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개별관광시장의 동향, 각 지자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관광객 유치보상제도, 개별관광객의 행태특성 분석 등을 통하여 개별관광객 유치 증대를 위한 전략적 대안을 마련하고 필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개별관광시장의 동향, 각 지자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관광객 유치보상제도, 개별관광객의 행태특성 분석 등을 통하여 개별관광객 유치 증대를 위한 전략적 대안을 마련하고 필요...
본 연구는 개별관광시장의 동향, 각 지자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관광객 유치보상제도, 개별관광객의 행태특성 분석 등을 통하여 개별관광객 유치 증대를 위한 전략적 대안을 마련하고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설문조사 결과, 개별관광객의 연평균 여행횟수, 방문목적, 평균여행기간, 여행시기, 이용 숙박시설, 정보입수 경로, 여행시 동반자, 이용교통수단, 선호하는 관광지, 1인당 여행비용, 목적지 선택시 중요시하는 속성 등에서 일반여행객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도시행 현황에 대한 조사결과 관광객 유치를 위한 인센티브 제도는 전국 광역자치단체(17개)와 기초자치단체(226개) 중 16개 광역자치단체와 123개 기초자치단체에서 도입하고 있으며, 조례를 제정하여 지원하고 있는 곳은 12개 광역자치단체, 92개 기초자치단체에 이르렀다. 현재의 관광객 유치 인센티브제도는 첫째, 제도의 실효성 문제, 둘째, 외래관광객과 단체관광 위주의 제도. 셋째, 개별관광객에 대한 기준의 모호성, 넷째, 관련 조례의 제정 미비 등, 다섯째, 가변적이고 부족한 예산으로 정책의 일관성과 신뢰성 훼손, 여섯째, 여행사나 단체 지원으로 개별관광객 유치와 연관성 저하, 일곱째, 지원의 중복성 등의 문제 등을 안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토대로 개별관광객 유치 인센티브 제도의 도입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단체관광은 중간 매개체가 있으므로 유치에 공헌한 매개체에 대한 인센티브 지원을 통해 유치 촉진을 도모할 수 있지만, 개별관광은 직거래 개념과 유사하므로 엄밀하게 인센티브 지급 대상 자체가 없는 것이다. 양자의 차이로 인해 통합운영 시 무리가 따를 수 밖에 없으며, 기존의 단체관광객 유치 인센티브 지원제도를 확장하여 개별관광객 유치를 위한 인센티브 제도로 사용하는 데는 한계가 노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질적으로 제도에 대한 인식과 운영방식 자체를 바꿀 필요가 있다. 두 가지를 완전히 분리하여 별도로 운영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훈 ; 고동완, "해외 개별자유여행객의 여행동기 - 여행횟수에 따른 여행동기의 차이 분석 -" 한국관광학회 36 (36): 201-220, 2012
2 곽행구, "최근 트렌드 변화에 따른 광주전남 관광정책 방향" 광주전남연구원 2017
3 최경은, "중국인 개별관광객 유치 활성화를 위한 정책 대응방향" 46 : 2011
4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중국인 FIT관광객 방한여행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 2012
5 한국관광공사, "일본 개별자유여행(FIT) 시장조사" 2007
6 한국관광공사,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2017
7 이원희, "외국인 개별여행자(FIT)시장 특성과 정책 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7
8 정승훈, "외국인 개별관광객 유치증진방안" 제주발전연구원 2012
9 최경은, "온라인 개별관광상품 시장분석 및 정책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8
10 추승우 ; 장준호 ; 황영현, "부산방문 일본인 개별자유여행객(FIT)의 여행 행태" 한국관광학회 34 (34): 77-91, 2010
1 이상훈 ; 고동완, "해외 개별자유여행객의 여행동기 - 여행횟수에 따른 여행동기의 차이 분석 -" 한국관광학회 36 (36): 201-220, 2012
2 곽행구, "최근 트렌드 변화에 따른 광주전남 관광정책 방향" 광주전남연구원 2017
3 최경은, "중국인 개별관광객 유치 활성화를 위한 정책 대응방향" 46 : 2011
4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중국인 FIT관광객 방한여행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 2012
5 한국관광공사, "일본 개별자유여행(FIT) 시장조사" 2007
6 한국관광공사,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2017
7 이원희, "외국인 개별여행자(FIT)시장 특성과 정책 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7
8 정승훈, "외국인 개별관광객 유치증진방안" 제주발전연구원 2012
9 최경은, "온라인 개별관광상품 시장분석 및 정책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8
10 추승우 ; 장준호 ; 황영현, "부산방문 일본인 개별자유여행객(FIT)의 여행 행태" 한국관광학회 34 (34): 77-91, 2010
11 한국관광공사, "방한 개별관광객 여행 수요 조사 보고서" 2017
12 류기환, "단체관광객 유치 인센티브지원제도에 관한 연구" 국제지역학회 18 (18): 591-610, 2014
13 각 지자체 홈페이지, "관광객 유치 인센티브 지원계획 공고"
14 문화체육관광부, "2019 외래관광객조사" 2020
15 문화체육관광부, "2019 국민여행조사" 2020
16 전남문화관광재단, "2018년 전라남도 관광객 만족도 모니터링 설문조사 최종 보고서" 2018
TV홈쇼핑의 브랜드 증거가 이용 만족, 브랜드 태도, 그리고 지속적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럭셔리 패션브랜드 카페의 체험마케팅 요인이 브랜드태도 및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식품구매를 위한 라이브 커머스 이용동기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몰입의 매개효과와 식품 구매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