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가 생애 전반에 걸쳐 건강한 삶을 실천하도록 돕기 위해 개발된 Science of Essential Balance(SEB) 교육과정의 설계원리와 그 효과를 살펴보고, 건강교육을 위한 국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가 생애 전반에 걸쳐 건강한 삶을 실천하도록 돕기 위해 개발된 Science of Essential Balance(SEB) 교육과정의 설계원리와 그 효과를 살펴보고, 건강교육을 위한 국내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가 생애 전반에 걸쳐 건강한 삶을 실천하도록 돕기 위해 개발된 Science of Essential Balance(SEB) 교육과정의 설계원리와 그 효과를 살펴보고, 건강교육을 위한 국내 체육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방법: 서술적 고찰을 통해 SEB 교육과정의 목적과 내용, 그리고 주요 특징과 함께 증거 기반의 학습효과를다루고, 국내 체육교육에의 적용 가능성과 기대효과를 논의하였다.
결과: SEB 교육과정은 칼로리 균형 지식을 중심으로 체계적인 교수·학습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학습자의 지식 향상, 신체활동 촉진, 체육수업 및 관련 지식에 대한 인식 변화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효과는 성별, 인종, 사회·경제적 배경과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 이를 바탕으로 SEB 교육과정이 국내 체육교육에 적용될 경우, 유사한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며 청소년의 주요 건강 문제 예방과 헬스 리터러시 발달에도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 SEB 교육과정이 한국 체육교육의 현실에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이론적·철학적 기반 정립과지속적인 정책적 논의, SEB 교육과정 실행을 통한 종단·횡단적 효과 검증, 교사 연수 및 현장 적용 지원체계마련 등 다층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directions for health-centered physical education, focusing on the design and learning effects of the Science of Essential Balance (SEB) curriculum to help adolescents promote lifelong healthful living...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directions for health-centered physical education, focusing on the design and learning effects of the Science of Essential Balance (SEB) curriculum to help adolescents promote lifelong healthful living.
Methods: Using a narrative review approach, this study reviewed the SEB curriculum’s goal, content, primary characteristics, and curriculum efficacy. Then,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expected outcomes of applying the curriculum in physical education in South Korea.
Results: The SEB curriculum provided a systematic teaching and learning structure based on caloric-balance knowledge, demonstrating its effects on students’ health-related knowledge, physical activity, and changes in percep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relevant knowledge. These effects were found to be consistent across gender, race, and socio-economic status. The SEB curriculum would be expected to demonstrate not only tangible learning outcomes but also addressing adolescents’ health issues and promoting health literacy.
Conclusion: A multifaceted effort is required for the SEB curriculum to be successfully integrated into Korean physical education. This effort includes establishing a solid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foundation, engaging in ongoing policy discussions, conducting both longitudinal and cross-sectional studies on the curriculum’s effectiveness, and developing support systems for teacher training and practical implementation in physical education.
흔들리는 강단, 흔들리지 않는 꿈: 체육학 대학 시간강사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학교체육에서 자기결정성 동기가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교양체육 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의 학습목표내용이 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MZ세대의 골프 레슨 인식 및 참여 요인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