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우수건강기능식품제조기반의 체계적 조성방안 연구 = A Study on Good Manufacturing Practice on the infrastructure of Functional Health foo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646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 This research has been implemented in order to help health/functional food companies effectively introduce the Good Manufacturing Practice for functional food announced on January 31, 2004, and to present practical management plans. The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intends to present a standard model for each functional food formulation defined by law and for each item of functional food.
      Second, educational materials and audio/visuals which suit the situation of manufacturers were planned and produced in order to efficiently promote the GMP for functional food.
      Third, a survey which questioned functional food manufacturers has been conducted to promote the GMP for functional food, and the need for support for the policy was brought about by analyzing the effect GMP obligations will have on the industry in the future.
      • The followings were accomplish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 it has presented the GMP model for 6 formulations and major items of functional food.
      Second, a foundation for the computerization of a criteria form for implementing the GMP for functional product has been established.
      Third, audio/visuals for educating the industry about the functional product GMP has been produced.
      Fourth, illustrations have been produced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al product GMP notified.
      Fifth, the request of the industry and the sectors to which the Government provides support have been researched by using a survey to identify the future development plan for the GMP.
      Sixth, education for 47 companies in the industry has been implemented through the GMS (GMP Management system).
      번역하기

      • This research has been implemented in order to help health/functional food companies effectively introduce the Good Manufacturing Practice for functional food announced on January 31, 2004, and to present practical management plans. The research m...

      • This research has been implemented in order to help health/functional food companies effectively introduce the Good Manufacturing Practice for functional food announced on January 31, 2004, and to present practical management plans. The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intends to present a standard model for each functional food formulation defined by law and for each item of functional food.
      Second, educational materials and audio/visuals which suit the situation of manufacturers were planned and produced in order to efficiently promote the GMP for functional food.
      Third, a survey which questioned functional food manufacturers has been conducted to promote the GMP for functional food, and the need for support for the policy was brought about by analyzing the effect GMP obligations will have on the industry in the future.
      • The followings were accomplish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 it has presented the GMP model for 6 formulations and major items of functional food.
      Second, a foundation for the computerization of a criteria form for implementing the GMP for functional product has been established.
      Third, audio/visuals for educating the industry about the functional product GMP has been produced.
      Fourth, illustrations have been produced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al product GMP notified.
      Fifth, the request of the industry and the sectors to which the Government provides support have been researched by using a survey to identify the future development plan for the GMP.
      Sixth, education for 47 companies in the industry has been implemented through the GMS (GMP Management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2004년 1월 31일 공포된 우수건강기능식품제조기준(GMP)에 대한 건강기능식품업체에 대한 효과적인 GMP도입에 도움을 주고 실질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기능식품의 법정제형별, 품목별로 표준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둘째, 건강기능식품 GMP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교육교재와 교육동영상물을 제조업소의 실정에 맞도록 기획하고 제작하였다.
      셋째, 건강기능식품전문제조업소를 대상으로 건강기능식품 GMP의 건전한 추진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향후 GMP의 의무에 따른 산업에 미칠 파급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정책지원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건강기능식품의 6개 제형별, 주요 품목군에 대한 GMP모델을 제시하였다.
      둘째 건강기능식품GMP를 수행하기 위한 기준서 전산화 기반을 구축하였다.
      셋째 건강기능식품GMP의 업계 교육용 동영상물을 제작하였다.
      넷째 건강기능식품 GMP고시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러스트를 제작하였다 .
      다섯째 GMP의 향후 발전방안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업계의 요구와 정부지원분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여섯째 GMS(GMP Management system)을 통한 47개의 업체의 보급교육을 실시하였다.■ 연구목표 : 2004년에 수행된 우수건강기능식품제조기준(이하 ‘GMP’)의 적용메뉴얼 개발 및 적용확대방안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법정 제형별, 고시 품목별로 실제로 업계에 적용 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준서(제조관리기준서, 제조위생관리기준서, 품질관리기준서)및 서식의 표준화 및 전산화 기반을 구축하며, 교육훈련에 활용될 수 있도록 GMP교육자료를 개발한다. 한편, 연구 개발된 GMP전산화프로그램인 GMS에 대한 보급교육사업을 통하여 실질적인 GMP도입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또한 GMP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통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 연구내용
      ◦ GMP표준모델 개발을 위하여
      - 6개 법정 제형별, 주요고시 품목별 GMP(제조․품질관리)표준모델 개발
      - GMP품질․공정관리를 위한 기능성분 분석법 체계화
      ◦ GMP기준서, 서식 개발 및 표준화
      - 기준서 표준모델 개발
      - 서식 표준화 및 GMP관리 업무 프로세스 표준화
      - GMP관리기준서의 전산화 기반 구축
      ◦ GMP 지정준비 업체 교육을 교육교재 개발
      - 실무형 교육교재 개발(동영상 및 문서형 교재) 및 보급교육
      ◦ GMP제도개선(안) 도출
      - 자문회의, 전문가, 관련실무자 등을 통한 GMP제도 개선안 수렴
      ◦ GMS 교육 및 보급
      - 교육과정 : 년 2회/3개월
      ◦ 기술지원센터 운영 및 사용자 매뉴얼 배포
      - 온라인 / 오프라인을 통한 지원업체 지원 체제 구축 및 운영
      ◦ GMS보급사업 성과분석 및 향후 확대적용방안 연구
      - 지원대상 업체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실시 및 설문결과 분석을 통한 향후 적용
      ...[중략] 원문참조
      번역하기

      • 본 연구는 2004년 1월 31일 공포된 우수건강기능식품제조기준(GMP)에 대한 건강기능식품업체에 대한 효과적인 GMP도입에 도움을 주고 실질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

      • 본 연구는 2004년 1월 31일 공포된 우수건강기능식품제조기준(GMP)에 대한 건강기능식품업체에 대한 효과적인 GMP도입에 도움을 주고 실질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기능식품의 법정제형별, 품목별로 표준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둘째, 건강기능식품 GMP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교육교재와 교육동영상물을 제조업소의 실정에 맞도록 기획하고 제작하였다.
      셋째, 건강기능식품전문제조업소를 대상으로 건강기능식품 GMP의 건전한 추진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향후 GMP의 의무에 따른 산업에 미칠 파급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정책지원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건강기능식품의 6개 제형별, 주요 품목군에 대한 GMP모델을 제시하였다.
      둘째 건강기능식품GMP를 수행하기 위한 기준서 전산화 기반을 구축하였다.
      셋째 건강기능식품GMP의 업계 교육용 동영상물을 제작하였다.
      넷째 건강기능식품 GMP고시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러스트를 제작하였다 .
      다섯째 GMP의 향후 발전방안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업계의 요구와 정부지원분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여섯째 GMS(GMP Management system)을 통한 47개의 업체의 보급교육을 실시하였다.■ 연구목표 : 2004년에 수행된 우수건강기능식품제조기준(이하 ‘GMP’)의 적용메뉴얼 개발 및 적용확대방안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법정 제형별, 고시 품목별로 실제로 업계에 적용 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준서(제조관리기준서, 제조위생관리기준서, 품질관리기준서)및 서식의 표준화 및 전산화 기반을 구축하며, 교육훈련에 활용될 수 있도록 GMP교육자료를 개발한다. 한편, 연구 개발된 GMP전산화프로그램인 GMS에 대한 보급교육사업을 통하여 실질적인 GMP도입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또한 GMP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통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 연구내용
      ◦ GMP표준모델 개발을 위하여
      - 6개 법정 제형별, 주요고시 품목별 GMP(제조․품질관리)표준모델 개발
      - GMP품질․공정관리를 위한 기능성분 분석법 체계화
      ◦ GMP기준서, 서식 개발 및 표준화
      - 기준서 표준모델 개발
      - 서식 표준화 및 GMP관리 업무 프로세스 표준화
      - GMP관리기준서의 전산화 기반 구축
      ◦ GMP 지정준비 업체 교육을 교육교재 개발
      - 실무형 교육교재 개발(동영상 및 문서형 교재) 및 보급교육
      ◦ GMP제도개선(안) 도출
      - 자문회의, 전문가, 관련실무자 등을 통한 GMP제도 개선안 수렴
      ◦ GMS 교육 및 보급
      - 교육과정 : 년 2회/3개월
      ◦ 기술지원센터 운영 및 사용자 매뉴얼 배포
      - 온라인 / 오프라인을 통한 지원업체 지원 체제 구축 및 운영
      ◦ GMS보급사업 성과분석 및 향후 확대적용방안 연구
      - 지원대상 업체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실시 및 설문결과 분석을 통한 향후 적용
      ...[중략] 원문참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