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덕형과 안원의 실천적 삶의 동인과 교육적 의미 = Lee Deok-hyeong(李德馨) and Yan Yuan(顔元)’ Practical Action and Educational Mea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6738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이덕형과 안원의 실천적 삶의 동인과 교육적 의미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이들의 시대상황, 생활, 교육의 측면에서 실천적 삶을 비교해 보았다. 이를 기초로 정명(正名)을 ...

      본 연구에서는 이덕형과 안원의 실천적 삶의 동인과 교육적 의미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이들의 시대상황, 생활, 교육의 측면에서 실천적 삶을 비교해 보았다. 이를 기초로 정명(正名)을 기초로 한 실천적 삶과 교육적 의미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이덕형과 안원에 대한 연구의 확산, 둘째, 실천의 교육적 가치 강조, 셋째, 정명론의 교육적 활용에 기여하게 되기를 희망한다. 이덕형은 행정가로서 자신이 배운 것을 근거로 실천하여 한반도에서 일본의 침략을 물리치고 조선의 평화를 찾는데 기여하였다. 안원은 교육과 실천적 행위를 통하여, 실천을 강조하면서 당시 사회의 문제점을 비판하며 개혁과 변화의 불씨를 후대에 남겼다. 이덕형과 안원의 삶은 실천의 드러남에서 다를 수밖에 없지만, 이들은 자신의 처지와 상황에서 실천적 사상으로 임하였다. 특히 이덕형과 안원의 사상은 공자의 가르침에 토대를 두고 있기에 각자의 위치에서 이름값을 하라는 정명론은 이들의 실천적 삶에 기초가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이덕형은 난세에 행정가의 위치에서 실천적 삶에 충실하였고, 안원은 교육가의 위치에서 실천적 삶을 중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이들의 실천의 삶은 한국과 중국에서 교육적으로 지금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정명과 실천의 가치를 온고지신하고자 하였다. 시대와 상황과 지역이 다른 곳의 인물이지만, 각자의 위치에서 맡은바 임무를 충실히 해내는 것, 그리고 이러한 행동의 토대로서 정명론은 바로 여기 오늘을 살고 있는 많은 지도층과 학생들에게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comparing Lee Deok-hyeong(李德馨, 1561-1613) and Yan Yuan(顔元, 1635-1704)who lived in the different regions, age and the way of life. The main reason to compare the two figures in this article are to remind the meanings of...

      This study is aimed at comparing Lee Deok-hyeong(李德馨, 1561-1613) and Yan Yuan(顔元, 1635-1704)who lived in the different regions, age and the way of life. The main reason to compare the two figures in this article are to remind the meanings of Zheng Ming(Rectification of Names, 正名) and practice today through comparing the two persons who have many points of the commons though apparently different. In this article, their thoughts are attempted to compare in three aspects in order to identify their strengths and ideas. In other words, historical background and practical action, a review of the educational aspects. Based on this, Living as a Praxis based on Zheng Ming is illuminated. Lee Deok-hyeong based on things he learned as administrators, properly practiced the role of administrator, a political administrator, a diplomat protecting physical aggression of Japan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contributed to finding peace in Korea. Emphasizing the practice through education and practical actions and criticizing the social problems at that time, Yan Yuan left the embers of reform and change to future generations. The Life of Lee Deok-hyeong and Yan Yuan was different. The Life of Lee Deok-hyeong and Yan Yuan looks different in surface but common in inner area. In other words, though Lee Deok-hyeong protected National Crisis as a prime minister and Yan Yuan experienced National Crisis as a educator differently, they faced the war at practical attitudes in commons from their plight and circumstances. Especially Rectification of names by Kongzi is the basis of the commons in living as a praxis of the two forerunner. Through Rectification of names by Kongzi Lee Deok-hyeong was so faithful to the practical life at the location of the administrators, and Yan Yuan could focus on the practical life at the location of the educator. In this paper, through this study, ultimately, Reviewing the Old and Learning the New(溫故知新) is pursued on the value of Zheng Ming and practice in our lives here and now. Though they lived in different places and times, they faithfully executed their duties in their respective positions on the Zheng Ming ideas of Confucius as a basis for these actions, which should be considered and treasured as practice virtue to be done by the many leaders who live right here toda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덕형과 안원의 실천적 삶 Ⅲ. 정명을 기초로 한 실천과 교육적 의미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덕형과 안원의 실천적 삶 Ⅲ. 정명을 기초로 한 실천과 교육적 의미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陸九淵集" 中華書局 395-399, 1980

      2 서병국, "한음 이덕형의 역사적 위상" (10) : 6-, 2013

      3 이병찬, "한음 이덕형의 시 연구" (9) : 73-, 2012

      4 김덕삼, "한음 이덕형의 사상적 가치와 의의" (11) : 2014

      5 김병국, "한음 이덕형의 문학 연구" (사)한국인물사연구회 (7) : 55-75, 2007

      6 김덕삼, "한음 이덕형의 교육사상 초고" (10) : 141-149, 2013

      7 권인호, "한음 이덕형의 경세(經世) 사상과 공업(功業) 연구" (10) : 19-24, 2013

      8 강태중, "한국인은 누구인가 - 한국인은 새로운 것에 개방적인가" 21세기북스 349-, 2013

      9 王茂, "청대철학 1" 신원문화사 462-, 1995

      10 "중앙일보. 2015.11.10일자"

      1 "陸九淵集" 中華書局 395-399, 1980

      2 서병국, "한음 이덕형의 역사적 위상" (10) : 6-, 2013

      3 이병찬, "한음 이덕형의 시 연구" (9) : 73-, 2012

      4 김덕삼, "한음 이덕형의 사상적 가치와 의의" (11) : 2014

      5 김병국, "한음 이덕형의 문학 연구" (사)한국인물사연구회 (7) : 55-75, 2007

      6 김덕삼, "한음 이덕형의 교육사상 초고" (10) : 141-149, 2013

      7 권인호, "한음 이덕형의 경세(經世) 사상과 공업(功業) 연구" (10) : 19-24, 2013

      8 강태중, "한국인은 누구인가 - 한국인은 새로운 것에 개방적인가" 21세기북스 349-, 2013

      9 王茂, "청대철학 1" 신원문화사 462-, 1995

      10 "중앙일보. 2015.11.10일자"

      11 任時先, "중국교육사상사" 교학연구사 273-284, 1989

      12 梁啓超, "중국 근대의 지식인" 혜안 61-, 2005

      13 카이윙 초우, "예교주의" 모노그래프 121-123, 2013

      14 황종희, "세계의 대사상 31권" 휘문출판사 475-, 1972

      15 "선조실록 권25"

      16 김덕삼, "문화의 수용과 창조" 북코리아 273-282, 2013

      17 국정브리핑 특별기획팀, "대한민국교육 40년" 한스미디어 462-464, 2007

      18 "논어"

      19 김철운, "공자와 유가" 서광사 46-, 2005

      20 김덕삼, "顔元의 비판정신과 인문학의 반성" 한국유교학회 (62) : 125-149, 2015

      21 "顔元集" 中華書局 39-778, 1987

      22 陳山榜, "顔元評傳" 人民敎育出版社 1-2, 2004

      23 趙得昌, "顔元的‘習行’敎育思想與對當今韓國敎育的意義" 4-, 2015

      24 박진태, "漢陰李德馨의 외교론과 人心정치" (10) : 86-105, 2013

      25 梁啓超, "淸代學術槪論" 驪江出版社 34-, 1987

      26 장원철, "明末淸初 顔元의 학문과 사상에 대하여" 경남문화연구원 (29) : 329-368, 2010

      27 朱熹, "學規類編, 商務印書館, 54" 商務印書館 54-701, 1936

      28 "國譯漢陰先生文稿(下)"

      29 鐘祥財, "中國農業思想史" 上海社會科學院出版社 1997

      30 毛禮銳, "中國敎育通史" 山東敎育出版社 2005

      31 王炳照, "中國敎育思想痛史" 湖南敎育出版社 1996

      32 陣學恂, "中國敎育史硏究" 華東師範大學出版社 2001

      33 陳靑之, "中國敎育史" 東方出版社 2008

      34 兪啓定, "中國敎育制度通史" 山東敎育出版社 2000

      35 劉建國, "中國哲學史史料學槪要上" 吉林人民出版社 551-, 1981

      36 劉建國, "中國哲學史史料學槪要, 上" 吉林人民出版社 1981

      37 方克立, "中國哲學史上的知行觀" 人民出版社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 1.69 2.047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