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참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선효, "의사관형구조 ‘에의’의 형성 과정과 요인" 국어학회 (55) : 105-125, 2009
2 이강민, "아스톤本 '交隣須知'의 日本語" 韓國日本學會 41 : 1998
3 백두현, "십구사략언해연구" 역락출판사 2003
4 채완, "명사화소 ‘-기’에 대하여" 8 : 95-107, 1979
5 홍윤표, "명사화소 ‘-기’. in: 소곡 남풍현선행 회갑기념논총 국어사와 차자표기" 태학사 637-646, 1995
6 편무진, "메이지14년도판 부산도서관소장 교린수지" 홍문각 1999
7 편무진, "대마역사민속자료관소장 교린수지" 홍문각 2000
8 김선효, "근대국어 이후의 조사 ‘의’의 격 기능과 조사 결합형 변화" 2010
9 송민, "근대국어 음운사와 ‘가나’ 표기 자료. in: 국어사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태학사 385-404, 2006
10 남풍현, "국어 처격조사의 발달. in: 이숭녕선생 고희기념 국어국문학논총" 탑출판사 1977
1 김선효, "의사관형구조 ‘에의’의 형성 과정과 요인" 국어학회 (55) : 105-125, 2009
2 이강민, "아스톤本 '交隣須知'의 日本語" 韓國日本學會 41 : 1998
3 백두현, "십구사략언해연구" 역락출판사 2003
4 채완, "명사화소 ‘-기’에 대하여" 8 : 95-107, 1979
5 홍윤표, "명사화소 ‘-기’. in: 소곡 남풍현선행 회갑기념논총 국어사와 차자표기" 태학사 637-646, 1995
6 편무진, "메이지14년도판 부산도서관소장 교린수지" 홍문각 1999
7 편무진, "대마역사민속자료관소장 교린수지" 홍문각 2000
8 김선효, "근대국어 이후의 조사 ‘의’의 격 기능과 조사 결합형 변화" 2010
9 송민, "근대국어 음운사와 ‘가나’ 표기 자료. in: 국어사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태학사 385-404, 2006
10 남풍현, "국어 처격조사의 발달. in: 이숭녕선생 고희기념 국어국문학논총" 탑출판사 1977
11 채영희, "교린수지의 어휘와 용례 연구" 국제비교한국학회 7 : 163-182, 2000
12 최창완, "교린수지와 경어"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4
13 김선효, "관형격 조사구에서의 助詞 結合과 變遷"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7 (37): 105-128, 2009
14 황선엽, "고대국의 처격 조사" 한말연구학회 18 (18): 307-330, 2006
15 홍윤표, "近代國語硏究(Ⅰ)" 태학사 1994
16 편무진, "諸本對照 交隣須知" 제이앤씨 2005
17 후쿠시마 구니미치, "解題 Ⅰ. in: 明治14年版交隣須知 : 本文及び総索引" 笠間書院 1990
18 누사하라 다다시, "校訂交隣須知 の新刊" 15 : 1904
19 사이토 아케미, "明治時期 日本의 韓語學習書 硏究" 제이앤씨 2009
20 사이토 아케미(斉藤明美), "交隣須知의 系譜와 言語" 제이앤씨 2004
21 후쿠시마 구니미치, "交隣須知の增補本について" 57 : 1968
22 오구라 신페이, "交隣須知 に就いて" (13) : 1936
23 기시다 후미타카, "アストン舊藏 の '交隣須知' 關係資料について" 167 : 1998
24 김문기, "『교린수지(交隣須知)』의 어휘와 표현 연구" 우리말학회 24 (24): 115-140, 2009
25 안주호, "‘-기’형 연결어미 ‘-기에, -길, -기로’의 특성과 문법화 과정-20세기 초기 국어를 중심으로" 24 : 187-211, 1999
26 편무진, "Aston文庫所藏 交隣須知" 홍문각 2005
27 오츠카 타다쿠라, "'교린수지'에 나타난 한국어 연구" 서울대학교 2003
28 후쿠시마 구니미치, "'交隣須知'の初刊本" 24 : 1983
예향(禮鄕)의 시민이 된다는 것 - 『혼불』 읽기의 한 방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6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9-05-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개신어문연구회 -> 개신어문학회영문명 : Gaesin Language And Literature Society -> Gaesin Language And Literature Research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