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다문화교육에서의 “모델 마이너리티” 경향 고찰 = A Study on the Phenomenon of “Model Minority” in South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444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dea of multiculturalism (‘damunhwa’) had been invented to support ‘people in damunhwa’ in the light of policies for racial minorities in South Korea. Yet over the past ten years, these people have been considered as a specific group of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with negative connotation, and separated from the society and in education. As a result, the labelling of ‘damunhwa’ has functioned in relation to racial issues has had racial connotations in South Korea. This paper asserts that the concept of “model minority” used in the U.S. is compared to the labelling of ‘damunhwa’ in South Korean context. Focusing on “model minority”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erefore, this paper discusses the assumptions of representation of ‘damunhwa’ and its racial meaning. In doing so, it analyzes the influences and limits of the racial conceptual framework that distinguishes certain minority groups among diverse minority peoples in both the U.S. and South Korea. Finally, this paper addresses what implications the introdu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s in the society and education of South Korea.
      번역하기

      The idea of multiculturalism (‘damunhwa’) had been invented to support ‘people in damunhwa’ in the light of policies for racial minorities in South Korea. Yet over the past ten years, these people have been considered as a specific group of im...

      The idea of multiculturalism (‘damunhwa’) had been invented to support ‘people in damunhwa’ in the light of policies for racial minorities in South Korea. Yet over the past ten years, these people have been considered as a specific group of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with negative connotation, and separated from the society and in education. As a result, the labelling of ‘damunhwa’ has functioned in relation to racial issues has had racial connotations in South Korea. This paper asserts that the concept of “model minority” used in the U.S. is compared to the labelling of ‘damunhwa’ in South Korean context. Focusing on “model minority”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erefore, this paper discusses the assumptions of representation of ‘damunhwa’ and its racial meaning. In doing so, it analyzes the influences and limits of the racial conceptual framework that distinguishes certain minority groups among diverse minority peoples in both the U.S. and South Korea. Finally, this paper addresses what implications the introdu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s in the society and education of South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상복, "황색 피부, 백색 가면: 한국의 내면화된 인종주의의 역사적 고찰과 다문화주의" 인문과학연구소 (33) : 525-556, 2012

      2 설동훈, "혼혈인의 사회학: 한국인의 위계적 민족성" 인문과학연구소 (52) : 127-164, 2007

      3 빈부격차, "혼혈인 및 이주자의 사회통합지원방안" 빈부격차・차별시정위원회 2006

      4 MBC, "혼혈아 여전한 편견"

      5 최수경, "한국인의 미국 이민 100년사: 평가와 전망" 사회과학연구소 22 (22): 151-168, 2011

      6 박권일, "한국의 온라인 극단주의" 18 : 32-38, 2015

      7 장태한,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한울아카데미 177-197, 2004

      8 김행열, "한국의 다문화정책 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동북아학회 18 (18): 115-136, 2013

      9 김영명, "한국의 다문화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5 (35): 141-174, 2013

      10 오경석,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 한울 아카데미 2007

      1 하상복, "황색 피부, 백색 가면: 한국의 내면화된 인종주의의 역사적 고찰과 다문화주의" 인문과학연구소 (33) : 525-556, 2012

      2 설동훈, "혼혈인의 사회학: 한국인의 위계적 민족성" 인문과학연구소 (52) : 127-164, 2007

      3 빈부격차, "혼혈인 및 이주자의 사회통합지원방안" 빈부격차・차별시정위원회 2006

      4 MBC, "혼혈아 여전한 편견"

      5 최수경, "한국인의 미국 이민 100년사: 평가와 전망" 사회과학연구소 22 (22): 151-168, 2011

      6 박권일, "한국의 온라인 극단주의" 18 : 32-38, 2015

      7 장태한,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한울아카데미 177-197, 2004

      8 김행열, "한국의 다문화정책 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동북아학회 18 (18): 115-136, 2013

      9 김영명, "한국의 다문화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5 (35): 141-174, 2013

      10 오경석,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 한울 아카데미 2007

      11 강진구, "한국사회의 반다문화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7) : 7-37, 2014

      12 강진구, "한국사회의 반다문화 담론 고찰 -­ 인터넷 공간을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32) : 5-34, 2012

      13 오욱환, "한국사회의 교육열: 기원과 심화" 교육과학사 2000

      14 오욱환, "한국계 미국인에게 교육출세론의 의미: 결사적 동기로서 역설적 신화" 한국교육학회 49 (49): 1-23, 2011

      15 임양준, "한국거주 이주노동자에 대한 신문의 보도 경향과 인식연구 : 조선일보, 한겨례, 경인일보, 부산일보를 중심으로 한국거주 이주노동자에 대한 신문의 보도 경향과 인식연구: 조선일보, 한겨례, 경인일보, 부산일보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2 (12): 419-456, 2012

      16 장한업, "한국 이민자 자녀와 관련된 용어 사용상의 문제점-‘다문화가정’, ‘다문화교육’-" 이중언어학회 (46) : 347-366, 2011

      17 이샘물, "한국 언론은 다문화 이주민을 어떻게 보나" 127 (127): 67-73, 2012

      18 전영평, "한국 소수자 정책의 지형" 한국정부학회 21 (21): 839-861, 2009

      19 김혜련, "한국 사회통합정책에 대한 이주민의 인식과 수요조사 연구:재한 중국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다문화평화연구소 8 (8): 1-23, 2014

      20 양영자, "한국 다문화교육의 새 지평: 역사적 소수자의 미래지향적 재현"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179-205, 2015

      21 양영자, "한국 다문화교육의 개념 정립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22 MBC, "하인즈 워드, 혼혈이 축복"

      23 MBC, "하인즈 워드, 한국인 오기로"

      24 SBS, "하인즈 워드 관련 기사에는 혼혈아, 설 자리 없나? 아직도 이방인"

      25 SBS, "하인즈 어머니, 아들아 축하한다"

      26 김태수, "프랑스의 “종족통계(ethnic statistics)” 논쟁과 다문화주의" 한국세계지역학회 33 (33): 177-205, 2015

      27 손애리, "탈북자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 연구: 국가정체성과 다문화수용성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원 19 (19): 5-33, 2012

      28 이찬행, "칼라 블라인드 -1960년대 중반 이후 미국의 자유주의적 인종주의에 관한 연구-" 한국서양사학회 (120) : 149-181, 2014

      29 이해응, "중장년 조선족 여성 이주노동자의 몸 아픔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회 30 (30): 213-252, 2014

      30 홍지아, "젠더적 시각에서 바라본 한국 언론의 다문화 담론 : 경향, 동아, 조선, 한겨레 기사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0 (10): 644-678, 2010

      31 조현미, "재미한인의 교육성취도를 통해서 본 모델 마이너리티개념의 한계" 27 : 1-15, 2008

      32 한국일보, "재미동포 하인즈 워드"

      33 김승환, "이주민에 대한 언론 보도가 수용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6) : 39-55, 2013

      34 MBC, "이제는 다인종 시대"

      35 장원순, "우리안의 차별과 배제, 일상적 삶에서의 다문화교육 접근법"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3 (13): 27-46, 2006

      36 경기도외국인인권지원센터, "외국인근로자 가족의 지역사회통합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경기도외국인인권지원센터・대한변호사협회 인권위원회 2013

      37 이수영, "올리버 스톤의 <하늘과 땅>에 나타난 미국의 보수담론: 모범소수민족 담화와 신보수주의적 관점에서" 문학과영상학회 10 (10): 379-402, 2009

      38 이선주, "아시아계 이민의 확산과 미국 주도문화세력의 경계짓기 고찰" 새한영어영문학회 50 (50): 59-83, 2008

      39 최협, "아시아계 미국이민은 성공한 소수민족인가?" 국제학연구소 11 (11): 127-143, 2002

      40 김정선, "시민권 없는 복지정책으로서 ‘한국식’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비판사회학회 (92) : 205-246, 2011

      41 이숙희, "스파이와 모델 마이너리티를 넘어서: 『네이티브 스피커』와 『제스처 인생』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적 주체의 가능성" 새한영어영문학회 51 (51): 133-156, 2009

      42 전영평, "소수자의 정체성, 유형, 그리고 소수자 정책 연구 관점" 정부학연구소 13 (13): 107-131, 2007

      43 김휘택, "반다문화주의, 정체성, 민족"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5) : 305-333, 2013

      44 이종열, "미디어와 정부예산을 통한 다문화 사회 이슈 분석" 한국자치행정학회 27 (27): 39-63, 2013

      45 김안나, "미국의 아시아계 소수 민족들의 교육 및 사회 경제적 성취에 대한 민족 경제 공동체론(Ethnic Enclave Economic Approach)적 해석" 7 (7): 57-72, 1997

      46 이제봉, "모범소수민족(Model Minority)이라는 신화 -아시안 아메리칸의 학업 경제적성취에 대한 분석" 7 (7): 19-33, 1997

      47 연합뉴스, "다문화정책, 정착 중심서 사회진출・자녀지원으로 이동"

      48 신동준, "다문화사회 범죄문제의 사회적 맥락: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차별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3 (23): 183-215, 2012

      49 교육인적자원부,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대책" 교육인적자원부 2006

      50 교육부, "다문화 학생 교육지원 계획" 교육부 2015

      51 주재원, "다문화 담론 이면의 타자와 미디어 윤리:타자에 대한 윤리철학적 논의들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10 (10): 443-475, 2014

      52 주재원, "다문화 뉴스 제작 관행과 게이트키핑의 문화정치학" 한국콘텐츠학회 14 (14): 472-485, 2014

      53 이종일, "다문화 교육을 위한 제도화된 인종주의 고찰"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9 (19): 33-51, 2012

      54 권영호, "다문화 가족지원법제의 개선에 관한 연구" 법과정책연구원 20 (20): 83-108, 2014

      55 권순정, "다문화 가정 출신 학생들에 대한 교사들의 고정관념 탐색" 5 (5): 5-37, 2010

      56 정연구, "뉴스 미디어의 결혼이주여성 보도가 수용자의 부정적 고정관념과 다문화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55 (55): 405-427, 2011

      57 조정인, "누가 왜 여성결혼이민자들과 생산기능직 근로자들의 유입 증가를 반대하는가: 문화적 위협변인과 경제적 위협변인의 영향력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5 (45): 281-305, 2011

      58 박미숙,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지원 요구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소 24 (24): 269-302, 2014

      59 양영자, "‘다문화가정 학생’ 재유형화와 교육 접근법"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323-352, 2012

      60 유은주, "‘다문화’정책의 프레임 전환을 위한 연구: 정착기 결혼이주여성의 이주경험에 근거하여" 한국가족학회 25 (25): 150-179, 2013

      61 구본규, "‘다문화’는 어떻게 이주민 가족을 비하하는 말이 되었나?: ‘다문화가족’ 만들기와 이주민의 범주화"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5-34, 2015

      62 이민경, "‘다문화’관련 정책용어의 한계와 대안모색"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여성가족부 2010

      63 Chang, Benji, "You’re Asian, How Could You Fail Math? -Unmasking the myth of the Model Minority" 22 (22): 15-19, 2007

      64 Chou, Rosalind S., "The Myth of the Model Minority: Asian Americans Facing Racism" Paradigm 2010

      65 Lai, Lei, "The Model Minority Thesis and Workplace Discrimination of Asian Americans" 6 (6): 93-96, 2013

      66 Wu, Jaw-Jeong, "The Model Minority Myth for Noncitizen Immigration Offenses and Sentencing Outcomes" 2014

      67 Kim, Chang-Hwan, "The Earnings of Less Educated Asian American Men: Educational Selectivity and the Model Minority Image" 61 (61): 283-304, 2014

      68 허찬행, "TV매체가 재현한 다문화사회와 사회통합의 현실 : 다문화 가정 구성원과 전문가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5 (15): 325-363, 2015

      69 이소현, "TV 속의 다문화가정 2세: 이산적 정체성의 포섭과 배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9 (29): 5-36, 2014

      70 이희은, "TV 광고에 나타난 전략적 다문화주의와 인종주의" 한국언론정보학회 39 (39): 2007

      71 Petersen, William, "Success Story: Japanese American Style"

      72 Sakamoto, Arthur, "Socioeconomic Attainments of Asian Americans" 35 : 255-276, 2009

      73 Cheryan, S., "Routledge Companion to Race & Ethnicity" Routledge 173-176, 2011

      74 Macartney, Suzanne, "Poverty Rates for Selected Detailed Race and Hispanic Groups by State and Place 2007–2011" U. S. Census Bureau 2013

      75 김순양, "Policy Responses to the Educational Exclusion of the Migrant Women in South Korea" 한국지방정부학회 18 (18): 401-426, 2014

      76 Guofang Li, "Other People’s Success: Impact of the “Model Minority” Myth on Underachieving Asian Students in North America" 한국교육개발원 2 (2): 69-86, 2005

      77 Dewey, Joseph. P, "Model Minority. Salem Press Encyclopedia. Available from: Research Starters, EBSCOhost"

      78 Endo, George T., "Japanese Americans, Pluralism, and the Model Minority Myth" 20 (20): 45-, 1981

      79 U. S. Census Bureau, "Historical Income Tables: People"

      80 Min, Pyoug-Gap, "Handbook of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Jossey-Bass 332-348, 2004

      81 Shim, Doo-Bo, "From Yellow Peril through Model Minority to Renewed Yellow Peril" 22 (22): 385-409, 1998

      82 Bradbury, Alice, "From Model Minorities to Disposable Models: The De-Legitimisation of Educational Success through Discourses of Authenticity" 34 (34): 548-561, 2013

      83 Suzuki, Bob. H, "Education and the Socialization of Asian Americans: A Revisionist Analysis of the "Model Minority" Thesis" 4 (4): 23-51, 1977

      84 Museus, Samuel D., "Deconstructing the Model Minority Myth and How It Contributes to the Invisible Minority Reality in Higher Education Research" 142 : 5-15, 2009

      85 Ng, Jennifer C., "Contesting the Model Minority and Perpetual Foreigner Stereotypes" 31 : 95-130, 2007

      86 Ngo, Bic, "Complicating the Image of Model Minority Success" 77 (77): 415-453, 2007

      87 김선영, "Behind the Model Minority Image: The Struggles of East Asian American Students in a Multi-Cultural Environment" 교육연구소 20 (20): 135-171, 2014

      88 Chang, Mitchell J., "Battle Hymn of the Model Minority Myth" 37 (37): 137-143, 2011

      89 Kim, Bok-Lim C., "Asian Americans-No Model Minority" 18 (18): 44-53, 1973

      90 Zhang, Qin, "Asian Americans beyond the Model Minority Stereotype: The Nerdy and the Left out" 3 (3): 20-37, 2010

      91 Suzuki, Bob. H., "Asian Americans as the ‘Model Minority’ Outdoing Whites? Or Media Hype?" 21 (21): 13-19, 1989

      92 Yoo, Hyung-Chol, "A Preliminary Report on a New Measure: Internalization of the Model Minority Myth Measure(IM-4) and Its Psychological Correlates among Asian American College Students" 57 (57): 114-127, 2010

      93 행정자치부, "2015년도 외국인주민 현황" 행정자치부 2015

      94 최순옥, "2013년 탈북학생 지도교원 심화연수 자료집" 한국교육개발원 2013

      95 이민경, "'다문화 아동·청소년' 정책 용어 사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대안모색: 정책용어와 방향성에 대한 외국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5 (35): 1-37,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6-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북한학연구소 -> 다문화평화연구소
      영문명 : Institute of North Koreanology -> Multiculture & Peace Institut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5 1.415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