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만주지역 유찬희의 민족운동 = Yoo Chan-hee’s racial movement in Manchur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83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찬희는 1900년에서부터 1920년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이 일본제국주의에 대항하여 추진했던 민족운동의 다양한 모습이 나타나는 인물이다. 그는 1883년 황해도 금천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

      유찬희는 1900년에서부터 1920년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이 일본제국주의에 대항하여 추진했던 민족운동의 다양한 모습이 나타나는 인물이다. 그는 1883년 황해도 금천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오경을 배웠고 17살이 되는 해에는 서울 배재학당에 입학하여 신사상을 접한다. 성리학을 바탕으로 신사상을 수용한 유찬희는 유연한 태도를 견지할 수 있었고 초창기에는 의병활동에 투신한다.
      하지만 의병투쟁은 일제의 토벌작전으로 인해 한계에 부딪히고 만족할만한 성과를 얻지 못하자 유찬희는 서북학회에 가입해 애국계몽운동을 전개한다. 비록 짧은 기간이지만 유찬희는 서북학회를 통해 이동휘를 비롯한 기독교민족지도자와 만날 수 있었다. 그들을 통해 유찬희는 그의 민족운동 기저를 형성하는 기독교민족주의를 수용할 수 있었고 강원도 이천군 교회운영에서 나아가 가솔들을 이끌고 북간도 국자가로 이주한다.
      1918년부터 유찬희는 대표적인 북간도 한인지도자로 부상한다. 특히 그는 무악흥업회사를 경영하며 실업가로서 경제적인 성공을 거둔다. 유찬희는 안정적인 자금력을 통해 파리강화회담 대표파견 기부금 모연, 민족학교 설립 자금 보관 등에서 주도적인 모습을 보인다. 이로써 유찬희는 한인사회에서 실무능력을 인정받을 수 있었고 여러 민족단체의 재무부문에서 비중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다.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대한국민의회와 한인상무총회 활동 이후 유찬희는 북간도지역 민족운동단체 대한국민회에서 총기구입위원으로 활동한다. 이어 참모장으로 영전된 그는 총기뿐 아니라 군량, 부대이동 등 구춘선, 홍범도, 안무 등과 함께 독립군의 제반 업무를 살핀다.
      봉오동전투 이후 유찬희는 액목현에 은거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와 만주지역 독립군의 동향을 대한국민회에 보고하고 김일을 비롯한 의기청년들과 교류하며 일본군의 움직임을 내사한다. 하지만 경신참변과 자유시참변으로 인해 대한국민회가 추진하던 무장투쟁이 어려워지자 유찬희는 공산주의를 수용한다.
      하지만 그가 공산주의자로 완전히 돌아선 것은 아니라 판단된다. 오히려 그는 고려공산당 참사로 활동하지만 기존의 목회활동에 더 치중했고 남감리교 선교단의 일원이 되어 활약한다. 그렇기 때문에 유찬희의 고려공산당 가입은 경신참변과 자유시참변 이후 무장투쟁이 어려워진 현실 속에서 실천적 독립운동의 한 방략으로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유찬희는 1926년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에서 3ㆍ1운동 제7주기기념행사를 추진하여 1,500여 명의 재러한인들에게 항일사상을 일깨운다.
      의병투쟁, 애국계몽활동, 기독교적 민족주의에 입각한 교육활동, 대한국민회를 통한 무장투쟁, 고려공산당 활동, 동성노농공사에서의 농민운동까지 유찬희는 시기와 상황에 맞춰 독립운동의 방략을 바꿔가며 끊임없이 민족운동을 전개했다. 또한 자신의 실업가적인 특질을 토대로 총무, 재무 등 민족운동단체의 실질적인 직위에서 활동하였다. 그렇기에 유찬희의 민족운동과 향배를 연구하는 것은 구한말에서부터 1920년대까지 국내와 북간도, 러시아일대에서 시기적으로 변화하는 독립운동의 흐름을 추적해볼 수 있는 하나의 유형인 동시에 실업가적 특질을 갖는 민족운동가에 대한 고찰이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Yoo Chan-hee is a nationalist activist born in Geumcheon, Hwanghae Province in 1883. His ideological foundation was rooted in neo- Confucianism education of his childhood school seodang and modern education received in Seoul’s PaichaiHakdang. In par...

      Yoo Chan-hee is a nationalist activist born in Geumcheon, Hwanghae Province in 1883. His ideological foundation was rooted in neo- Confucianism education of his childhood school seodang and modern education received in Seoul’s PaichaiHakdang. In particular, Yoo Chan-hee embraced Christianity at the Paichai Hakdang, which served as bedrock of his national movement.
      In 1907, Yoo Chan-hee left the Paichai Hakdang to join independent patriot Cha Dosun’s righteous army. Yoo physically fought against the Japanese military police in Goksan by carrying out arson attacks with his cousin Yoo Myung-hee. Subsequently, Yoo Chan-hee joined the North-West Society to engage in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Yoo Chan-hee settled in Yanji, China and established the Taekwang School, which means light of the national Korean flag Taegeukgi. As a principal, he supervised school operations and sought to raise awareness of national consciousness by educating the Koreans living in Yanji.  In addition to educational movement, Yoo Chan-hee actively promoted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autonomy group Ganminhoe in the North Gando region, establishing under alias Doseong. As the leading Korean social organization in North Gando, Ganminhoe conducted census research and established private schoolfor education.
      Yoo Chan-hee served as the secretary of the Ganminhoe and orchestrated major operations, influencing both the Chinese and Korean societies. He formed a large-scale mutual financing association by rallying enlightenment activist Jeong Jae-myung and other key figures of Ganminhoe. The financing association was operated by issuing lottery tickets, and its profits were used to operate national education schools. In addition, Yoo Chan-hee expanded informal youth gathering to conduct practical operations of Ganminhoe.
      In 1916, Yoo Chan-hee achieved great economic success through the Muhak Industries. As Yoo Chan-hee became one of the prominent store owners in Yanji, he assumed substantive national movements through considerable capital. In 1919, the first declaration of independence, March 1st SamIl movement, took place in Longjing Village, Machuria. Yoo Chan-hee made speeches to promote national consciousness, alongside Christian national leaders in the North Gando region, such as Choi Il, Kim Young-hak. Yoo’s son Yoo Ki-seok joined the Chungreoldan to print national flag Taegeuki and flyers for independent protests.
      After the March 13th independence movement, Yoo Chan-hee moved to Vladivostok and subsequently joined the Korean General Assembly Sangmuchonghoe and the Korean National Council Daehankukminhoe. In particular at the General Assembly, he served as the vice-chairman, which indicates that the Korean-Russian community recognized Yoo’s financial competency. Upon returning to Gando, Yoo Chan-hee joined the Korean National Council and became a committee member in charge of purchasing firearm. The Korean National Council represented the North Gando province and was a national movement group that supported independence war. As Yoo was a firearms purchasing committee member, he was responsible for arming the troop that was under the auspice of the Council.  Furthermore, Yoo Chan-hee assumed the chief of staff role, serving alongside Hong Beom-do, ChoiJin-dong to lead the army and victory of Bong-o-dong.
      After the battles of Bong-o-dong and the invasion of Cheongsan-ri, Japanese imperialists sent large-scale troops to Gando to retaliate. Yoo Chan-hee, who became the head of financial affairs of the National Council, received An Jung-geun who was dispatched from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thereby serving as a communication link between the Council and the government. Additionally, Yoo contacted Meng Boo-duk who was attacking the independent army to allow for a month of troop movement, minimizing the damage to the army.
      In December 1921, the leaders of the Korean National Council, such as Yoo Chan-hee and Kim Jung-ye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방, "李東輝의 국권회복운동(1906~1913)" 한국근현대사학회 6 : 1997

      2 尹炳奭, "龍淵 金鼎奎의 생애와 「野史」"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5 : 1991

      3 김주용, "홍범도의 항일무장투쟁과 역사적 의의" 한국학연구소 (32) : 467-490, 2014

      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신편)48" 국사편찬위원회 2001

      5 徐紘一, "한국기독교와 민족운동" 종로서적 1986

      6 徐紘一, "일제하 북간도 한인들의 민족주의 교육운동 연구: 1906-1919" 仁荷歷史學會 3 : 1995

      7 반병률, "이동휘와 1910년대 해외민족운동 -滿洲ㆍ露領沿海州 地域에서의 활동(1913~1918)" 33 : 1995

      8 "선봉"

      9 독립기념관, "북간도지역 한인민족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10 최봉룡, "북간도 한인자치운동의 효시: 간민회의 시말과 그 성격" 한국민족학회 7 : 2009

      1 김방, "李東輝의 국권회복운동(1906~1913)" 한국근현대사학회 6 : 1997

      2 尹炳奭, "龍淵 金鼎奎의 생애와 「野史」"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5 : 1991

      3 김주용, "홍범도의 항일무장투쟁과 역사적 의의" 한국학연구소 (32) : 467-490, 2014

      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신편)48" 국사편찬위원회 2001

      5 徐紘一, "한국기독교와 민족운동" 종로서적 1986

      6 徐紘一, "일제하 북간도 한인들의 민족주의 교육운동 연구: 1906-1919" 仁荷歷史學會 3 : 1995

      7 반병률, "이동휘와 1910년대 해외민족운동 -滿洲ㆍ露領沿海州 地域에서의 활동(1913~1918)" 33 : 1995

      8 "선봉"

      9 독립기념관, "북간도지역 한인민족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10 최봉룡, "북간도 한인자치운동의 효시: 간민회의 시말과 그 성격" 한국민족학회 7 : 2009

      11 박걸순, "북간도 간민회의 해산과 추이" 중앙사학연구소 (30) : 205-250, 2009

      12 朴昌昱, "봉오동전투와 청산리대첩 연구 -庚申年反討伐戰" 111 : 2000

      13 배정현, "만주지역 대한국민회 회장 具春先 연구" 한국민족운동사학회 (87) : 83-118, 2016

      14 장석흥, "만주 독립군의 형성과 홍범도의 대한독립군" 한국근현대사학회 (66) : 41-64, 2013

      15 박환, "러시아지역 한인언론과 민족운동" 경인문화사 2008

      16 윤상원, "러시아동포사회에서의 홍범도 장군의 역할" 여천홍범도장군기념사업회 2016

      17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9"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83

      18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3" 1971

      19 오천석, "대한국민회를 논함" 효원사학회 44 : 385-410, 2013

      20 김형목, "김영학, 북간도 항일운동을 견인하다" (6) : 2015

      21 "그리스도회보"

      22 류방란, "개화기 배재학당의 교육과정 운영" 한국교육사학회 8 : 1998

      23 황해도지편찬위원회, "黃海道志" 황해도지편찬위원회 1981

      24 李松姬, "韓末 西北學會의 愛國啓蒙運動(下)" 일지사 9 : 1983

      25 李松姬, "韓末 西北學會의 愛國啓蒙運動 (上)" 일지사 9 : 1983

      26 無政府主義運動史編纂委員會, "韓國아나키즘運動史" 螢雪出版社 1978

      27 국사편찬위원회, "韓國獨立運動史三" 국사편찬위원회 1967

      28 홍상표, "間島獨立運動小史" 평택 한광중ㆍ고등학교 1966

      29 서굉일, "間島史新論(上)" 우리들의 편지사 1993

      30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金鼎奎日記 中" 1994

      31 潘炳律, "金立과 항일민족운동" 한국근현대사학회 (32) : 63-102, 2005

      32 금천군지편찬위원회, "金川郡志" 금천군편찬위원회 1980

      33 "西北學會 月報 제12호 1909년 5월 1일자"

      34 "皇城新聞"

      35 "獨立新聞"

      36 박환, "滿洲韓人民族運動史硏究" 일조각 1991

      37 "朝鮮騷擾事件關係書類 (7) 朝憲機 180호"

      38 金正明, "朝鮮獨立運動Ⅴ" 原書房 1968

      39 徐紘一, "日帝下 北間道 基督敎人들의 民族敎會 形成에 關한 硏究, 1906-1921" 국사편찬위원회 84 : 1999

      40 "新韓民報"

      41 "延吉縣延吉府文集, 28"

      42 반병률, "大韓國民議會의 성립과 조직" 일지사 46 : 1987

      43 "吉林東南路觀察使署檔案資料: 1913年 11月 20日 墾民會 總會長 金躍淵 建白案 2"

      44 송우혜, "北間島 大韓國民會의 組織形態에 관한 硏究" 1 : 1986

      45 박걸순, "北間島 墾民會 선행조직의 추이와 성격" 한국근현대사학회 (51) : 231-261, 2009

      46 한국일보사, "再發掘 한국獨立運動史 1" 1987

      47 柳基松, "全州柳氏小考" 全州柳氏墨溪公派宗親會 2012

      48 유기석, "三十年放浪記" 국가보훈처 2010

      49 심여추, "『20세기 중국조선족력사자료집: 연변조사실록 나의 회고" 중국조선민족문화예술출판사 2002

      50 "「不逞團關係雜件」. 西北學會 月報 제11호 1909년 4월 1일자"

      51 박환, "3ㆍ1운동 직후 만주지역 독립군과 무기" 전쟁기념관 7 : 2015

      52 황민호, "1920년대 재만 한인문제에 대한 한인 기독교계의 대응과 그 성격"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 : 7-208, 2003

      53 최기영, "1920∼30년대 유기석의 재중독립운동과 아나키즘" 한국근현대사학회 (55) : 127-160, 2010

      54 김주용, "1910년대 북간도지역 비밀결사의 조직과 활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46) : 55-88,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6 1.61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