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얼굴형과 메이크업의 색상변화에 따른 이미지 지각에 관한 연구 = Image Perception according to Face Shapes and Makeup Color Vari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740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image perception of adult females owing to variations in face shapes and makeup color. Methods: This experimental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1 to August 25, 2014 on 679 female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were exposed to visual stimuli and asked to evaluate the images by responding to a questionnaire. Results: For the extern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image of women, 330 people of the respondents said it was makeup. It was the number one factor. And, 164 people thought it was the hairstyle, 115 people thought it was wardrobe, and 70 people thought it was skin. Regarding the differences in image perception according to face shapes, the participants perceived a long shape as gorgeous, a round shape as cute, a square shape as elegant, and an oval shape as natural. Regarding the differences in image perception owing to variations in makeup color, the orange tone was highly perceived to depict a gorgeous image while the pink tone was highly perceived to depict the elegant, natural, and cute images. Conclusion: The study proved that makeup is an external factor that significantly influences women’s image perception; furthermore, it also revealed that face shapes and makeup colors create diverse perceptions, providing a clue regarding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women’s image perception.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image perception of adult females owing to variations in face shapes and makeup color. Methods: This experimental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1 to August 25, 2014 on 679 female p...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image perception of adult females owing to variations in face shapes and makeup color. Methods: This experimental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1 to August 25, 2014 on 679 female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were exposed to visual stimuli and asked to evaluate the images by responding to a questionnaire. Results: For the extern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image of women, 330 people of the respondents said it was makeup. It was the number one factor. And, 164 people thought it was the hairstyle, 115 people thought it was wardrobe, and 70 people thought it was skin. Regarding the differences in image perception according to face shapes, the participants perceived a long shape as gorgeous, a round shape as cute, a square shape as elegant, and an oval shape as natural. Regarding the differences in image perception owing to variations in makeup color, the orange tone was highly perceived to depict a gorgeous image while the pink tone was highly perceived to depict the elegant, natural, and cute images. Conclusion: The study proved that makeup is an external factor that significantly influences women’s image perception; furthermore, it also revealed that face shapes and makeup colors create diverse perceptions, providing a clue regarding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women’s image percep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얼굴형과 메이크업 색상변화에 따른 이미지 지각의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방법: 2014년 8월 1일부터 8월 25일까지 여성 67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극물을 조사대상자들에게 보여주고 이미지를 설문지를 통해평가하는 실험연구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결과: 여성의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외적 요소를 살펴본 결과 메이크업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330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헤어스타일 164명, 의상 115명, 피부 70명 순으로 조사되었다. 얼굴형에 따른 이미지 지각은 긴형은 화려한 이미지, 둥근형은 귀여운 이미지, 사각형은 우아한 이미지, 타원형은 자연스러운 이미지로 지각되었다. 메이크업 색상변화의 차이는 화려한 이미지는 오렌지 톤이 높게 지각되었고 핑크 톤은 우아한 이미지, 자연스러운 이미지, 귀여운 이미지 모두에서높게 지각되었다. 결론: 메이크업은 여성의 이미지 지각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외적 요소이며 얼굴형과 메이크업 색상은 그 유형에따라 다양한 이미지를 형성하며 여성의 이미지 지각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는 단서로서 제공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얼굴형과 메이크업 색상변화에 따른 이미지 지각의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방법: 2014년 8월 1일부터 8월 25일까지 여성 679명을 대상으로 하였...

      목적: 본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얼굴형과 메이크업 색상변화에 따른 이미지 지각의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방법: 2014년 8월 1일부터 8월 25일까지 여성 67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극물을 조사대상자들에게 보여주고 이미지를 설문지를 통해평가하는 실험연구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결과: 여성의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외적 요소를 살펴본 결과 메이크업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330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헤어스타일 164명, 의상 115명, 피부 70명 순으로 조사되었다. 얼굴형에 따른 이미지 지각은 긴형은 화려한 이미지, 둥근형은 귀여운 이미지, 사각형은 우아한 이미지, 타원형은 자연스러운 이미지로 지각되었다. 메이크업 색상변화의 차이는 화려한 이미지는 오렌지 톤이 높게 지각되었고 핑크 톤은 우아한 이미지, 자연스러운 이미지, 귀여운 이미지 모두에서높게 지각되었다. 결론: 메이크업은 여성의 이미지 지각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외적 요소이며 얼굴형과 메이크업 색상은 그 유형에따라 다양한 이미지를 형성하며 여성의 이미지 지각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는 단서로서 제공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영, "한국, 중화권, 일본, 태국 여성의 포인트 메이크업에 따른 선호 및 이미지 연구" 한국피부과학연구원 12 (12): 709-717, 2014

      2 박영해, "퍼스널 헤어컬러 변화를 적용한 남·녀의 인상형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피부과학연구원 12 (12): 693-700, 2014

      3 장윤진, "인상교정을 위한 이미지 메이크업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6 (6): 101-121, 2006

      4 하경연,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외모만족도(얼굴, 피부, 몸매)와 자아존중감, 행복감과의 관계 연구: 진주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17 (17): 14-30, 2013

      5 류지원, "여성의 메이크업 수준과 안경착용 및 안경형태, 지각자 특성이 인상형성과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 20 (20): 155-166, 2014

      6 손지연, "얼굴형과 헤어스타일에 대한 지각자 특성에 따른 이미지 지각"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12 (12): 107-124, 2011

      7 어숙희, "발제선 유형에 따른 얼굴형의 분류" 한국미용학회 14 (14): 817-825, 2008

      8 김정희, "메이크업을 위한 우리나라 성인 여성의 표준 얼굴 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7 (57): 151-165, 2007

      9 조민희, "메이크업을 시술한 동안이미지에 대한 성인여성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피부과학연구원 12 (12): 875-883, 2014

      10 방기정, "디지털시대의 향장미용 문화에 나타난 메이크업 선호도 경향과 특성" 한국미용학회 14 (14): 284-301, 2008

      1 김수영, "한국, 중화권, 일본, 태국 여성의 포인트 메이크업에 따른 선호 및 이미지 연구" 한국피부과학연구원 12 (12): 709-717, 2014

      2 박영해, "퍼스널 헤어컬러 변화를 적용한 남·녀의 인상형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피부과학연구원 12 (12): 693-700, 2014

      3 장윤진, "인상교정을 위한 이미지 메이크업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6 (6): 101-121, 2006

      4 하경연,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외모만족도(얼굴, 피부, 몸매)와 자아존중감, 행복감과의 관계 연구: 진주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17 (17): 14-30, 2013

      5 류지원, "여성의 메이크업 수준과 안경착용 및 안경형태, 지각자 특성이 인상형성과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 20 (20): 155-166, 2014

      6 손지연, "얼굴형과 헤어스타일에 대한 지각자 특성에 따른 이미지 지각"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12 (12): 107-124, 2011

      7 어숙희, "발제선 유형에 따른 얼굴형의 분류" 한국미용학회 14 (14): 817-825, 2008

      8 김정희, "메이크업을 위한 우리나라 성인 여성의 표준 얼굴 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7 (57): 151-165, 2007

      9 조민희, "메이크업을 시술한 동안이미지에 대한 성인여성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피부과학연구원 12 (12): 875-883, 2014

      10 방기정, "디지털시대의 향장미용 문화에 나타난 메이크업 선호도 경향과 특성" 한국미용학회 14 (14): 284-301, 2008

      11 최은미, "둥근형 얼굴에 어울리는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에 관한 연구" 대한미용학회 6 (6): 15-24, 2010

      12 김미정, "남자대학생의 얼굴계측에 따른 유형별 헤어컷 디자인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 6 (6): 740-748, 2004

      13 Hwang YM, "The make-up’s influence on self-recognition &satisfaction of beauty" 3 : 7-25, 2002

      14 Graham JA, "The effects of cosmetics on person perception" 3 : 199-210, 1981

      15 Adams GR, "Physical attractiveness research : toward a developmental social psychology of beauty" 20 : 217-239, 1977

      16 Kweon HS, "Impression fromation based on facial shape 1" 7 : 0-9, 1999

      17 Gilmore DC, "Effects of applicant sex, applicant physical attractiveness, type of rater and type of job on interview decisions" 59 : 103-109, 1986

      18 Moon NW, "A study on women’s face types classification by visual distinction and difference from the measurement" 8 : 133-144, 2000

      19 송미영, "20대 여성의 얼굴화장 인식 및 선호 형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7 (7): 1337-1351, 2005

      20 송미영, "20대 여성의 얼굴유형 분류 및 형태적 특성 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8 (8): 76-90,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8-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주식회사 진셀팜 -> 한국피부과학연구원
      영문명 : Korea Institute for Skin and Clinical Sciences ->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al Sciences
      KCI등재
      2016-04-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아시안뷰티화장품저널 ->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KCI등재
      2016-02-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피부미용학회지 -> 아시안뷰티화장품저널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Aesthetic and Cosmetology ->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3-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Aesthetic Society -> Korean Journal of Aesthetic and Cosmetolog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5 0.602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