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2010년 북한에서 발굴 조사된 옥도리 고구려 고분벽화의 화면 배치에 담긴 의미와 일부 도상에 대한 해석, 그리고 편년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옥도리 벽화고분의 안칸에는 도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5635077
201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41-158(18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2010년 북한에서 발굴 조사된 옥도리 고구려 고분벽화의 화면 배치에 담긴 의미와 일부 도상에 대한 해석, 그리고 편년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옥도리 벽화고분의 안칸에는 도리...
본 논문은 2010년 북한에서 발굴 조사된 옥도리 고구려 고분벽화의 화면 배치에 담긴 의미와 일부 도상에 대한 해석, 그리고 편년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옥도리 벽화고분의 안칸에는 도리를 중심으로 벽면과 천장에 각각 현세와 내세를 의미하는 공간이 구현되어 있다. 벽면의 장방생활도나 접객도, 가무도 및 수렵도는 현세의 영화로운 삶을 보여주고, 천장의 연꽃무늬와 화염무늬 등은 내세의 극락정토를 염원한 것이다. 초기의 고구려 벽화가 현실적인 삶을 제재로 그려지던 것에서 점차 내세를 상징하는 관념화된 주제들로 변화되어 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옥도리 벽화의 내용 중에서 이른바‘행주치마[앞치마]’처럼 장식된 복식이 눈에 띈다. 이는 동아시아 고대 국가들에서 권위를 나타내기 위해 祭服이나 朝服등 禮服에 착용하는 장식품의 일종인‘蔽膝’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폐슬 장식은 평양 지역의 벽화고분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으며, 집안지역의 저고리나 점박 무늬 복식과는 구별되어 제도의 변화 등에서 오는 지역 특색의 복식 양식일 가능성도 있다.
옥도리 벽화의 편년에 대해서 보고서는 4세기 말∼5세기 초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벽화 배치가 현세와 내세로 비교적 뚜렷이 구분되어 주제의 특화가 진행되고, 복식이 집안계와 평양계가 함께 나타나는 점 등으로 보아 5세기 전반의 감신총보다는 늦고 5세기 후반의 안악2호분 보다는 빠른 시기, 즉 5세기 중반으로 편년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 동북아역사재단, "옥도리 고구려 벽화무덤" 동북아역사재단 2011
3 이정옥, "서양복식사" 형설출판사 2003
4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 유적Ⅰ고구려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5 남은경, "고구려의 문화와 사상" 동북아역사재단 2007
6 국립중앙박물관, "고구려 무덤벽화-국립박물관 소장 모사도-" 주자소 2006
7 정호섭, "고구려 고분의 조영과 제의" 서경문화사 2011
8 전호태,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사계절 2001
9 고광의, "高句麗書體의 形態演變硏究, In 고구려 문화의 역사적 의의" 고구려연구재단 2005
10 李正玉, "韓國蔽膝에 관한 硏究" 韓國衣類學會 11 (11): 1987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 동북아역사재단, "옥도리 고구려 벽화무덤" 동북아역사재단 2011
3 이정옥, "서양복식사" 형설출판사 2003
4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 유적Ⅰ고구려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5 남은경, "고구려의 문화와 사상" 동북아역사재단 2007
6 국립중앙박물관, "고구려 무덤벽화-국립박물관 소장 모사도-" 주자소 2006
7 정호섭, "고구려 고분의 조영과 제의" 서경문화사 2011
8 전호태,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사계절 2001
9 고광의, "高句麗書體의 形態演變硏究, In 고구려 문화의 역사적 의의" 고구려연구재단 2005
10 李正玉, "韓國蔽膝에 관한 硏究" 韓國衣類學會 11 (11): 1987
11 "後漢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1-07-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Balhae -> Association of Koguryo Balhae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2-1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고구려연구 -> 고구려발해연구외국어명 : The Koguryo Yonku -> The KoguryoBalhae Yonku | ![]() |
2008-02-1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고구려연구회 -> 고구려발해학회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 Institute of KoguryoBalhae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5-05-3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8 | 0.78 | 0.9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 | 0.93 | 2.013 | 0.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