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이금이 아동문학의 장애서사 비교 분석 -단편동화 「내 친구 재덕이」, 「산타로 온 재덕이」, 연작동화집 『내 친구 재덕이』, 장편동화 『나와 조금 다를 뿐이야』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875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이금이의 초기 동화 중 연작 동화집 『내 친구 재덕이』(2002)와 그 소설의 토대가 되었던 두 편(‘최초의 재덕이 동화’)의 단편동화 「내 친구 재덕이」(1991)와 「산타로 온 재덕이」...

      본고는 이금이의 초기 동화 중 연작 동화집 『내 친구 재덕이』(2002)와 그 소설의 토대가 되었던 두 편(‘최초의 재덕이 동화’)의 단편동화 「내 친구 재덕이」(1991)와 「산타로 온 재덕이」(1996)를 비교한다. ‘재덕이 동화’는 장애 아동 재덕이를 등장인물로 한 장애 서사를 그리고 있다. 해당 작품들은 단편으로 발표되었던 것을 약 10년의 시간 격차를 두고 다시 묶어 연작 동화집의 형태로 재출간되었다. 본고에서는 두 이야기 간 문장 단위의 상세한 비교 분석을 통해, 두 편의 단편동화가 연작 동화집으로 재창작되는 과정에서 드러난 내용적, 형식적 차이를 면밀히 확인하였다. 더불어 이금이의 또 다른 장애 서사, 장편동화 『나와 조금 다를 뿐이야』(2001)를 재덕이 동화와 함께 살펴보며, 이금이의 장애 서사에 내포된 의미와 한계를 추적하였다.
      재덕이 동화 간의 차이는 다음의 사항들을 고려하여 재창작되었다. 장애에 대한 사회의 인식과 장애인 처우의 현실, 작품의 배경이 된 농촌 현실, 2000년대 초 아동문학 장애 서사의 다수 등장, 그로 인한 작가의 시선 변화로 말미암은 몇 가지 유의미한 변화들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재덕이 동화’와 『나와 조금 다를 뿐이야』, 두 작품은 ‘성장’을 그리는 방식에 있어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해당 구도는 장애아 재덕이와 비장애아 명구, 장애아 수아와 비장애아 영무, 솔숲산과 아스팔트길, 맑은 눈망울, 맑은 웃음 등의 화소와 인물들이 가진 상징성을 통해서도 극명하게 드러난다.
      이금이는 장애 아동 서사 이외에도, 아동 성폭력 피해 문제, 결손가정 서사, 학교폭력 문제 등 우리 아이들이 겪을 수 있는 여러 가지 현실적인 문제를 다뤄 아이들과 청소년을 위한 이야기를 만든 작가이다. 사회의 문제를 다루어 그것에 직면하는 소재의 특성상 비판에 직면하기 쉽다. 본고에서 다룬 작품들은 모두 이금이의 초기 동화를 대상으로 한다. 본고에서 제기된 문제와 한계에 대한 꾸준한 고민을 작가의 이후 작품들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금이의 장애 아동 서사 비교를 통해 이금이가 현실의 문제들을 외면한 채 단순히 낭만적인 이야기만을 그리지 않았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nursery story serial collection My Friend Jaeduk(2002) by Lee, Geum-ee(abbreviated as ‘Lee’) is created on the basis of two short stories, My Friend Jaeduk(1991) and Jaeduk the Santa Clause(1996). These stories present the “Jaeduk disability n...

      A nursery story serial collection My Friend Jaeduk(2002) by Lee, Geum-ee(abbreviated as ‘Lee’) is created on the basis of two short stories, My Friend Jaeduk(1991) and Jaeduk the Santa Clause(1996). These stories present the “Jaeduk disability narrative”, which are both from the children with disability’s point of view. These two short stories have been published in the form of a series of fairy tales, which were published as short stories and then regrouped with a time gap of about 10 years.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original story of Jaeduk has been developed in the process of recreation by analyzing all three versions in sentence unit. The research further expands on the discussion by touching upon another nursery story of Lee, Just a Little Different from Me(2001), which is also classified as a disability narrative. Through in-depth comparisons, this research would be tracing what disability narrative means and where its limits lies in the world of Lee’s work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재덕이 동화’ 비교
      • Ⅲ. ‘재덕이 동화’와 『나와 조금 다를 뿐이야』 비교
      • Ⅳ. 순수로의 장애 인식과 한계
      • 요약
      • Ⅰ. 서론
      • Ⅱ. ‘재덕이 동화’ 비교
      • Ⅲ. ‘재덕이 동화’와 『나와 조금 다를 뿐이야』 비교
      • Ⅳ. 순수로의 장애 인식과 한계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원종찬, "해방 이후 아동문학 서사 장르 용어에 대한 고찰" 2009

      2 오세란, "한국 청소년소설 연구" 청동거울 2013

      3 방귀희, "장애인문학의 특성과 과제" 국제한인문학회 (21) : 5-40, 2018

      4 박옥순, "장애인동화에 나타난 장애인식과 폭력성 — 이금이, 황선미의 장편동화를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학회 19 (19): 39-69, 2020

      5 조명아, "이금이의 아동‧청소년문학 작품에 나타난 향토적 토포필리아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6 이경희, "이금이 가족동화 연구" 경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7 이금이, "영구랑 흑구랑" 현암사 1991

      8 김천혜, "소설구조의 이론" 한굴학술정보[주] 2010

      9 이금이, "맨발의 아이들" 현암사 1996

      10 이금이, "동화창작교실" 푸른책들 2014

      1 원종찬, "해방 이후 아동문학 서사 장르 용어에 대한 고찰" 2009

      2 오세란, "한국 청소년소설 연구" 청동거울 2013

      3 방귀희, "장애인문학의 특성과 과제" 국제한인문학회 (21) : 5-40, 2018

      4 박옥순, "장애인동화에 나타난 장애인식과 폭력성 — 이금이, 황선미의 장편동화를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학회 19 (19): 39-69, 2020

      5 조명아, "이금이의 아동‧청소년문학 작품에 나타난 향토적 토포필리아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6 이경희, "이금이 가족동화 연구" 경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7 이금이, "영구랑 흑구랑" 현암사 1991

      8 김천혜, "소설구조의 이론" 한굴학술정보[주] 2010

      9 이금이, "맨발의 아이들" 현암사 1996

      10 이금이, "동화창작교실" 푸른책들 2014

      11 이금이, "내 친구 재덕이" 푸른책들 2019

      12 이금이, "나와 조금 다를 뿐이야" 푸른책들 2019

      13 차미경, "고정욱의 장애인식개선동화에 드러난 장애인관의 분석" 대구대학교대학원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5-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Ri, Jae Cheal -> KOREA CHILDREN'S LITERATURE SOCIET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8 1.006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