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채문, "한인 디아스포라의 생활사에 대한 국가별 비교 연구: 중국・일본・독립국가연합을 중심으로" 다문화평화연구소 8 (8): 5-41, 2014
2 선봉규,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문화변용 연구 - 중국조선족과 재일코리안을 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소 (56) : 329-357, 2014
3 강주원, "한국어를 공유하는 네 집단의 국민·민족 정체성의 지형: 중·조 국경 도시 단동의 북한사람, 북한화교, 조선족, 한국사람" 평화문제연구소 25 (25): 397-443, 2013
4 리화, "초국가적 자녀 양육으로 보는 조선족 가족의 문화적 지속성과 변용" 중앙사학연구소 (39) : 77-109, 2014
5 강재식, "중국조선족 사회의 변화와 민족정체성에 관한 연구" 7 : 192-212, 2000
6 장윤수, "중국조선족 문화생활과 민족문화" 한국동북아학회 11 (11): 97-118, 2006
7 박경용, "중국 칭다오(靑島) 조선족의 정착 애로와 딜레마 - 자영업자들에 대한 구술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3) : 211-262, 2015
8 이영민, "중국 조선족의 트랜스이주와 로컬리티의 변화 연구: 서울 자양동 중국음식문화거리를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 15 (15): 103-116, 2012
9 강수옥, "중국 조선족의 역사적 형성과 정체성" 세계한상문화연구단 7 (7): 89-101, 2013
10 박경용, "중국 조선족 한 여성 구술자의 삶과 가족사를 통해 본 디아스포라 애환- 생애 내러티브(Life Narrative)를 중심으로 -" 다문화평화연구소 7 (7): 68-106, 2013
1 이채문, "한인 디아스포라의 생활사에 대한 국가별 비교 연구: 중국・일본・독립국가연합을 중심으로" 다문화평화연구소 8 (8): 5-41, 2014
2 선봉규,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문화변용 연구 - 중국조선족과 재일코리안을 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소 (56) : 329-357, 2014
3 강주원, "한국어를 공유하는 네 집단의 국민·민족 정체성의 지형: 중·조 국경 도시 단동의 북한사람, 북한화교, 조선족, 한국사람" 평화문제연구소 25 (25): 397-443, 2013
4 리화, "초국가적 자녀 양육으로 보는 조선족 가족의 문화적 지속성과 변용" 중앙사학연구소 (39) : 77-109, 2014
5 강재식, "중국조선족 사회의 변화와 민족정체성에 관한 연구" 7 : 192-212, 2000
6 장윤수, "중국조선족 문화생활과 민족문화" 한국동북아학회 11 (11): 97-118, 2006
7 박경용, "중국 칭다오(靑島) 조선족의 정착 애로와 딜레마 - 자영업자들에 대한 구술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3) : 211-262, 2015
8 이영민, "중국 조선족의 트랜스이주와 로컬리티의 변화 연구: 서울 자양동 중국음식문화거리를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 15 (15): 103-116, 2012
9 강수옥, "중국 조선족의 역사적 형성과 정체성" 세계한상문화연구단 7 (7): 89-101, 2013
10 박경용, "중국 조선족 한 여성 구술자의 삶과 가족사를 통해 본 디아스포라 애환- 생애 내러티브(Life Narrative)를 중심으로 -" 다문화평화연구소 7 (7): 68-106, 2013
11 김춘광, "조선족 체육인의 생애사-윤학주의 생애를 중심으로" 한국체육사학회 19 (19): 109-127, 2014
12 허명철, "조선족 정체성 담론" 중앙사학연구소 (36) : 451-470, 2012
13 박경용, "조선족 디아스포라 구술생애사 연구 현황과 방법" 국제지역연구원 21 (21): 71-108, 2014
14 방미화, "재한 조선족의 실천전략별 귀속의식과 정체성" 한국사회사학회 (98) : 227-257, 2013
15 이현철, "재일한인 디아스포라의 삶의 공간으로서 교회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가와사키시(川崎市) 교회를 중심으로" 다문화평화연구소 7 (7): 228-253, 2013
16 지충남, "재일한인 디아스포라 이주와 집거지 형성 비교 연구 -올드커머와 뉴커머를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 20 (20): 165-202, 2012
17 임영언, "재일한인 글로벌네트워크 구축과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일본문화학회 (38) : 339-358, 2008
18 조현미, "재일동포의 집주지역 형성과 민족 정체성의 변화: 요세바고도부키를 중심으로" 35 (35): 141-157, 2000
19 姜在彦, "재일 한국・조선인 - 역사와 전망" 소화 1999
20 이현철, "재외한인 디아스포라의 삶과 딜레마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중국 조선족의 코리안 드림을 중심으로" 다문화평화연구소 6 (6): 63-87, 2012
21 지충남, "재외국민선거에 대한 민단과 재일한인회 회원들의 인식 비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9 (29): 67-104, 2014
22 이순미, "일본으로 결혼이주한 한국인 여성들의 초국적 삶과 민족정체성의 재구성" 비판사회학회 (91) : 269-308, 2011
23 임승연, "오사카 한인타운의 장소성과 재일한인정체성의 관계적 특성 연구" 한국민족문화연구소 (5) : 87-123, 2011
24 함한희, "새로운 역사쓰기를 위한 구술사 연구방법론" 아르케 2006
25 조현미, "민족운동가 배중도의 내러티브(Narrative)를 통한 재일한인 1세대 디아스포라의 삶과 애환" 일본어문학회 (61) : 607-634, 2013
26 문정환, "디아스포라의 재이주와 정착 전략-중국 칭다오(靑島)의 전문직에 종사하는 조선족을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 23 (23): 139-166, 2015
27 강진웅, "디아스포라와 현대 연변조선족의 상상된 공동체: 종족의 사회적 구성과 재영토화" 한국사회학회 46 (46): 96-136, 2012
28 차성연, "다층적 복수 정체성으로의 전화: 도시대 중국 조선족 소설에 나타난 민족공동체의식" 11 (11): 52-58, 2012
29 김경식, "다문화사회의 이해" 신정 2012
30 선봉규(2011), "근∙현대 재일한인의 이주와 재영토화 과정에 관한 연구" 6 : 3-24, 2011
31 김현선, "국적과 재일 코리안의 정체성 : 조선·한국적 유지자의 삶과 의식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83) : 313-341, 2009
32 연합뉴스, "국내 조선족 70만: 한국정착이 대세(1)"
33 임채완, "과계민족으로서 중국조선족 민족정체성과문화변용의 상관성 연구" 한국세계지역학회 31 (31): 141-164, 2013
34 문형진, "红光村을 통해본 조선족 이주와 정착사 연구" 중국연구센터 21 : 1-25, 2014
35 우명숙, "ʻ조선족ʼ 기혼여성의 초국적 이주와 생애과정 변동: 시간성과 공간성의 교차 지점에서" 한국사회학회 47 (47): 139-169, 2013
36 Buriel, R., "The relationship of language brokering to acdemic performance, biculturalism and self-efficacy among latino adolescents" 20 : 283-297, 1998
37 Berry, J. W., "Acculturation: Theory, models, and some new finding" Westview Press 9-25, 1980
38 Buriel, R., "Acculturation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Lawrence Erbaum Associates, Inc 249-270,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