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준상, "해방전후사의 인식3" 한길사 2006
2 이광호, "해방전후사의 인식 2" 한길사 2006
3 강정구, "해방기의 김기림 비평에 나타난 민족 기표의 양상" 한국문예창작학회 11 (11): 233-257, 2012
4 김동석, "해방기 어문 운동이 문학에 미친 영향" 민족어문학회 0 (0): 385-414, 2006
5 정우택, "해방기 박인환 시의 정치적 아우라와 전향의 반향" 반교어문학회 (32) : 287-322, 2012
6 최명표, "해방기 김기림의 계몽운동론" 국어문학회 46 : 369-390, 2009
7 박연희, "해방기 ‘중간자’ 문학의 이념과 표상 ― 김기림의 민족 표상을 중심으로" 상허학회 26 : 307-348, 2009
8 황호덕, "해방과 개념, 맹세하는 육체의 언어들 ― 미군정기 한국의 언어정치학, 영문학도 시인들과 신어사전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85) : 91-132, 2014
9 송기한, "해방공간의 비평문학" 태학사 1991
10 이봉범, "해방공간의 문화사-일상문화의 실연(實演)과 그 의미" 상허학회 26 : 13-54, 2009
1 한준상, "해방전후사의 인식3" 한길사 2006
2 이광호, "해방전후사의 인식 2" 한길사 2006
3 강정구, "해방기의 김기림 비평에 나타난 민족 기표의 양상" 한국문예창작학회 11 (11): 233-257, 2012
4 김동석, "해방기 어문 운동이 문학에 미친 영향" 민족어문학회 0 (0): 385-414, 2006
5 정우택, "해방기 박인환 시의 정치적 아우라와 전향의 반향" 반교어문학회 (32) : 287-322, 2012
6 최명표, "해방기 김기림의 계몽운동론" 국어문학회 46 : 369-390, 2009
7 박연희, "해방기 ‘중간자’ 문학의 이념과 표상 ― 김기림의 민족 표상을 중심으로" 상허학회 26 : 307-348, 2009
8 황호덕, "해방과 개념, 맹세하는 육체의 언어들 ― 미군정기 한국의 언어정치학, 영문학도 시인들과 신어사전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85) : 91-132, 2014
9 송기한, "해방공간의 비평문학" 태학사 1991
10 이봉범, "해방공간의 문화사-일상문화의 실연(實演)과 그 의미" 상허학회 26 : 13-54, 2009
11 정재환, "해방 후 우리말 도로 찾기 운동의 내용과 성과" 한글학회 (296) : 151-196, 2012
12 정영훈, "해방 후 김기림의 한글 전용 논의에 대하여(Ⅰ) - 논의의 맥락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44) : 623-656, 2012
13 이준식, "해방 후 국어학계의 분열과 대립― 언어민족주의와 ‘과학적’ 언어학을 중심으로 ―" 한국근현대사학회 (67) : 88-118, 2013
14 이혜령, "한자인식과 근대어의 내셔널리티" 민족문학사학회 (29) : 238-275, 2005
15 최현배, "한글의 투쟁" 정음사 1954
16 李惠鈴, "한글운동과 근대 미디어" 대동문화연구원 (47) : 249-290, 2004
17 이혜령, "한국소설과 골상학적 타자들" 소명출판 2007
1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 조윤제, "한국교육사료집성-미군정기편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20 이희승, "일석 이희승 전집 1" 서울대 출판문화원 2010
21 문교부, "우리말 도로찾기, (조선교학도서주식회사, 1948.)"
22 李惠鈴, "언어 법제화의 내셔널리즘―1950년대 한글간소화파동 一考" 대동문화연구원 12 (12): 183-224, 2007
23 박지영, "복수의 ‘민주주의’들 ― 해방기 인민(시민), 군중(대중) 개념 번역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85) : 49-90, 2014
24 이응호, "미군정기의 한글운동사" 성청사 1974
25 정영훈, "미군정기 국어 교과서의 편찬 과정 재론 -조선어학회와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배달말학회 (50) : 198-222, 2012
26 이태준, "문장강화" 창작과 비평사 1988
27 박성창, "말을 가지고 어떻게 할 것인가(How to do things with words) - 김기림과 이태준의 문장론 비교" 한국현대문학회 (18) : 359-398, 2005
28 구자황, "독본(讀本)을 통해 본 근대적 텍스트의 형성과 변화" 상허학회 13 : 213-244, 2004
29 이봉범, "단정수립 후 轉向의 문화사적 연구" 대동문화연구원 (64) : 215-254, 2008
30 장지영, "나랏말을 깨끗이 하자(1)" 조선어학회 98 : 1946
31 김남천, "김남천 전집 1" 박이정 2000
32 이미순, "김기림의 은유론에 대한 일 고찰" 한국시학회 (19) : 185-210, 2007
33 이미순, "김기림의 언어관에 대한 고찰" 우리말글학회 40 : 299-325, 2007
34 김기림, "김기림 전집 1․2․4" 심설당 1988
35 최현배, "글자의 혁명 ‘漢字 안 쓰기와 가로쓰기 혁명’" 정음사 1956
36 조선문학가동맹, "건설기의 조선문학-제1회 전국문학자대회 보고연설급회의록"
37 "東亞日報"
38 池中世, "最新 現代語辭典" 新光出版社 1946
39 "新天地"
40 현상윤, "幾堂 玄相允 全集 4(사상편)" 나남 2008
41 "京鄕新聞"
42 백지은, "‘문학적 문체’의 개념과 문체연구의 위상정립을 위한 예비적 고찰" 한국학중앙연구원 31 (31): 229-252, 2008
43 정재환, "8ㆍ15 해방 직후 조선어학회의 활동 ― 1945. 8. 15~1946. 2 ―" 수선사학회 (41) : 269-299, 2012
44 김철, "(更生)의 도(道)혹은 미로(迷路) : - 최현배의 [朝鮮民族 更生의 道]를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28) : 306-351,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