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차자표기 자료의 ‘者’ 구문에 대한 문법사적 고찰 = A Historical Study on zhe (者)-construction in Korean Borrowing Writing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153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examine how zhe (者) can be translated in Sektok Kwukyel, and in Idu. In the result, we divide zhe-constructions used in Chinese Classics into four types. They are noun phrase construction, topic marker and condition marker, meaning explanation construction, and other usages. In other usages, there are time expression, classifier expression, and suffix. Consequently, the number of all usages are 9. They are the result of interpretation by a Kwukyel interpreter. In Idu, zhe has two usages: topic marker and condition marker. These two usages of zhe are thought to be influenced by the usages in Chinese Classics.
      번역하기

      In this study, we examine how zhe (者) can be translated in Sektok Kwukyel, and in Idu. In the result, we divide zhe-constructions used in Chinese Classics into four types. They are noun phrase construction, topic marker and condition marker, meaning...

      In this study, we examine how zhe (者) can be translated in Sektok Kwukyel, and in Idu. In the result, we divide zhe-constructions used in Chinese Classics into four types. They are noun phrase construction, topic marker and condition marker, meaning explanation construction, and other usages. In other usages, there are time expression, classifier expression, and suffix. Consequently, the number of all usages are 9. They are the result of interpretation by a Kwukyel interpreter. In Idu, zhe has two usages: topic marker and condition marker. These two usages of zhe are thought to be influenced by the usages in Chinese Classic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준호, "한국어 어미 ‘-을’의 역사적 연구: 명명 구문, 관형 구성을 중심으로" 2019

      2 박진호, "차자표기 자료에 대한 통사론적 검토" 국립국어연구원 7 (7): 117-145, 1997

      3 장경준, "점토석독구결에서 구결자 ‘入’에 대응되는 구결점에 대하여" 한국어학회 19 : 227-247, 2003

      4 이용, "연결어미의 형성에 관한 연구" 역락 2003

      5 박진호,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3: 고대국어" 국립국어연구원 121-205, 1998

      6 양세욱, "고전중국어의 화제화와 대용어" 한국중국어문학회 37 : 315-334, 2002

      7 Pulleyblank, E., "고전 중국어 문법 강의" 궁리 2005

      8 허인영, "고려 시대 한국어의 정보구조에 관한 일고찰: 『유가사지론』 권20의 자토석독구결을 대상으로"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30 : 5-36, 2017

      9 郭錫陽, "고대중국어" 역락 2016

      10 안대현, "고대국어의 ‘孑’와 중세국어의 ‘치’" 63-70, 2009

      1 최준호, "한국어 어미 ‘-을’의 역사적 연구: 명명 구문, 관형 구성을 중심으로" 2019

      2 박진호, "차자표기 자료에 대한 통사론적 검토" 국립국어연구원 7 (7): 117-145, 1997

      3 장경준, "점토석독구결에서 구결자 ‘入’에 대응되는 구결점에 대하여" 한국어학회 19 : 227-247, 2003

      4 이용, "연결어미의 형성에 관한 연구" 역락 2003

      5 박진호,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3: 고대국어" 국립국어연구원 121-205, 1998

      6 양세욱, "고전중국어의 화제화와 대용어" 한국중국어문학회 37 : 315-334, 2002

      7 Pulleyblank, E., "고전 중국어 문법 강의" 궁리 2005

      8 허인영, "고려 시대 한국어의 정보구조에 관한 일고찰: 『유가사지론』 권20의 자토석독구결을 대상으로"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30 : 5-36, 2017

      9 郭錫陽, "고대중국어" 역락 2016

      10 안대현, "고대국어의 ‘孑’와 중세국어의 ‘치’" 63-70, 2009

      11 박향란, "고대 중국어 관계절의 유형, 분포 및 의미" 언어과학회 (82) : 137-158, 2017

      12 장경준, "點吐口訣 硏究의 成果와 當面 課題" 구결학회 (21) : 67-98, 2008

      13 황선엽, "釋讀구결사전" 박문사 2009

      14 李丞宰, "角筆口訣의 解讀과 飜譯 5" 태학사 2009

      15 李丞宰, "角筆口訣의 解讀과 飜譯 4" 태학사 2009

      16 李丞宰, "角筆口訣의 解讀과 飜譯 3" 태학사 2006

      17 李丞宰, "角筆口訣의 解讀과 飜譯 2" 태학사 2006

      18 李丞宰, "角筆口訣의 解讀과 飜譯 1" 태학사 2005

      19 延世大學校虛辭辭典編纂室, "虛辭大辭典" 成輔社 2001

      20 이용, "新羅吏讀 자료에 나타난 內의 용법" 국어학회 (66) : 233-264, 2013

      21 문현수, "周本 『華嚴經』 點吐釋讀口訣의 解讀 硏究" 고려대학교 2017

      22 이용, "助詞 表記字로 본 吏讀의 變遷" 구결학회 (38) : 109-149, 2017

      23 李勇, "前期 中世國語에 나타난 ‘?-’의 성격-用言으로 쓰이는 ‘?-’를 中心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1 (31): 71-96, 2003

      24 이현희, "中世國語構文硏究" 新丘文化社 1994

      25 安秉禧, "中世國語文法論" 學硏社 1990

      26 이용, "『합부금광명경』권3 석독구결의 현대어역" 141-225, 2013

      27 서민욱, "『유가사지론』 권5·8의 점토구결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5

      28 장경준, "『유가사지론』 권20의 석독구결 역구" 역락 2015

      29 유영기, "≪金匱要略≫ ‘者’ 고찰" 중국인문학회 (52) : 23-34, 2012

      30 서민욱, "‘者’字의 부호구결에 대하여" 구결학회 7 : 167-197, 2001

      31 Haiman, J., "Conditions are topics" 54 : 564-589, 1978

      32 남권희, "13세기 高麗 釋讀口訣本 『慈悲道場懺法』 卷4 殘片의 구결 소개" 국어사학회 (22) : 199-250, 2016

      33 문현수, "/ㄱ/ 약화 표기를 통해 살펴본 구결자 ‘’의 원자(原字) 및 음가(音價) 연구" 민족문화연구원 (81) : 107-135,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5 1.103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