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 정의와 인성 및 진로 교육 = A Study on Multicultural Justice and Personality Career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984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y multicultural families face challenges in many respects, including the increasing number of divorces and cases of child abuse. The low achievement of multicultural children in school reduces learning ability and causes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Therefore, a curriculum and career education plans for multicultural children are needed.
      In this study, the home life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teenagers were studied not just as beneficiaries of welfare policies but as necessary human resources in the community. Furthermore, the study discusses personality and career education on how current education can contribute to a satisfactory life for students.
      번역하기

      Many multicultural families face challenges in many respects, including the increasing number of divorces and cases of child abuse. The low achievement of multicultural children in school reduces learning ability and causes social and emotional behavi...

      Many multicultural families face challenges in many respects, including the increasing number of divorces and cases of child abuse. The low achievement of multicultural children in school reduces learning ability and causes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Therefore, a curriculum and career education plans for multicultural children are needed.
      In this study, the home life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teenagers were studied not just as beneficiaries of welfare policies but as necessary human resources in the community. Furthermore, the study discusses personality and career education on how current education can contribute to a satisfactory life for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경제적 취약계층이 상대적으로 많은 다문화 가정은 인종차별, 노동차별, 자녀교육문제 등 많은 측면에서 어려움에 처해 있다. 외국인 부모를 둔 다문화 가정이라는 현실적인 문제에서 이중 언어, 다양한 문화적 기반의 강점을 가진 다문화 가정도 있지만, 대부분의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교에서의 낮은 성취는 학습 능력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사회적 · 정서적 행동상의 문제를 유발한다. 그리고 진로에 대한 긍정적 인식 및 탐색 기회가 제한적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아동· 청소년들을 단순히 복지정책의 수혜자가 아닌 지역사회에서 필요한 인재로서 육성하기 위해 우선으로 다문화 정의와 관련한 인성과 진로 교육에 관해 논의하고자 한다. 그리고 현재 교육이 어떻게 학생들의 행복에 기여할 수 있는지, 어떤 교육목적이 행복과 연관될 수 있는가와 관련한 인성과 진로 교육을 논의한다. 이를 위해 학생들이 학교와 사회에서 현재와 미래에 행복하게 살 수 있는‘행복 역량’개발교육과 개인적 삶의 효능감과 사회 간의 조화와 균형을 추구하는 인성교육 연계 방법을 고찰하였다.
      번역하기

      경제적 취약계층이 상대적으로 많은 다문화 가정은 인종차별, 노동차별, 자녀교육문제 등 많은 측면에서 어려움에 처해 있다. 외국인 부모를 둔 다문화 가정이라는 현실적인 문제에서 이중 ...

      경제적 취약계층이 상대적으로 많은 다문화 가정은 인종차별, 노동차별, 자녀교육문제 등 많은 측면에서 어려움에 처해 있다. 외국인 부모를 둔 다문화 가정이라는 현실적인 문제에서 이중 언어, 다양한 문화적 기반의 강점을 가진 다문화 가정도 있지만, 대부분의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교에서의 낮은 성취는 학습 능력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사회적 · 정서적 행동상의 문제를 유발한다. 그리고 진로에 대한 긍정적 인식 및 탐색 기회가 제한적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아동· 청소년들을 단순히 복지정책의 수혜자가 아닌 지역사회에서 필요한 인재로서 육성하기 위해 우선으로 다문화 정의와 관련한 인성과 진로 교육에 관해 논의하고자 한다. 그리고 현재 교육이 어떻게 학생들의 행복에 기여할 수 있는지, 어떤 교육목적이 행복과 연관될 수 있는가와 관련한 인성과 진로 교육을 논의한다. 이를 위해 학생들이 학교와 사회에서 현재와 미래에 행복하게 살 수 있는‘행복 역량’개발교육과 개인적 삶의 효능감과 사회 간의 조화와 균형을 추구하는 인성교육 연계 방법을 고찰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선, "행복과 교육" 학이당 2008

      2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

      3 박종국, "학교교육과정에 대한 과정철학적 고찰"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29-55, 2008

      4 윤성우, "폴 리쾨르의 철학" 철학과 현실사 2004

      5 Ricoeur. P, "타자로서 자기자신" 동문선 2006

      6 Walzer, M, "정의와 다원적 평등" 철학과 현실사 1998

      7 여성가족부, "전국 다문화가족의 실태조사" 2018

      8 문정애, "잘삶을 위한 행복과 인성교육" 3 (3): 15-30, 2018

      9 Dworkin, R, "자유주의적 평등" 한길사 2005

      10 문정애, "일본의‘다문화공생과 평생학습’정책을 통해 본 지역평생학습의 탐색" 한국일본교육학회 18 (18): 19-41, 2013

      1 김선, "행복과 교육" 학이당 2008

      2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

      3 박종국, "학교교육과정에 대한 과정철학적 고찰"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29-55, 2008

      4 윤성우, "폴 리쾨르의 철학" 철학과 현실사 2004

      5 Ricoeur. P, "타자로서 자기자신" 동문선 2006

      6 Walzer, M, "정의와 다원적 평등" 철학과 현실사 1998

      7 여성가족부, "전국 다문화가족의 실태조사" 2018

      8 문정애, "잘삶을 위한 행복과 인성교육" 3 (3): 15-30, 2018

      9 Dworkin, R, "자유주의적 평등" 한길사 2005

      10 문정애, "일본의‘다문화공생과 평생학습’정책을 통해 본 지역평생학습의 탐색" 한국일본교육학회 18 (18): 19-41, 2013

      11 문정애, "배려와 다문화 평등교육의 탐색: 왈쩌와 나딩스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회 (58) : 33-56, 2016

      12 문정애, "다문화윤리적 정체성과 평등 교육" 한국교육철학회 (52) : 109-135, 2014

      13 김윤정, "다문화교육과 공생의 실현" 일조각 2010

      14 문정애, "다문화가족의 해체에 따른 아동정체성 문제와 진로교육의 방향" 한국교육철학회 (71) : 99-122, 2019

      15 조금주, "국내 이주민 자녀들의 학교교육에서의 교육권 실현을 위한 과제" 한국청소년학회 18 (18): 73-96, 2011

      16 문정애, "Levinas의 타자윤리와 정의론 관점에 기초한 교육적 함의" 한국인격교육학회 10 (10): 35-53, 2016

      17 Levinas, E, "Ethics and Infinity" Duquense University 19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66 0.756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