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분석심리학적 자기성찰 교육에 관한 시론적 연구: B대학 특수체육 교사 지망생을 중심으로 = An Exploratory Study on Education for Self-Reflection Based on Analytical Psychology: A Case of the Special Physical Education Students of B 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984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mploying the concepts and perspectives of analytical psychology,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induce depth self-understanding and self-reflec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shows usefulness of the training program based on such reflection. Self-reflection is an action to acquire a comprehensive view of a person’s self-understanding and his or her life in its entirety. It is a function potent in the interior of human consciousness that helps a person shape a meaning of life and foster active attitude toward life. Analytical psychology awakens the function potent in human beings, thereby assisting in forming a person’s identity. It also provides an individual with rich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necessary for living a healthy life as well as accomplishing individual developmental tasks and actualizing whole character. As a result of undertaking a university course based on this program, first, participating students realized the need for forming self-identity and pursuing self-reflection, second, they attained mature perspectives on education and teaching and a sense of purpose and vocational commitment, and third, they were able to accept a tolerant attitude to self that is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bracing an expect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ir own characters. Consequently, this study shows that the analytical psychological learning gearing toward self-reflection can help university students deepen their self-understanding and expand the scope of self-consciousness.
      번역하기

      Employing the concepts and perspectives of analytical psychology,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induce depth self-understanding and self-reflec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shows usefulness of the training program based on such reflection. Self-re...

      Employing the concepts and perspectives of analytical psychology,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induce depth self-understanding and self-reflec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shows usefulness of the training program based on such reflection. Self-reflection is an action to acquire a comprehensive view of a person’s self-understanding and his or her life in its entirety. It is a function potent in the interior of human consciousness that helps a person shape a meaning of life and foster active attitude toward life. Analytical psychology awakens the function potent in human beings, thereby assisting in forming a person’s identity. It also provides an individual with rich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necessary for living a healthy life as well as accomplishing individual developmental tasks and actualizing whole character. As a result of undertaking a university course based on this program, first, participating students realized the need for forming self-identity and pursuing self-reflection, second, they attained mature perspectives on education and teaching and a sense of purpose and vocational commitment, and third, they were able to accept a tolerant attitude to self that is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bracing an expect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ir own characters. Consequently, this study shows that the analytical psychological learning gearing toward self-reflection can help university students deepen their self-understanding and expand the scope of self-consciousn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분석심리학의 개념과 시각을 차용하여 대학생의 심층의 자기인식과 성찰을 유발시킬 수 있는 방법과 그 성찰을 활용한 양성 및 연수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제시하였다. 자기 성찰은 자신에 대한 인식과 자신의 삶 전체를 종합적으로 살피거나 돌아보는 행위로 삶에 대한 의미뿐 아니라 보다 주체적인 태도와 자세를 품도록 도와주는, 인간 의식 내면에 잠재된 기능이다. 분석심리학은 이러한 인간에 내재한 기능을 일깨워 개인의 정체성 정립에 유용한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건강한 인격 발달은 물론, 개인의 생애 발달과정의 과업을 성취하고 전체 인격을 실현하는 데 필요한, 풍부한 심리적, 교육적 함의를 제공해 준다. 이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수업을 실행한 결과, 첫째, 참여자들이 자아정체성 확립 및 자기 성찰의 필요성을 자각하게 되었고, 둘째, 성숙한 교육관(교사상)을 도출하고 목적의식 및 의지를 품게 되었으며, 셋째, 자신에 대한 긍정과 부정의 수용적 태도와 인식, 나아가 자신의 인격 발전의 가능성에 대한 기대와 의욕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 성찰을 추구하는 분석심리학적 학습·교육이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하고 자아의식의 범위를 확장시켜 줄 가능성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분석심리학의 개념과 시각을 차용하여 대학생의 심층의 자기인식과 성찰을 유발시킬 수 있는 방법과 그 성찰을 활용한 양성 및 연수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제시하였다. 자기 성찰...

      본 연구는 분석심리학의 개념과 시각을 차용하여 대학생의 심층의 자기인식과 성찰을 유발시킬 수 있는 방법과 그 성찰을 활용한 양성 및 연수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제시하였다. 자기 성찰은 자신에 대한 인식과 자신의 삶 전체를 종합적으로 살피거나 돌아보는 행위로 삶에 대한 의미뿐 아니라 보다 주체적인 태도와 자세를 품도록 도와주는, 인간 의식 내면에 잠재된 기능이다. 분석심리학은 이러한 인간에 내재한 기능을 일깨워 개인의 정체성 정립에 유용한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건강한 인격 발달은 물론, 개인의 생애 발달과정의 과업을 성취하고 전체 인격을 실현하는 데 필요한, 풍부한 심리적, 교육적 함의를 제공해 준다. 이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수업을 실행한 결과, 첫째, 참여자들이 자아정체성 확립 및 자기 성찰의 필요성을 자각하게 되었고, 둘째, 성숙한 교육관(교사상)을 도출하고 목적의식 및 의지를 품게 되었으며, 셋째, 자신에 대한 긍정과 부정의 수용적 태도와 인식, 나아가 자신의 인격 발전의 가능성에 대한 기대와 의욕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 성찰을 추구하는 분석심리학적 학습·교육이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하고 자아의식의 범위를 확장시켜 줄 가능성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용환, "학교에 대한 기대와 교육의 방치" 58 : 22-28, 1991

      2 조용환, "학교 구성원의 삶과 문화 : 교사와 학생, 그들은 행복한가?" 33 (33): 77-91, 1995

      3 김정수, "청소년의 자살충동과 심리사회적 변인과의 관계" 21 : 153-172, 2003

      4 장은선,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비합리적 신념 및 자살생각의 관계 -고등학교 재학중인 여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4 (14): 27-47, 2007

      5 조용환, "질적 연구의 동양과 과제" 2 (2): 91-121, 1999

      6 조용환, "질적 연구" 교육과학사 1999

      7 조용환, "질적 기술, 분석, 해석" 2 (2): 27-63, 1999

      8 한겨레, "지난해 자살률 증가세 전환…다시 OECD 1위로"

      9 박미랑,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대학생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77-95, 2019

      10 이부영, "자기와 자기실현" 한길사 2002

      1 조용환, "학교에 대한 기대와 교육의 방치" 58 : 22-28, 1991

      2 조용환, "학교 구성원의 삶과 문화 : 교사와 학생, 그들은 행복한가?" 33 (33): 77-91, 1995

      3 김정수, "청소년의 자살충동과 심리사회적 변인과의 관계" 21 : 153-172, 2003

      4 장은선,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비합리적 신념 및 자살생각의 관계 -고등학교 재학중인 여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4 (14): 27-47, 2007

      5 조용환, "질적 연구의 동양과 과제" 2 (2): 91-121, 1999

      6 조용환, "질적 연구" 교육과학사 1999

      7 조용환, "질적 기술, 분석, 해석" 2 (2): 27-63, 1999

      8 한겨레, "지난해 자살률 증가세 전환…다시 OECD 1위로"

      9 박미랑,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대학생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77-95, 2019

      10 이부영, "자기와 자기실현" 한길사 2002

      11 육진경, "인성증진을 위한 교양교육이 대학생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격교육학회 11 (11): 23-36, 2017

      12 김선주, "인성교육 진흥법 핵심가치덕목에 근거한 대학생용 인성 척도 개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217-258, 2017

      13 유홍준, "인성 교과교육 교육효과성 분석-성균관대학교"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447-474, 2017

      14 칼, G, 융, "인격은 어떻게 발달하는가" 부글북스 2015

      15 오강남, "우주와 인생의 깊은 뜻 장자" 현암사 1999

      16 폴, F. 니터, "오직 예수 이름으로만?" 한국신학연구소 1986

      17 박순용, "연구방법으로서의 내러티브 탐구" 학지사 2017

      18 루소, J, "에밀" 한길사 2003

      19 김미영, "에릭슨의 심리사회 발달적 인간 고찰" 2 (2): 27-42, 2015

      20 한석훈, "선생이란 무엇인가 – 루소, 퇴계, 공자, 융에게 교육의 길을 묻는다" 한헌 2012

      21 정창우, "생애 단계별 인성교육 실천 모델의 모색" 교육종합연구원 26 (26): 141-168, 2017

      22 이부영, "분석심리학 이야기" 집문당 2014

      23 이부영, "분석심리학 : C. G. 융의 인간심성론" 일조각 2011

      24 헤세 H, "데미안" 믿음사 2009

      25 강옥태, "대학에서의 인성교육: 경상대학교를 중심으로" 131-153, 2018

      26 민윤기, "대학생의 자살위험요인 지각과 자살생각 평가" 31 : 31-52, 2005

      27 최순옥, "대학생의 자살생각과 영성" 한국간호교육학회 17 (17): 190-199, 2011

      28 이혜선, "대학생의 자살관련생각과 행동의 원인 및 자살을 선택하지 않은 이유"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703-728, 2012

      29 이지선, "대학생 창의․인성 구성요인에 관한 경험적 탐색" 한국콘텐츠학회 17 (17): 26-37, 2017

      30 임광명, "대학생 인성지표 개발" 교육과학연구소 20 (20): 267-297, 2018

      31 김정선, "대학생 대상 인성교육 프로그램 관련 국내 연구논문의 통합적 고찰"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547-555, 2016

      32 조용환, "대학교육의 의미와 기능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여대생들의 ‘홀로서기’를 중심으로" 33 (33): 163-191, 1995

      33 최보라, "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한국인격교육학회 12 (12): 157-171, 2018

      34 김누리, "대학 신입생들을 위한 인성교과 설계 및 운영사례"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449-479, 2017

      35 이부영, "노자와 융 『도덕경』의 분석심리학적 해석" 한길사 2012

      36 최의창, "기법과 심법: 교수방법의 잃어버린 차원을 찾아서" 한국교육철학학회 36 (36): 127-156, 2014

      37 마거크, J. 보구, "기독교의 심장" 한국기독교연구소 2009

      38 이부영, "그림자" 한길사 1999

      39 한석훈, "교원양성 및 연수 과정에서 개인사적 성찰을 통한 교사 헌신도 제고 방안 모색" 한국인격교육학회 9 (9): 71-93, 2015

      40 이혁규, "교사의 자기연구(Self-Study) 필요성 탐색" 교육연구소 18 (18): 5-43, 2012

      41 조용환, "고등학교 학생문화의 종합적 이해와 비판" 17 (17): 117-149, 1994

      42 국민일보, "“학원가기 싫은 날 엄마를…” 초등생 잔혹 동시 논란"

      43 조용환, "‘교실붕괴’의 교육인류학적 분석 : 학교문화와 청소년문화의 갈등을 중심으로" 3 (3): 43-66, 2000

      44 Jung, C. G., "The collected works of C. G. Jun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9

      45 Adams, D. M., "Stressful life events associated with adolescent suicide attempts" 39 : 43-48, 1994

      46 Maslow, A. H., "Motivation and Personality" Harper & Row, Publishers 1954

      47 OECD, "Health at a Glance 2019"

      48 Erikson, E, "Childhood and Society" W.W.Norton & Co Inc 1950

      49 야훼, A, "C.G. 융의 회상, 꿈 그리고 사상" 집문당 19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66 0.756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