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목재수납장 구매자의 소비성향 및 사회 ․ 경제적 특성에 따른 산림인증 인식도 조사 = Recognition of Forest Certification by Consumption Propensity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Wood Cabinet Consum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633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gure out the recognition on forest certification by consumption propensity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wood cabinet consumers. The mean score of recognition on SFM and FSC showed comparatively low, 2.25 and 2.20(5-point likert scale), from the analysis result on 88 valid questionnaires of 90. The respondents rate of eco and non eco-friendly group formed 80.7% and 18.2%, there is a significant gap between two groups on total questionnaires.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recognizing on SFM and FSC was about 31%(eco-friendly), 5.6%(non eco-friendly, SFM) and 2.8%(non eco-friendly, FSC) within each group. It showed that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n eco-friendly respondents were higher than the others about more 1.3 times in the married rate, average age and monthly householding income.
      번역하기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gure out the recognition on forest certification by consumption propensity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wood cabinet consumers. The mean score of recognition on SFM and FSC showed comparatively low, 2.25 and 2.20...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gure out the recognition on forest certification by consumption propensity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wood cabinet consumers. The mean score of recognition on SFM and FSC showed comparatively low, 2.25 and 2.20(5-point likert scale), from the analysis result on 88 valid questionnaires of 90. The respondents rate of eco and non eco-friendly group formed 80.7% and 18.2%, there is a significant gap between two groups on total questionnaires.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recognizing on SFM and FSC was about 31%(eco-friendly), 5.6%(non eco-friendly, SFM) and 2.8%(non eco-friendly, FSC) within each group. It showed that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n eco-friendly respondents were higher than the others about more 1.3 times in the married rate, average age and monthly householding inco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목재수납장의 잠재적 구매자를 대상으로 소비성향 및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산림인증의 인식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총 90부의 설문지 중 유효부수 88부를 분석한 결과, SFM과 FSC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인식도는 평균 2.25와 2.20(5점 리커트 기준)으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친환경 그룹과 비친환경 그룹의 응답자는 80.7%와 18.2%의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모든 설문항목에 대해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각 그룹 내에서 SFM과 FSC를 인식하고 있는 응답자는 친환경 그룹이 약 31%, 비친환경 그룹이 5.6%(SFM)와 2.8%(FSC)를 차지하였다. 소비자 유형별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특성은 친환경 그룹의 기혼율과 평균연령 및 월평균 가계소득이 비친환경 그룹에 비해 약 1.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목재수납장의 잠재적 구매자를 대상으로 소비성향 및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산림인증의 인식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총 90부의 설문지 중 유효부수 88부를 분석한 ...

      이 연구는 목재수납장의 잠재적 구매자를 대상으로 소비성향 및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산림인증의 인식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총 90부의 설문지 중 유효부수 88부를 분석한 결과, SFM과 FSC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인식도는 평균 2.25와 2.20(5점 리커트 기준)으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친환경 그룹과 비친환경 그룹의 응답자는 80.7%와 18.2%의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모든 설문항목에 대해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각 그룹 내에서 SFM과 FSC를 인식하고 있는 응답자는 친환경 그룹이 약 31%, 비친환경 그룹이 5.6%(SFM)와 2.8%(FSC)를 차지하였다. 소비자 유형별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특성은 친환경 그룹의 기혼율과 평균연령 및 월평균 가계소득이 비친환경 그룹에 비해 약 1.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혜진, "한국형 산림경영인증 기준과 지표의 개발" 한국임학회 99 (99): 24-35, 2010

      2 손철호, "지속적인 산림경영을 위한 산림인증제도(하)" 산림 12-18, 2000

      3 손철호, "지속적인 산림경영을 위한 산림인증제도(상)" 산림 8-15, 2000

      4 산림포럼,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한 산림인증제도의 국내외 현황과 자체 인증제도의 창설"

      5 차준희, "산림인증제에 대한 이해당사자들의 인식" 서울대학교 2003

      6 정희석, "목재와 인류생활" 서울대학교출판부 300-, 2004

      7 양병화,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학지사 402-, 2007

      8 이종환, "그린마케팅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2009

      9 이은영, "공동주택의 환경친화적 리모델링에 대한 거주자 의식 조사" 연세대학교 2005

      10 서의훈, "SPSS 12.0 한글판을 이용한 SPSS 통계분석" 자유아카데미 500-, 2006

      1 신혜진, "한국형 산림경영인증 기준과 지표의 개발" 한국임학회 99 (99): 24-35, 2010

      2 손철호, "지속적인 산림경영을 위한 산림인증제도(하)" 산림 12-18, 2000

      3 손철호, "지속적인 산림경영을 위한 산림인증제도(상)" 산림 8-15, 2000

      4 산림포럼,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한 산림인증제도의 국내외 현황과 자체 인증제도의 창설"

      5 차준희, "산림인증제에 대한 이해당사자들의 인식" 서울대학교 2003

      6 정희석, "목재와 인류생활" 서울대학교출판부 300-, 2004

      7 양병화,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학지사 402-, 2007

      8 이종환, "그린마케팅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2009

      9 이은영, "공동주택의 환경친화적 리모델링에 대한 거주자 의식 조사" 연세대학교 2005

      10 서의훈, "SPSS 12.0 한글판을 이용한 SPSS 통계분석" 자유아카데미 500-, 2006

      11 "LOHAS 가치를 추구하는 소비자의 특징"

      12 Ewarld R., "Forest certification-an instrument to promote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67 : 87-98, 2003

      13 "FSC"

      14 Virgilio M. V., "Certification of forest products: issues and perspectives" Island Press 253-, 1996

      15 한국목재신문, "21세기 목재문화운동의 추진방향"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KCI등재
      2012-04-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581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