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4년 9월 진보회가 조직되었을 때, 충남은 전국에서 가장 낮은 회원을 보유했다. 진보회의 친일활동에 대한 지역민의 반감이 원인이었다. 이후 일진회와 진보회가 합병하면서, 동학지도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102305
대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학위논문(박사) -- 忠南大學校 大學院 , 국사학과 한국사 전공 , 2019. 2
2019
한국어
951.9 판사항(22)
대전
The racial movement of Chondogyo body in Chungnam area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v, 292 p.; 26 cm.
충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상기
참고문헌 : p. 151-166
I804:25009-00000007901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04년 9월 진보회가 조직되었을 때, 충남은 전국에서 가장 낮은 회원을 보유했다. 진보회의 친일활동에 대한 지역민의 반감이 원인이었다. 이후 일진회와 진보회가 합병하면서, 동학지도부...
1904년 9월 진보회가 조직되었을 때, 충남은 전국에서 가장 낮은 회원을 보유했다. 진보회의 친일활동에 대한 지역민의 반감이 원인이었다. 이후 일진회와 진보회가 합병하면서, 동학지도부는 1905년 12월 천도교를 창건하였다. 박인호는 교단의 일진회 축출과 교인 단속을 위해 충남지역에 파견되어 북접의 지도체제를 확립하였다. 이에 대한 반동으로 일진회는 시천교를 창건했고, 예산에서도 함한석을 중심으로 시천교의 활동이 활발했다.
천도교단은 중앙총부를 중심으로 군 단위에 교구, 면 단위에는 전교실을 설치하는 등 중앙집권적 체제를 구축하였다. 충남지역도 1906년 서산과 홍성, 예산을 시작으로 각 지역에 교구가 신설되었다. 교세의 확장은 활발한 포덕활동 때문이었다. 교단은 지방 교구를 감독하고 독려하면서 조직적인 포덕활동을 펼쳤고, 1921년을 ‘포덕의 해’로 설정하여 전국적인 규모의 포덕활동을 펼쳤다. 또한 1920년대 후반부터는 포덕을 전담하는 포덕대를 조직하였다. 교단의 포덕활동을 통해 충남지역 천도교인은 1907년을 기점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교인의 증가는 전교실 신축과 교구 확장 등으로 이어졌다. 1910년 당진을 시작으로 1915년까지 충남 각 지역에 꾸준히 교구실과 전교실이 설립되었다.
천도교단은 3ㆍ1운동의 참여로 결집력과 조직력을 보여주었다. 만세운동의 전국적인 확산을 위해 천도교는 독립선언서의 제작과 배포를 맡았다. 충남지역의 독립선언서는 익산의 함열교구에서 논산교구로, 논산교구에서 다시 부여교구로 전달되었다. 선언서 배포는 논산과 부여의 3ㆍ1운동으로 이어졌다. 또한 아산과 예산지역의 3ㆍ1운동은 교단의 지시로 전개되었다. 지도부가 3ㆍ1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도 했다. 당진의 지도부는 독립자금모금에 참여하였고, 부여교구장은 임천읍의 3ㆍ1운동을 주도했고, 서산교구의 도사는 운산면의 3ㆍ1운동에 참여하였다. 중앙집권적인 체제를 갖춘 교단의 특성상 지도부의 참여는 충남의 교인의 3ㆍ1운동 참여로 이어졌다.
3ㆍ1운동으로 교단의 핵심 인물이 체포ㆍ투옥되면서, 민족역량강화를 위한 청년을 육성하고자 했다. 지방 교구에 ‘교리강습소’ 와 ‘야학강습소’ 를 설립하였고, 보통학교 수준의 교육을 통해 이른바 ‘문명인’ 을 육성했다. 충남의 교리강습소는 홍산과 서산, 예산에 총 4개가 설치되었다. 1920년 교리강습소는 청년회로 개편되었다. 1920년대 충남은 지방 교구수가 다른 지역에 비해 적었고, 청년회 지회 설립 비율도 낮았다. 이는 비타협적 노선을 추구하는 구파 세력이 장악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서산은 충남에서 유일하게 신파 세력이 있었고, 청년회 설립도 전국에서 두 번째로 빨랐다. 청년회의 주요 활동은 강연회 개최였다. 강연은 천도교의 교리 전파와 청년계몽운동 등이 주된 내용이었다.
1923년 9월 교단의 청년들은 청년회를 해체하고 청년당을 창립하였다. 충남 출신 박래홍과 이종린, 이종만 등이 창립의 주역이었다. 이종만은 청년당 중앙위원을 역임하는 등 영향력이 있었다. 이들의 활약은 충남의 청년당 조직과 체제 정비로 이어졌다. 논산지역에서는 광제조합이 설립되었으며, 홍성지역의 농민사와 교인들은 야학과 학당을 설립하여 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1920년대 중반 교단은 신파, 구파, 연합회파, 육임파로 분화되었다. 충남 출신 지도자는 일부 신파 청년당과 연합회 인물로 확인되기도 하나, 구파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서산지역은 신파와 구파가 양립하였다. 1920년대 후반 서산의 신파는 꾸준히 세력을 넓혀 청년당을 설립하였다.
1920년대 후반부터 충남 천도교단은 다양한 민족운동을 전개하였다. 구파가 주도적으로 참여한 6ㆍ10만세운동에 충남은 홍성과 공주, 당진 등이 참여하였다. 구파가 당진, 서산, 예산, 홍성지회 설립에 참여하였고, 당진과 홍성지회는 특히 주도적인 활동을 펼쳤다. 신간회 활동을 통해 구파의 세력은 점차 확대되었다. 특히 서산지회는 신파인 청년당이 준비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나, 창립 과정에서는 구파가 중심이 되는 독특한 양상을 표출하였다.
1930년대 후반 구파도 친일의 대열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충남 교단은 3개월 동안 성미를 납부하지 않는 등 교단의 친일노선에 거부하면서 비타협적 민족주의를 고수했다. 충남 교단의 비타협적 민족주의 노선은 멸왜기도운동으로 이어졌다. 멸왜기도운동은 식고문 암송, 특별희사금모집, 특별기도 등 3가지 단계로 전개되었다. 그러나 일제에게 발각되어 총 256명이 투옥되었고, 이중 116명이 고문의 후유증으로 사망하였다. 충남 출신 교인은 5명이 고문의 후유증으로 사망하였다. 멸왜기도운동은 처절하게 억압하고 통제되던 당시 시대 상황을 고려할 때, 일제에 대한 최대의 저항이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en jinbohoe was organized in Sep. 1904, Chungnam had the lowest number of members in the whole nation because of the antipathy of regional residents against pro-Japanese activities of jinbohoe. And then, as iljinhoe was combined with jinbohoe, dong...
When jinbohoe was organized in Sep. 1904, Chungnam had the lowest number of members in the whole nation because of the antipathy of regional residents against pro-Japanese activities of jinbohoe. And then, as iljinhoe was combined with jinbohoe, donghakjidobu established Chondogyo in Dec. 1905. Park Inho was dispatched to Chungnam area for removal of iljinhoe from the body and interruption of religious people and established guidance system of bukjeop. As the reaction for it, iljinhoe established sicheongyo and there were active activities of sicheongyo from Ham Hanseok in Yesan.
Chondogyo body established centralised government system by establishing gyogu in gun units and jeonkyosil in myeon units as a center of central headquarter. In Chungnam area, each region established gyogu after Hongseong and Yesan in 1906. Expansion of religious power was caused by activeness of podeok. As religious body supervised and encouraged regional gyogu, organizational podeok was displayed. And 1921 was set as ‘the year of podeok’ and there was the national activities of podeok. Also after the latter part of the 1920s, podeokdae was organized for podeok. Through podeok of religious body, Chondogyo people of Chungnam area were increased continuously from 1970. The increase of religious people was related to new established of jeongyosil, expansion of gyogu, etc. After Dangjin of 1910, gyogusil and jeongyosil were established continuously in each area of Chungnam until 1915.
Chondogyo body showed concentration power and organization power due to the participation in Korea ' s Independence Movement against Japanese colonial rule. For national expansion of independence movement, Chondogyo was in charge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Chungnam area was delivered from Hamyeol gyogu of Iksan to Nonsan gyogu, from Nonsan gyogu to Buyeo gyogu. The distribution of the declaration was connected to independence movement of Nonsan and Buyeo. Also independence movement of Asan and Yesan was displayed by instruction of religious body. Leading department participated actively in independence movement. Leading department of Dangjin collected independence funds and a leader of Buyeo gyogu led independence movement of Imcheon-eup. Dosa of Seosan gyogu participated in independence movement of Unsan-mye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centralized system’s religious body, participation of leading department was connected to Chungnam religious people’s participation in independence movement.
Becaus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s key characters of religious body were arrested and imprisoned, it was intended to cultivate youths for strengthening of racial capacity. In regional gyogu, ‘gyori instruction center’ and ‘studying instruction center’ were established and ‘munmyungin’ was cultivated through education of common school level. In Chungnam, total 4 gyori instruction centers were established in Hongsan, Seosan, and Yesan. In 1920, gyori instruction center was reorganized as youth association. In the 1920s, the number of regional gyogu in Chungnam was less than that of other areas and its rate of youth association branches was low because gupa power who pursued non-negotiation seized. However, sinpa power was in only Seosan of Chungnam and youth association was established in the second place of the whole nation. Main activity of youth association was holding of lecture. In the lectures, main contents were propagation of Chondogyo gyori and youth enlightenment movement.
In Sep. 1923, youths of gyodan broke up youth association and established youth party. Its key persons were Park Raehong born in Chungnam, Lee Jongrin, Lee Jongman, etc. Lee Jongman was influential as he was a central member of youth party. Their activities were connected to organization and arrangement of Chungnam youth party. In Nonsan, Gwangje association was established and Nongminsa and religious people of Hongseong established yahak and hakdang for enlightenment movement. In the middle stage of the 1920s, gyodan was divided into sinpa, gupa, association party, and yukimpa. Some leaders from Chungnam came from sinpa youth party and assocation, but most of them were gupa. But there were both sinpa and gupa in Seosan area. In the latter part of the 1920s, Seosan sinpa widened their power continuously and youth party was established.
From the latter part of the 1920s, Chondogyo body of Chungnam displayed various racial movements. Hongseong, Gongju, Dangjin, etc. of Chungnam participated in 6.10 independence movement led by gupa. Gupa participated in establishment of Dangjin, Seosan, Yesan, and Hongseong association and Dangjin and Hongseong association especially displayed leading activities. Through activities of singanhoe, gupa power was gradually expanded. Especially, Seosan association actively participated in preparation of sinpa, youth party, but gupa led the establishment specially.
In the latter part of the 1930s, gupa participated in the pro-Japanese group. But Chungnam gyodan stuck to non-negotiation racialism by refusing pro-Japanese way of gyodan as they did not pay sungmi for 3 months. Chungnam gyodan’s non-negotiation racialism way was connected to myulwaegido movement that was displayed by 3 stages, memorization of sikgomn, collection of special huisageum, special pray, etc. But those activities were shown to Japan and total 256 people were imprisoned. Among them, 116 people died because of the torture. 5 Religious people come from Chungnam died because of torture. In consideration of the periodical situation that Myulwaegido movement was suppressed and controlled, it was the best resistance against Japa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재등실문서』, 고려서림, 『재등실문서』10, , 1990
2. 『이돈화 연구』, 허수, 역사비평사, , 2011
3. ,『독립운동사』1.,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1,
4. ,『독립운동사』3.,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3,
5. ,『독립운동사』5.,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5,
6. ,『독립운동사』하., 국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하,
7. 『조선의 유사종교』, 村山智順, 계명대학교출판부, , 1991
8. 『조선독립소요사론』, 靑柳綱太郞, 용계서사, , 1996
9. 『동학천도교 약사』, 용담연원, 용담연원, 보성사, , 1990
10. 『아산의 독립운동사』, 김기승, 아산학연구소, , 2014
1. 『재등실문서』, 고려서림, 『재등실문서』10, , 1990
2. 『이돈화 연구』, 허수, 역사비평사, , 2011
3. ,『독립운동사』1.,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1,
4. ,『독립운동사』3.,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3,
5. ,『독립운동사』5.,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5,
6. ,『독립운동사』하., 국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하,
7. 『조선의 유사종교』, 村山智順, 계명대학교출판부, , 1991
8. 『조선독립소요사론』, 靑柳綱太郞, 용계서사, , 1996
9. 『동학천도교 약사』, 용담연원, 용담연원, 보성사, , 1990
10. 『아산의 독립운동사』, 김기승, 아산학연구소, , 2014
11. 『조선문제자료총서』6, 박은식, 아시아문제연구소, , 1982
12. 『항일시기 역사 자료전』, 소영주콜렉션, 아주문물학회, 소영주콜렉션ㆍ아주문물학회, , 2003
13. 『천도교청년회팔십년사』, 천도교청년회중앙본부, 글나무, , 2000
14. 「천도교와 6ㆍ10만세운동」, 표영삼, 《한국민족운동사연구》14, 한국민족운동 사연구회, , 1996
15. 『당진지역 항일독립운동사』, 박상건, 당진문화원, , 1991
16. 「1900년대 천도교의 개화운동」, 황선희, 『중재장충식박사화갑기념논총 역학 편』, 논총간행위원회, 1992, , 1992
17. 『대한독립항일투쟁총사』하권., 대한독립항일투쟁총사편찬위원회, 『대한독립항일투쟁총사』하권,
18. 「1920년대 서산지역의 청년운동」, 이성우, 《사학연구》제99호, 한국사학회, 2010, , 2010
19.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10권.,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10권,
20. 「당진지역 중심의 동학농민전쟁」, 박상건, 《내포문화》4, , 1992
21. 『한국민족운동사료(3ㆍ1운동편 1)』, 국회도서관, 국회도서관,
22. 『1920년대 천도교의 문화운동 연구』, 조규태,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 1999
23. 「1920년대 ‘어린이’의 형성과 동화」, 이기훈, 《역사문제연구》8, 역사문제연 구소, 2002, , 2002
24. 「1920년대 천도교계의 민족운동 연구」, 김도형, 《역사와 현실》30, 한국역 사연구회, 1998, , 1920
25. ,『조선독립운동』, 민족주의운동편 1권, 김정명, 동경 원서방, , 1967
26. 「1930년대 만주지역 천도교와 그 활동」, 성주현, 《동학연구》16, 한국동학 학회, 2004, , 2004
27. 「방정환연구서론」,《청구학술논집》14, 中村 修, 한국문화연구진흥재단, , 1999
28. 「1910~25년간 천도교계의 동향과 민족운동」, 김정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3, , 1910
29. 「1920년대 천도교의 분규와 민족주의운동」, 이용창, 『한국 근현대이행기 사 회연구』, 신서원, 2000, , 1920
30. 「1930년대 종교계에 있어서 국학진흥운동」, 민경배, 《민족문화연구》12(특 집)-1930년대의 국학진흥운동-,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77, , 1977
31. 「1920년대 천도교 소년운동의 이론과 실천」, 김정인, 《한국민족운동사연구》 73,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2, , 2012
32. 「1920년대 천도교의 농민운동에 관한 연구」, 송명실, 상명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992, , 1992
33. 「1920년대 연해주지역 천도교인의 민족운동」, 조규태, 《한국민족운동사연구》 55,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8, , 2008
34. 「1910~25년간 천도교 세력의 동향과 민족운동」, 김정인, 《한국사론》32,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1994, , 1994
35. 「1920ㆍ30년대 오지영의 활동과《동학사》간행」, 김태웅, 《역사연구》2호, 역사학연구소, 1993, , 1993
36. 「1920년대 경기지역의 천도교와 청년동맹 활동」, 성주현, 《경기사학》4, 경 기사학회, 2000, , 2000
37. 「1920년대 전반기 천도교단의 노선갈등과 분화」, 김정인, 《동학학보》5, 동 학학회, 2003, , 2003
38. 「1920년대 상해지역 천도교인의 활동과 민족운동」, 성주현, 《문명연지》제6 권 제3호, 한국문명학회, 2005, , 2005
39. 「1920년대 아산지역 민족운동과 천도교의 관계성」, 성주현, 성주현, 『아산 동학농민 혁명과 독립운동 학술세미나 자료집』,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7, , 2017
40. 「1920년대 전반기 조선청년회연합회에 관한 연구」, 안건호, 숭실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1993, , 1993
41. 1920년대 천도교의 협동전선론과 신간회 참여와 활동, 성주현, 《동학학보》 제9권 2호, 2005, , 2005
42. 「1910년대《천도교회월보》를 통해서 본 민중의 삶」, 김정인, 《한국문화》 30,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2002, , 2002
43. 「1920년대 중후반 천도교 세력의 민족통일전선운동」, 김정인, 《한국사학보》 11, 고려사학회, 2001, , 2001
44. 「1930년대 천도교세력의 정치운동론과 시중회 참여」, 정용서, 《한국민족운 동사연구》68,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1, , 2011
45. 「당진 대호지 4ㆍ4독립만세운동의 전개과정과 특성」, 이정은, 『당진 대호지 4ㆍ4독립만세운동 학술고증용역보고서』, , 2007
46. 「일제강점 후반기(1931~1945) 천도교 세력의 친일문제」, 김정인, 《동학연구》 9ㆍ10, 한국동학학회, 2001, , 2001
47. 「20世紀初頭における天道敎上層部の活動とその性格」, 강성은, 《조선사연구회 논문집》24, 조선사연구회, , 1987
48. 「1920년대 전반 이돈화의 개조사상 수용과 사람性주의」, 허수, 《동방학지》 125, 2004, , 2004
49. 「1920년대 천도교인 박달성의 사회ㆍ종교관과 문화운동」, 조규태, 『동학학보』 22, 동학학회, 2011, , 2011
50. 『현대사자료』25(일본육군 및 외무성문서 중 삼일운동 관련 자료집), 강덕상, 동경 미스즈서방, , 1967
51. 『일제하 이돈화의 사회사상과 천도교: ‘종교적 계몽’을 중심으로』, 허수, 서 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5
52. 「1920년 전후 이돈화의 현실인식과 근대철학 수용」,《역사문제연구》 9, 허수, 역사문제연구소, 2002, , 2002
53. 「이돈화의『신인철학』연구-일제하 천도교 사회운동과 관련하여-」, 《사림》30, 허수, 수선사학회, , 2008
54. 「19세기 민족종교운동연구; 동학ㆍ천도교ㆍ원불교를 중심으로」,《국 사관논총》49, 한기두, 국사편찬위원회, , 1993
55. 「1930년대 함경도지방의 혁명적 농민조합운동 연구-조직적 측면과 활동방침을 중심으로-」, 신주백,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 1990
56. 「일제시기 지역엘리트의 동향과 지역정치-舊언양군 천도교계 지역엘 리트의 활동을 중심으로-」,《역사와경계》87, 정계향, 정계향, 부산경남사학회, , 2013
57. 「1930년대 혁명적 노ㆍ농운동의 조직문제에 관한 한 연구; 범태평양 노 동조합과 명천군 농민조합운동을 중심으로」, 신주백, 신주백, 《역사비평》7, 역사문 제연구소, 1989, , 1989
58. 「1930년대 천도교의 반일민족통일전선운동에 관한 연구-갑산ㆍ삼수 ㆍ풍산ㆍ장백현 지역의 조국광복회를 중심으로-」, 성주현, 《한국민족운동사 연구》25,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0, ,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