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논어 발문교육의 초등도덕교육적 함의: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The Implication for Elementary Moral Education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Questioning: Focused on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984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rowing demand for moral education through schools, the subject of morality takes responsibility for moral education. However,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moral education through the subject of morality. These problems belong to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textbooks, and lectures which are constructed for universality and logic.
      In order for the current curriculum and textbooks to play a practical role in moral education, we need to pay attention to moral education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Unlike current moral education, the Analects of Confucius focuses on the wisdom of life and emphasizes practice. In addition, the proverb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have wisdom starting from the self to the social, nation and global community, which are characters of Confucianism.
      The Analects of Confucius still influence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countries, and present a big framework for changing the current elementary moral education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curriculum.
      번역하기

      Growing demand for moral education through schools, the subject of morality takes responsibility for moral education. However,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moral education through the subject of morality. These problems belong to curriculum of moral ...

      Growing demand for moral education through schools, the subject of morality takes responsibility for moral education. However,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moral education through the subject of morality. These problems belong to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textbooks, and lectures which are constructed for universality and logic.
      In order for the current curriculum and textbooks to play a practical role in moral education, we need to pay attention to moral education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Unlike current moral education, the Analects of Confucius focuses on the wisdom of life and emphasizes practice. In addition, the proverb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have wisdom starting from the self to the social, nation and global community, which are characters of Confucianism.
      The Analects of Confucius still influence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countries, and present a big framework for changing the current elementary moral education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curriculu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학교를 통한 도덕 교육의 요구가 높아지는 가운데, 도덕 교육을 교과의 목표로 둔 도덕과의 책무 또한 커지고 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는 도덕과를 활용한 도덕 교육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보편성과 논리성을 담보하기 위한 공학적 토대 위에 구성된 도덕과 교육과정, 도덕과 교과서, 도덕과 수업 등을 들 수 있다.
      지금의 도덕과 교육과정, 도덕과 교과서가 도덕 교육에 실질적인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논어의 도덕 교육 방식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논어는 지금의 도덕과 교육과 달리 삶의 지혜에 주목하고 있으며 실천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논어의 발문들은 도덕 주체의 성찰로부터 사회․국가 및 지구공동체로 확장되는 유학(儒學)의 실천적 덕론의 특징을 담고 있다.
      논어는 한자문화권 국가의 교육에 여전히 영향력을 주고 있으며,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지금의 초등 도덕과 교육이 변모해야 할 큰 틀의 상을 제시하고 있다.
      번역하기

      학교를 통한 도덕 교육의 요구가 높아지는 가운데, 도덕 교육을 교과의 목표로 둔 도덕과의 책무 또한 커지고 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는 도덕과를 활용한 도덕 교육에 어려움을 호소하...

      학교를 통한 도덕 교육의 요구가 높아지는 가운데, 도덕 교육을 교과의 목표로 둔 도덕과의 책무 또한 커지고 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는 도덕과를 활용한 도덕 교육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보편성과 논리성을 담보하기 위한 공학적 토대 위에 구성된 도덕과 교육과정, 도덕과 교과서, 도덕과 수업 등을 들 수 있다.
      지금의 도덕과 교육과정, 도덕과 교과서가 도덕 교육에 실질적인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논어의 도덕 교육 방식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논어는 지금의 도덕과 교육과 달리 삶의 지혜에 주목하고 있으며 실천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논어의 발문들은 도덕 주체의 성찰로부터 사회․국가 및 지구공동체로 확장되는 유학(儒學)의 실천적 덕론의 특징을 담고 있다.
      논어는 한자문화권 국가의 교육에 여전히 영향력을 주고 있으며,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지금의 초등 도덕과 교육이 변모해야 할 큰 틀의 상을 제시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석, "현자에게는 고정관념이 없다" 한울 2009

      2 이근세, "프랑수아 줄리앙의 비교철학에서 중국과 서양의 효율성 개념 비교" 대동철학회 (58) : 103-127, 2012

      3 노철현,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의 변천과정에 나타난 도덕교육의 성격 고찰" 초등교육연구원 26 (26): 143-159, 2015

      4 서울교육대학교 도덕국정도서편찬위원회, "초등학교 도덕 6 교사용 지도서" 천재교육 2015

      5 서울교육대학교 도덕국정도서편찬위원회, "초등학교 도덕 6" 지학사 2019

      6 서울교육대학교 도덕국정도서편찬위원회, "초등학교 도덕 4" 지학사 2018

      7 서울교육대학교 도덕국정도서편찬위원회, "초등학교 도덕 3" 지학사 2018

      8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Ⅲ)국어, 도덕, 사회" 교육과학기술부 2008

      9 장유정, "초등 도덕교과서의 발문유형 분석" 한국윤리학회 1 (1): 307-336, 2017

      10 서강식, "초등 도덕교과서 개선을 위한 발문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6) : 5-38, 2008

      1 김용석, "현자에게는 고정관념이 없다" 한울 2009

      2 이근세, "프랑수아 줄리앙의 비교철학에서 중국과 서양의 효율성 개념 비교" 대동철학회 (58) : 103-127, 2012

      3 노철현,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의 변천과정에 나타난 도덕교육의 성격 고찰" 초등교육연구원 26 (26): 143-159, 2015

      4 서울교육대학교 도덕국정도서편찬위원회, "초등학교 도덕 6 교사용 지도서" 천재교육 2015

      5 서울교육대학교 도덕국정도서편찬위원회, "초등학교 도덕 6" 지학사 2019

      6 서울교육대학교 도덕국정도서편찬위원회, "초등학교 도덕 4" 지학사 2018

      7 서울교육대학교 도덕국정도서편찬위원회, "초등학교 도덕 3" 지학사 2018

      8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Ⅲ)국어, 도덕, 사회" 교육과학기술부 2008

      9 장유정, "초등 도덕교과서의 발문유형 분석" 한국윤리학회 1 (1): 307-336, 2017

      10 서강식, "초등 도덕교과서 개선을 위한 발문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6) : 5-38, 2008

      11 조석환, "초등 도덕과 교과서 구성 체제 변화와 향후 발전 방안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50) : 237-267, 2015

      12 권혜선, "초등 교사의 교과서 중심 도덕 수업에 대한 이해"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4) : 1-28, 2014

      13 박형빈, "윌슨의 개념분석과 도덕적 사고하기에 관한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17) : 97-132, 2008

      14 이태윤, "실천능력의 향상을 위한 초등 도덕 교과서 단원 재구성- Dewey ‘경험의 계속성’을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5) : 369-398, 2014

      15 송영민, "시적 행위로서의 도덕과 수업" 한국철학사연구회 (31) : 87-111, 2011

      16 노희정, "비판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초등도덕교육"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0) : 275-304, 2009

      17 김시천, "번역과 철학 ― 동아시아 고전 번역과 삶의 중첩성" 대동철학회 (49) : 1-18, 2009

      18 "맹자(孟子)"

      19 김현수, "도덕적 문제 인식 유도를 위한인지 부조화 발문 전략" 한국윤리교육학회 (26) : 113-136, 2011

      20 임상수, "도덕과 수업모형별 특성을 반영한 발문 기법" 한국윤리교육학회 (29) : 213-236, 2012

      21 서상문, "도덕과 교육과정의 생명윤리 영역 비판과 현상학적 재구성: Merleau-Ponty 몸의 현상학을 토대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4) : 153-194, 2010

      22 교육부, "도덕과 교육과정"

      23 김윤경, "논쟁수업에서 도덕과 교사의 역할과 발문에 관한 연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65) : 163-188, 2019

      24 "논어(論語)"

      25 안종욱, "국가교육과정에서 지리교과 내용체계의 역사적 기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26 정창우, "교사, 인성교육을 생각하다 : 유·초·중·고 교사의 인성교육 전문성 발달을 위한 자기 성찰 프로젝트" 교육과학사 [경기] 2016

      27 정천구, "공자의 말하기와 해석학적 사유" 인문학연구소 66 : 243-276, 2009

      28 지준호, "‘忠恕之道’의 윤리학적 함의와 교육에서의 적용 방안 연구 — 개인윤리와 사회공동체윤리의 통합적 접근을 중심으로 —" 동양고전학회 (34) : 311-338, 2009

      29 Wilson, J., "Thinking with Concep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3

      30 Narvaez, D., "Moral Complexity : The Fatal Attraction of Truthiness and the Importance of Mature Moral Functioning" 5 (5): 163-181, 2010

      31 Lapsley, D. K., "Character psychology and character education"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2005

      32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용 도서 연수 교재 초등3·4학년" 교육부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66 0.756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