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체육학 분야 대학 시간강사의 삶을 내러티브 탐구 방식으로 분석하여, 이들이 교육 현장에서 형성하는 정체성과 소명의식을 조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체육학 시간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97225
정윤덕 (국민대학교)
2025
Korean
Physical education ; adjunct faculty ; narrative inquiry ; professional identity ; emotional labor ; sense of calling ; 체육학 ; 시간강사 ; 내러티브 ; 정체성 ; 감정노동 ; 소명의식
KCI등재
학술저널
15-31(1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체육학 분야 대학 시간강사의 삶을 내러티브 탐구 방식으로 분석하여, 이들이 교육 현장에서 형성하는 정체성과 소명의식을 조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체육학 시간강...
목적: 본 연구는 체육학 분야 대학 시간강사의 삶을 내러티브 탐구 방식으로 분석하여, 이들이 교육 현장에서 형성하는 정체성과 소명의식을 조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체육학 시간강사 2인을 선정하여 총 4회의 심층 면담을 진행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내러티브 탐구의‘이야기하기’와 ‘다시 이야기하기’ 구조에 따라 분석했다. 분석은 시간적 흐름과 관계적 맥락을 중심으로 구성됐고, 참여자 확인과 동료 검토를 통해 진실성을 확보했다.
결과: 정체성과 불안정한 소속, 신체성과 감정노동, 교육·연구·생계의 충돌, 소명의식이라는 네 가지 핵심 주제가 도출됐다. 참여자들은 제도적 고립과 신체적·정서적 소진 속에서도 정체성과 실천적 신념을 유지하며교육자로서 삶의 의미를 재구성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체육학 시간강사의 교육적 실천이 단순한 노동을 넘어 의미 추구의 과정임을 밝혔다. 체육학 강의의 특수성과 시간강사 제도의 구조적 한계를 함께 조명함으로써 향후 교육정책 수립과 제도 개선 논의에 유의미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ives of part-time university instructors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through a narrative inquiry approach, focusing on how they construct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nd sense of vocation within educat...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ives of part-time university instructors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through a narrative inquiry approach, focusing on how they construct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nd sense of vocation within educational settings.
Methods: Two part-time instructors in physical education were selected, and four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narrative inquiry framework of ‘telling’ and ‘retelling,’ with emphasis on temporal flow and relational context. Credibility was ensured through member checking and peer debriefing.
Results: Four core themes were identified: identity and unstable belonging, physicality and emotional labor, the conflict between teaching, research, and livelihood, and vocational consciousness. Despite institutional isolation and physical and emotional exhaustion, participants sustained their educational identity and commitment, reconstructing meaning in their professional lives.
Conclusion: This study reveals that the educational practice of physical education part-time instructors goes beyond mere labor and represents a process of meaning-making. By illuminating both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and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the part-time teaching system, the study provides foundational insights for future policy development and systemic reform in higher education.
학교체육에서 자기결정성 동기가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교양체육 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의 학습목표내용이 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MZ세대의 골프 레슨 인식 및 참여 요인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