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직무스트레스와 감정표현불능 성향과의 상관성 =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and Alexithymic Trai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168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감정표현불능성향과의 상관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방법 서울과 경기도 안산지역의 2개 대학병원에 건강검진을 위해 내원한 근로자중 생산직 근...

      목적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감정표현불능성향과의 상관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방법 서울과 경기도 안산지역의 2개 대학병원에 건강검진을 위해 내원한 근로자중 생산직 근로자5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글판 Karasek 직무스트레스 설문(Korean version of the Karasek's Job Content Questionnaire JCQ)을 통해 직무스트레스를 평가하고 한글판 토론토 감정표현불능증 적도 설문(Korean Version of Toronto Alexithymia Scale TAS-20K)으로 감정표현불능 성향을 조사하였다 개별 JCQ 척도의 중앙값을 기준으로 이분하였고 직무긴장도 (Karasek 직무 긴장모델에 의해 정신적 직무요구와 직무재량도로 직무긴장도 평가 높음/중간/낮음) 직업불안정성 (높음/낮음) 직무불만족도(높음/낮음) 3가지 척도로 직무스트레스를 평가하였다 JCQ 척도와 감정표현불능 성향(total TAS score ≥52)과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보정하지 않은 비차비(crude odds ratios)와 보정비차비(adjusted
      odds ratios)를 계산하였다
      결과 보정하지 않은 비차비 계산시 직무긴장도가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crude OR 3.05 95% CI 1.35-6.87)에서 직업불안정성이 높은 집단(2.98 1.69-5.27)에서 직무불만족도가 높은 집단(2.93 1.69-5.09)에서 감정표현불능 성향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다중로지스틱회귀모형에 의한 보정비차비 계산시 직무긴장도가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adjusted
      OR 2.26 95% CI 0.93-5.44)에서 감정표현불능 성향이 크게 나타났으나 유의하지는 않았고 직업불안정성이 높은 집단(2.26 1.21-4.22)에서 직무불만족도가 높은 집단(1.99 1.06-3.74)에서 감정표현불능 성향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 직무스트레스와 감정표현불능 성향 사이에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We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and alexithymic traits in Korean workers Methods Workers(n=521) who visited two university hospitals for medical check-up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Job stress was evaluated using the Kor...

      Objectives We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and alexithymic traits in Korean workers
      Methods Workers(n=521) who visited two university hospitals for medical check-up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Job stress was evaluat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Karasek's Job Content Questionnaire(JCQ) and alexithymic traits were assess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Toronto Alexithymia Scale(TAS-20K) Crude and adjusted odds ratios(ORs) of job stress scales (job strain, job insecurity and job dissatisfaction) with alexithymic traits(total TAS score ≥ 52) were calculated
      Results High job strain compared with low strain had a high but insignificant association with alexithymic traits(adjusted OR, 2.26 95% CI, 0.93-5.44) High job insecurity(adjusted OR 2.26, 95% CI 1.21-4.22) and high job dissatisfaction (adjusted OR 1.99 95% CI 1.06-3.74) ha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alexithymic trait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job stress is associated with alexithymic traits in worker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