2003
4 이용, "연결어미의 형성에 관한 연구" 역락 2003
5 박진호,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3: 고대국어" 국립국어연구원 121-205, 1998
6 양세욱, "고전중국어의 화제화와 대용어" 한국중국어문학회 37 : 315-334, 2002
7 Pulleyblank, E., "고전 중국어 문법 강의" 궁리 2005
8 허인영, "고려 시대 한국어의 정보구조에 관한 일고찰: 『유가사지론』 권20의 자토석독구결을 대상으로"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30 : 5-36, 2017
9 郭錫陽, "고대중국어" 역락 2016
10 안대현, "고대국어의 ‘孑’와 중세국어의 ‘치’" 63-70, 2009
1 최준호, "한국어 어미 ‘-을’의 역사적 연구: 명명 구문, 관형 구성을 중심으로" 2019
2 박진호, "차자표기 자료에 대한 통사론적 검토" 국립국어연구원 7 (7): 117-145, 1997
3 장경준, "점토석독구결에서 구결자 ‘入’에 대응되는 구결점에 대하여" 한국어학회 19 : 227-247, 2003
4 이용, "연결어미의 형성에 관한 연구" 역락 2003
5 박진호,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3: 고대국어" 국립국어연구원 121-205, 1998
6 양세욱, "고전중국어의 화제화와 대용어" 한국중국어문학회 37 : 315-334, 2002
7 Pulleyblank, E., "고전 중국어 문법 강의" 궁리 2005
8 허인영, "고려 시대 한국어의 정보구조에 관한 일고찰: 『유가사지론』 권20의 자토석독구결을 대상으로"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30 : 5-36, 2017
9 郭錫陽, "고대중국어" 역락 2016
10 안대현, "고대국어의 ‘孑’와 중세국어의 ‘치’" 63-70, 2009
11 박향란, "고대 중국어 관계절의 유형, 분포 및 의미" 언어과학회 (82) : 137-158, 2017
12 장경준, "點吐口訣 硏究의 成果와 當面 課題" 구결학회 (21) : 67-98, 2008
13 황선엽, "釋讀구결사전" 박문사 2009
14 李丞宰, "角筆口訣의 解讀과 飜譯 5" 태학사 2009
15 李丞宰, "角筆口訣의 解讀과 飜譯 4" 태학사 2009
16 李丞宰, "角筆口訣의 解讀과 飜譯 3" 태학사 2006
17 李丞宰, "角筆口訣의 解讀과 飜譯 2" 태학사 2006
18 李丞宰, "角筆口訣의 解讀과 飜譯 1" 태학사 2005
19 延世大學校虛辭辭典編纂室, "虛辭大辭典" 成輔社 2001
20 이용, "新羅吏讀 자료에 나타난 內의 용법" 국어학회 (66) : 233-264, 2013
21 문현수, "周本 『華嚴經』 點吐釋讀口訣의 解讀 硏究" 고려대학교 2017
22 이용, "助詞 表記字로 본 吏讀의 變遷" 구결학회 (38) : 109-149, 2017
23 李勇, "前期 中世國語에 나타난 ‘?-’의 성격-用言으로 쓰이는 ‘?-’를 中心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1 (31): 71-96, 2003
24 이현희, "中世國語構文硏究" 新丘文化社 1994
25 安秉禧, "中世國語文法論" 學硏社 1990
26 이용, "『합부금광명경』권3 석독구결의 현대어역" 141-225, 2013
27 서민욱, "『유가사지론』 권5·8의 점토구결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5
28 장경준, "『유가사지론』 권20의 석독구결 역구" 역락 2015
29 유영기, "≪金匱要略≫ ‘者’ 고찰" 중국인문학회 (52) : 23-34, 2012
30 서민욱, "‘者’字의 부호구결에 대하여" 구결학회 7 : 167-197, 2001
31 Haiman, J., "Conditions are topics" 54 : 564-589, 1978
32 남권희, "13세기 高麗 釋讀口訣本 『慈悲道場懺法』 卷4 殘片의 구결 소개" 국어사학회 (22) : 199-250, 2016
33 문현수, "/ㄱ/ 약화 표기를 통해 살펴본 구결자 ‘’의 원자(原字) 및 음가(音價) 연구" 민족문화연구원 (81) : 107-135,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